함께함 2015

몸의 구조와 기능

실다이 2016. 2. 11. 23:11

구조와 기능



사람은 분류학적으로 포유류에 속하며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와 마찬가지로 척수동물에 속한다. 사람의 특징은 두발로 서서 걷는다는 것이고, 이렇게 사람이 직립하게 됨에 따라 뼈대와 관절 여러 가지 기관계의 위치가 달라졌다. 사람의 몸은 뇌가 있는 두부, 심장이나 폐가 있는 흉부, 위나 장등의 소화기나 신장 중 배설기가 있는 있는 복부, 팔과 다리의 사지가 있다.



1. 세포


몸의 한부분을 잘라내어 현미경으로 보면 작은 도막들이 보인다. 이것이 사람의 몸을 이루는 세포이다. 가장 바깥쪽은 세포막으로 되어 있고, 그 속은 세포질과 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핵은 거의 중앙에 핵막으로 싸여 있으며, 인과 염색체가 들어 있고,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구실을 한다. 세포질은 세포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물질의 합성과 분해, 에너지 대사, 운동 등의 역할을 하고 그 속에는 중심체,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등이 있다. 세포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구조와 기능이 비슷한 것끼리 모여 조직을 이루고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와 여기에 이어지는 기관 내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내부를 보호하고 양분을 흡수 하여 불필요한 것을 배출한는 일 외에 분비 감각의 일도 맡고 있다.


2. 결합조직


조직이나 기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몸을 지탱하여 주는 일을 한다. 이 조직은 세포간 물질)세포가 분비한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이는데, 이 물질의 성질에 따라 연골조직, 골조직으로 구분된다.


3. 근조직


근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를 섬유산으로 길게 늘어나 있으므로 근섬유라고 한다. 단백질과 구성된 근섬유는 그 모양이나 기능에 따라 가로무늬근, 민무늬근 또는 심근으로 구분된다.


4. 신경조직


뇌, 척수, 신경 등을 이루고 있는 신경세포의 모임이다. 여기에는 세포부분은 세포만, 가늘고 긴 축색(신경섬유)은 축색만 모여있다.대뇌의 회백질부로 세포가 백질부는 축색이 모인 부분이다. 뇌와 척수에서 뻗어나는 부분 즉 축색이 모인 부분을 말초신경이라고 한다.


5. 기관과 기관계


몇 개의 조직이 모여 일정한 활동을 하는 곳을 기관이라 하고, 이러한 기관이 모여서 기관계를 이룬다.

①운동계 - 근육이나 뼈대 등과 같이 몸의 운동에 관계하는 기관.

②소화계 - 음식물의 소화, 흡수의 일을 하고 입, 후두, 식도, 위, 소장, 직장 등의 소화관과 소화에 필요한 효소를 분비하는 침샘, 간, 이자 등이 있다.

③순환계 - 심장, 혈관, 림프관 등이 있어 몸에 받아들이고, 영양이나 몸안에 생긴 쓸데 없는 물질을 나른다.

④배설계 - 몸 안에 생긴 불필요한 것을 버리는 일을 한다. 신장, 방광, 요도 등이 있고, 항문에서는 대변이 폐에서는 수분과, 이산화탄소, 땀샘에서는 수분과 염분이 배설된다.

⑤신경계 - 몸 안팎에서 자극을 받아 느끼고, 의식하고 판단하고, 행동하거나 내장 활동을 조절한다.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외의 감각기관이 여기에 속한다.

⑥내분비계 - 호르몬을 분비하여 몸의 각 계통의 활동을 조절한다.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이자, 부신, 생식샘 등이 있다.

⑦생식계 - 종족을 유지하기 위한 구실을 한다. 남성에게는 고환, 정소, 수정관 저장소, 전립선, 음경, 여성에게는 난소, 수정관, 자궁, 질등이 있다.대 등과 같이 몸의 운동에 관계하는 기관.



골격계


뼈가 일정한 배열을 하여 인체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는 것을 골격이라 한다.

골격은 뼈, 연골, 인대 등으로 구성되며, 뼈 및 연골은 관절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대가 이들 관절을 지탱해준다. 뼈는 골세포와 골질의 세포간질로 되어있는 특수결합조직이다. 골질은 칼슘과 인의 저장창고로 85%의 인산칼슘과 10%의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있어 단단하다.


1. 뼈의 기능


저장기능 : 칼슘, 인 등의 무기질이나 염화물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혈액에 방출한다.

조혈기능 : 장골의 골단, 편평골, 단골 등의 해면질에 있는 적색골수에서는 활발한 조혈이 이루어진다.


2. 뼈의 구조


뼈는 골막, 골질, 골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골막 (periosteum) : 연골로 덮힌 뼈의 관절단 표면을 제외한 모든 뼈의 표면을 싸고 있으며, 근육이나 건이 뼈에 부착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준다.

2)골질 (osteoid) : 골질은 치밀질과 해면질의 두 조직으로 되어있다.

3)골수 (bone marrow) : 골수에는 적골수와 황골수가 있는데, 적골수는 많은 혈관을 보호해주는 약간의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있다.


3. 뼈의 분류


․형태적 분류


1)장골(long bone) : 두개의 골단과 한개의 골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간부는 중앙부분이 가늘어지는 형태로 주로 두껍고 단단한 치밀골로 장력이 있으며, 그 내부는 골수강을 형성한다.

2)단골(short bone) : 구조는 장골과 같으나 짧고 수근골, 족근골 등이 이에 속한다. 길이가 짧아 장골에 비해 운동범위가 제한적이다.

3)편평골(flat bone) : 납작하고 편평한 모양으로 두정골, 견갑골 등이 있고, 근육의 부착을 위해 넓은 면이 있다.

4)불규칙골(irregular bone) : 모양이 복잡하고 특이하며, 여러 가지 돌기를 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척추골, 두개골 중의 많은 뼈들이 이에 속한다.


․위치적 분류


두개골 : 뇌두개8개 + 안면골 15개 = 23개

체간 : 척추32개~34개 + 흉곽25개 = 57개

사지 : 상지64개 + 하지62개 = 126개


4. 연골(cartilage)


연골은 단단하고 약간 탄력이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딱딱한 젤리와 유사하다. 연골에는 소관이나 하버스관이 없고 연골세포간의 물질이동은 세포간질을 통한 확산으로 이루어진다.

세포간질은 젤리모양의 기질에 포장된 교원섬유의 그물로 구성되어 있다.

1)초자연골(hyaline) : 맑고 투명한 청백색이며, 많은 교원섬유가 기질내에 묻혀있다.

2)섬유연골(fiber) : 매우 질기며 압력과 견인의 힘이 크고 섬유성 결합조직과 구조가 비슷하다.

3)탄력연골(elastic) : 연골중에 가장 탄력성이 풍부한 것으로 외이, 이관, 후두개 등에 있다.


5. 관절


1) 관절의 구조


관절을 형성하는 두개의 골단은 보통 한쪽이 볼록한 관절두(joint caput)와 오목한 관절와(joint fossa)가 있다. 관절은 연골로 덮혀있어 매끈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고 서로 부딪치지 않는다. 관절의 외측에는 인대가 두 뼈를 연결하고 있어 관절을 보호하고, 과도한 신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2) 관절의 종류


관절두와 관절와의 모양에 따라 관절의 운동범위가 결정되므로 관절은 관절을 구성하는 뼈의 수, 운동축, 뼈의 모양 등에 따라 구분한다.

관절두와 관절와의 모양에 따라 관절의 운동범위가 결정되므로 관절은 관절을 구성하는 뼈의 수, 운동축, 뼈의 모양 등에 따라 구분한다.


․뼈의 수에 따른 구분


① 단관절(simple articulation) : 두 뼈로 된 관절로 견관절, 고관절 등이 있다.

② 복관절(compound articulaton) : 세뼈이상의 뼈로 이루어지는 관절로 주관절, 요골 수근관절 등이 있다.


․운동축의 수에 따른 구분


① 일축성 관절 : 관절운동이 한 축으로만 이루어지는 관절로 중수지절관절등이 있다.

② 이축성 관절 : 관절운동이 두개의 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절로 요골수근관절등이 있다.

③ 다축성 관절 : 여러 개의 축으로 자유로이 운동하는 관절로 견관절등이 있다.


․관절의 모양에 따른 구분


① 구관절(spheroid j.) : 관절두가 볼록하고 관절와가 오목하여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하는 관절로, 견관절, 고관절이 있다.

② 안관절(saddle j.) : 관절두와 관절와가 모두 말 안장처럼 좌우로 퍼져있는 관절로, 엄지손가락의 제일수근중수관절이 있다.

③ 경첩관절(hinge j.) : 홈이 파인 관절두와 이에 맞는 모가 있는 관절와로 이루어져 마치 경첩과 같이 운동방향이 수평축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되는 관절로, 슬관절과 주관절등이 있다.

④ 차축관절(trochoid j.) : 원판상의 관절두와 이에 적합한 관절와가 바퀴처럼 감싸면서 도는 관절로, 경추관절과 요척관절이 있다.

⑤ 과상관절(condyloid j.) : 관절두가 구형이고 관절와가 얕은 소켓 모양으로 되어 있어 회전운동이 안되는 관절로, 굴곡과 신전만 할 수 있고, 악관절과 중수지절관절이 있다.

⑥ 타원관절(ellipsoid j.) : 관절두가 타원형이고 관절와는 얕은 오목모양인 관절로, 요골수근관절이 있다.

⑦ 평면관절(plane j.) :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은 두 관절면이 평면으로 되어 그 사이에 활주만이 있는 관절로, 수근간관절, 족근간관절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