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및 청소년기 정신장애
18세 이전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disorders usually diagnozed in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 DSM-Ⅳ의 10가지 하위 유형
(1) 정신지체 (2) 전반적 발달장애 (3) 주의력 결핍 및 파괴적 행동장애
(4) 학습장애 (5) 의사소통장애 (6) 틱장애
(7) 배설장애 (8) 급식 및 식이장애 (9) 운동기술장애
(10) 기타의 아동․청소년기 장애
제1절 정신지체
1. 진단기준과 임상적 특징
가. DSM-Ⅳ의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지능지수(IQ) 70미만으로 학습 및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 아래에 제시된 적응 기능
중 2가지 이상에서 현저한 손상 시
(1) 의사소통 (2) 자기보살핌 (3) 가정생활 (4) 사회적/대인관계 기술
(5)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6) 자기관리 (7) 학업적 기술 (8) 직업
(9) 여가 (10) 건강 (11) 안전
나. 정신지체의 구분
구 분 | IQ 수준 | 비 율 | 지적수준 | 특 징 |
경미한 정신지체 | 70미만 ~50-55 | 약 85% | 초등 6학년 | 운동능력, 지적학습능력, 주의집중력부족, 독립적 삶이 가능(적절한 도움 시) |
중간정도 정신지체 | 50-55~35-40 | 약 10% | 초등 2학년 | 대인관계 어려움, 반숙련작업 가능 |
심한정신지체 | 35-40~20-25 | 약 3~4% | 초보적 언어 | 비숙련 단순작업 가능 |
매우 심한정신지체 | 25-20이하 | 약 1~2% | 학습 불가 | 발달지체, 인간관계 및 사회적응불가 |
다. 유병율 : 일반인구의 약 1%, 남자 60%, 하류계층(경미한 정신지체)
2. 정신 지체의 원인
요 인 구 분 | 비 율 | 원 인 | 원인 유발물질 | 증후군 |
유전자 이상 | 약 5% | 염색체 | 돌연변이, 방사선, 약제 및 화학물질, 바이러스 | 다운 증후군 |
임신 중 태내환경이상 | 약 30% | 약물복용 감염성질환 | 아스피린, 인슐린, 알코올, 헤로인, 니코틴 홍역, 매독, 뇌막염, 전염성간염, 인플루엔자 | 알콜 증후군 (기형적외모) |
임신 및 출산과정 이상 | 약 10% | 뇌 발달 물질 물리적 외상 |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두개골절, 난산, 무산소증 |
|
후천성아동기 질환 | 약 5% | 감염질환 각종사고 독성물질 |
납 등 |
|
열악한 환경적 요인 | 15~20% | 사회경제적 지위 빈곤 가정 | 풍부한 지적자극 부족 | 경미한 정신시체 |
원인 모름 | 약 30% |
|
|
|
▶ 정신 지체의 치료
(1) 신경학적(신체이상)평가와 심리(지능)평가 후 적절한 교육 및 재활프로그램 적용
(2) 경미한 정신지체 :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으로 적응수준 현저한 향상
(3)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
제2절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언어발달, 대인관계, 일상적인 행동을 비롯한 적응기능 전반에 현저한 발달지연과 결함을 나타내며 소아․청소년기 장애 중 가장 심각한 장애에 속한다. ---> 자폐증, 소아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장애, 레트장애
1. 자폐증(autistic disorder)
가.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1) 자폐증의 주요 증상
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심각한 곤란
눈 마주치기, 얼굴표정, 몸짓 등의 부적절 ---> 부모, 친구들과 친밀관계 형성 곤란
나) 의사소통에 심각한 어려움
적절한 언어발달 이상 ---> 괴상한 단어나 언어행동(음성의 고저, 억양, 속도, 리듬), 반향언어증
다) 특정한 패턴의 기이한 행동의 반복과 특정대상이나 일에 비정상적인 집착
관심사 매우 좁고, 몰두와 반복행동 ---> 혼자서 블록 쌓기(하루 종일), 비상한 기억력, 주변상황을
똑같게 유지하려는 고집
2) 자폐증의 임상적 특징
가) 자폐증 아동의 약 75%는 정신지체 수준의 적응수준을 나타내며 흔히 중간 정도(IQ 35~50)의 정신지체
나) 초기유아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 ), 소아자폐증(childhood autism), 캐너증후군(Kanner's syndrome)
다) 엄격한 기준 적용시 10000명 중에 2~5명, 덜 엄격한 기준 적용시 10000명 중 10~20명 정도
라) 각 나라의 문화에 상관없이 상당히 일정한 빈도
마) 여자 아동에 비해 남자 아동이 3~4배 정도 높으며, 대부분 3세 이전에 발병
바) 자폐증을 가진 성인들은 대부분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지속적인 문제를 나타내며,
약 5%이내의 사람들은 독립적으로 일하면서 살아가고 1/3은 부분적인 독립적 생활
사) 예후의 판단기준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능력의 발달, 전반적인 지적수준
나. 자폐증의 원인
원인별 | 대표특성 | 특징 | 비 고 |
생물학적원인 (Kanner, 1994) | 유전 | -일란성 쌍둥이 -자폐증 환자의 형제 중 2~3% -정상인 형제보다 50~100배 | 환경적요인과 복합적인작용 (일반적 견해) |
뇌 신경학적 손상 (Courchesne, 1991) | 소뇌가 작다 | -20~35%의 자폐아가 청소년기 간질 일으킴 -자폐아의 40% 이상에서 EEG이상 -자폐아의 1/3정도가 정상인보다 높은 serotonin 수준을 보임 | 간질이유: 뇌의 기능손상
|
환경적 요인 (Kanner, 1943) | 부모의 성격 및 양육방식 | - 자폐아의 부모들이 차갑고 무심하며 소심 하고 내성적이며 매우 높은 교육수준을 가짐 | 입증된 바 없음 |
심리적 원인 (Spensley, 1995) |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에 심각한 문제
| - 자신 및 외부대상을 인식 못하는 단계 - 자신 이외의 모든 경험을 완전히 부정 - 자신의 신체가 엄마의 신체와 뒤엉키고 혼동 | 정상적 자폐증 단절형 자폐증 융합형 자폐증 |
다. 자폐증의 치료
치료법 | 치료형태 | 특징 | 비 고 |
행동치료 (Lovaas, 1987) | 모방학습 조작적 조건형 | - 말하기, 듣기, 놀기 학습 - 반향언어, 공격적행동, 기이한 몸동작 교정 - 조작적 조건형성의 성공사례 (19명 자폐아, 주40시간 집중치료 프로그램) IQ 평균 변화: 55--->83 IQ 정상범위 도달 : 12명/19명 (9명, 초등 2학년 때 일반학교 들어감) | 부모와 가족역할 중요 |
정신역동치료 | 놀이치료 | - 언어적 기술과 상상적 활동 |
|
약물치료 | 증상완화 | - 매우흥분, 공격행동, 발작 등 |
|
자폐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구체적인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음 -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노력요구 |
2. 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자폐증과 매우 유사한 증상이지만 임상적 양상이 다른 전반적 발달장애 (161219-5)
생후 2년 동안 | 2년부터~10년 | 이상영역 | 장애결과 | 비 고 |
정상적인 발달 | 현저한 기능상실 | 표현성언어, 수용성언어 사회적기술, 적응행동 대변, 방광조절 놀이, 운동기술 | -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 - 몹시 제한된 관심 - 반복적인 활동 | 헬러증후군 (Heller's syndrome) 붕괴성 정신증 (disintegrative psychosis) |
▶ 임상적 특징 (1) 자폐증보다도 더 드물며, 남자 아동에게 더 흔함 (2) 3-4세 사이에 발병하는 경우가 가장 흔함 (3) 일단 발병하면 증상이 평생 동안 지속 (4) 장애의 원인은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음 |
3.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자폐증과 매우 유사한 증상이지만 의사소통능력(언어발달)은 정상인 경우
▶ 진단 및 임상적 특징
(1) 자폐증 진단 기준(p.511) A항의 (1)과 (3)의 항목들은 충족되지만, (2)의 항목에는 해당되지 않음
(2) 매우 희귀하며, 남자아동에 주로 나타남
(3) 발병 시기도 늦고 부모에 의해 장애가 인식되는 시기도 늦음
(4) 평생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적 교류에 심각한 곤란을 지속
(5) 발병의 구체적인 원인은 알려진 바가 별로 없음
4. 레트 장애(Rett's disorder)
생후 5개월까지 | 5개월~30개월 | 5개월~48개월 | 장애결과 |
정상적인 발달 | 손기술 상실 기이한 손 움직임 | 머리 성장이 감속 | 사회적 교류에 현저한 어려움 |
▶ 증상 및 임상적 특징 (1) 발병 초기에 사회적 관계 상실, 어색하고 서투른 걸음걸이와 몸 움직임 (2) 언어적 이해와 표현능력의 현저한 손상 및 운동능력 지체 (3) 자폐증보다 드물며, 여성에게만 나타남 (4) 평생동안 지속되며, 발병의 구체적인 원인은 알려진 바가 별로 없음 |
제3절 주의력 결핍 및 파괴적 행동 장애
( attention deficit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
아동과 청소년이 나타내는 주의집중력의 문제, 과잉행동의 문제,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비행의 문제
하위유형 :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1.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가.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1) DSM-Ⅳ의 진단 기준
부주의와 관련된 증상군, 괴잉행동-충동성과 관련된 증상군 중 한 가지 이상을 나타내면 ADHD로 진단
증 상 | 기준범위 | 이상행동 | 비 고 | |
A | (1) 부주의 | 6가지 이상이 6개월 동안 지속 | ① 면밀한 주의 부족 및 부주의한 실수 ② 주의 집중 못함 ③ 경청하지 않음 ④ 지시완수 못하며, 임무 수행 못함 ⑤ 과업과 활동을 체계화하지 못함 ⑥ 지속적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과업을 싫어함 ⑦ 활동이나 숙제에 필요한 물건을 잃어버림 ⑧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 ⑨ 일상적인 활동을 잘 잊어버림 | <학업, 작업> <일과 놀이> <타인의 말> <학업, 잡일, 작업장>
<학업, 숙제> <장난감, 연필, 책> |
(2) 과잉행동 충동성 | 6가지 이상이 6개월 동안 지속 | ① 손발통제 못하며, 의자에서 몸을 옴지락거림 ② 앉아있도록 요구된 교실, 상황에서 자리를 뜸 ③ 지나치게 뛰거나 기어오름 ④ 조용히 여가활동에 참여하거나 놀지 못함 ⑤ 끊임없이 활동, 무언가에 쫓기는 듯 행동 ⑥ 지나치게 수다스러움 | 과잉행동 | |
① 질문이 채 끝나기 전에 성급한 대답 ②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 ③ 타인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대화, 게임) | 충동성 | |||
B | 장해를 일으키는 과잉행동-충동 또는 부주의 증상이 7세 이전부터 나타난다. | |||
C | 증상으로 인한 장애가 2가지 이상의 장면(예: 학교, 작업장, 가정)에서 존재한다. | |||
D |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임상적으로 심각한 장애가 초래된다. |
2)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증상 및 임상적 특징
가) 지능수준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저조하고 또래아이들에게 거부당하거나 소외될 가능성 높음
나) 꾸중과 처벌로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 정서적 불안정, 공격적, 반항적인 행동을 나타냄
다) ADHD 아동의 40~50%가 나중에 품행장애, 품행장애 청소년의 약 50%는 성인 시 반사회적 성격 장애
라) 대부분의 과잉행동은 개선되지만 부주의와 충동성은 오래 지속됨
마) ADHD 아동의 약 31% 청년기에도 그 증상이 그대로 유지
바) ADHD 3가지 하위 유형 : 주의력 결핍 우세형,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 복합형
사) 학령기 아동의 3~5%, 미국 초등학생의 2~20%, 미국 정신건강 진료소 의뢰 아동의 50%의 유병율
아) 남자 아동 6~9배 높으며, 발병 시기는 보통 3세경이지만 초등학교 입학할 때까지 진단을 내리지 않음
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원인
원인별 | 대표특성 | 특 징 | 비 고 |
유전적 요인 (Goodman와 Stevenson, 1989) | 취약성 | -ADHD 공병율(쌍둥이) 일란성: 51%, 이란성 : 33% -형제자매가 일반인의 2배 높음 -ADHD와 품행장애 동반 아동의 부모 :알코올 사용장애와 반사회적 성격장애 비율 높음 | <무엇이 유전 되는지 분명하게 밝혀진 것 없음> |
생물학적 요인 | 뇌손상 | -ADHD아동은 경미한 뇌손상 발견 -ADHD아동은 대뇌의 글루코스 대사수준 저하 --->운동근육과 주의체계 조절 기능저하 -ADHD아동은 전두엽의 억제기능 저하 --->과잉행동 발생 가설 | <미세 두뇌기능 장애>
|
뇌의 생화학적 요인 | 신경전달물질 | -흥분제(amphetamine) : 부주의와 과잉행동 개선 -흥분제가 도파민(dopamine), 노아에피네피린 (norepinephrine)에 영향을 주어 ADHD가 치료됨 |
p.93
|
취약성-스트레스 (Bettelheim, 1973) | 아동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 -아동의 과잉활동적 기질과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 결합시 ADHD가 발생 : 부모의 잦은 화 ---> 아동 스트레스--->과잉행동증가 |
|
다.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치료
치료별 | 치료형태 | 세부내용 | 비고 |
약물치료 (Pelham, 1987) | 중추신경자극제 | -덱시드린(Dexedrine) -페몰린(Pemoline) -리탈린(Ritalin) : 주의집중력, 산만행동 학업성취도에 약 60~70%에 증상 호전 | < 약물은 식욕감퇴 두통, 불면, 틱과 같은 부작용>
|
심리치료 | 행동치료 | - 보상과 처벌의 체계적사용 : 긍정적 행동 증가, 문제행동 감소 - 보상 : 스티커, 점수제 - 처벌 : 타임아웃 (격리된 장소에 일정시간 혼자 있도록 한다) |
<생각하는 의자>
|
인지행동적 치료
| - 아동의 생각, 문제해결방식을 함께 변화시켜 행동의 변화 유도 - 4단계로 생각하기 1단계: 문제가 뭐지? 2단계: 어떻게 해야 하지? 3단계: 계획한대로 잘 되고 있나? 4단계: 계획한대로 일이 잘 끝났나? - 멈추고 생각하기 - 생활계획표 만들기 - 대인관계 기술이나 대화기술 - 부정적인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 학습 |
|
▶ 부모역할 매우 중요 : 행동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부모에게 교육하여 가정에서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 (효과적 의사소통방법, 보상을 주는 방법, 처벌을 하는 방법,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의 표현방법
2. 품행 장애(conduct disorder)
가. 품행 장애의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폭력, 방화, 도둑질, 거짓말, 가출 등과 같이 난폭하거나 무책임한 행동을 통해 타인을 고통스럽게 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나타냄 - ‘비행행동’
1) 품행 장애의 주요 증상 및 진단 기준
가) 다른 사람의 기본적 권리를 해침, 사회적 규범의 일탈이 지속적 반복
나) 주요한 문제행동 항목 중 3개 이상, 지난 12개월간 지속, 한 항목 이상이 지난 6개월 동안 반복
문제행동 | 세부 항목 | 비고 |
사람과 동물에 대한 공격 | (1) 자주 타인을 못살게 굴거나 협박, 겁먹게 함 (2) 자주 싸움을 건다. (3) 타인에게 심한 신체손상을 줄 수 있는 무기사용 (4) 사람에게 신체적으로 잔인하게 대한다. (5) 동물에게 잔인하게 대한다. (6) 피해자와 맞서서 도둑질 (노상강도, 지갑날치기, 강도, 무장강도) (7) 성적 행위를 하도록 다른 사람에게 강요 |
|
재산파괴 | (8) 심각한 파괴를 목적으로 고의로 방화 (9) 타인의 재산을 고의로 파괴 |
|
사기 또는 절도 | (10) 타인의 집, 건물, 자동차를 파괴 (11) 물품이나 호의를 취득하거나 의무를 피하려고 자주 거짓말 (12) 피해자와 마주치지 않고 사소한 것이 아닌 물건을 훔친다.(예, 물건을 사는 체하고 훔치기, 문서위조) |
|
중대한 규칙위반 | (13) 부모의 금지에도 자주 외박, 13세 이전부터 시작 (14) 부모와 살면서 최소한 두 번 이상 가출 및 외박 (15) 무단결석을 자주하며, 이런 행동이 13세 이전 시작 |
|
2) 품행 장애의 임상적 특징
가) 품행 장애의 성별, 연령별 비교
성별 | 비율 | 배율 | 발병기 | 발병 연령별 | 심각정도별 | |||
10세 이전 | 10세 이후 | |||||||
남성 | 6~16% | 4~12배 | 10~12세 | 아동기-발병형 | 청소년기-발병형 | 경미한 정도 | 상당한 정도 | 심한 정도 |
여성 | 2~9% |
| 14~16세 |
나) 품행 장애의 기타 임상적 특징
(1) 서서히 여러 가지 증상이 발생되다가 결국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됨
(2) 경미한 정도는 예후가 좋음
(3) 어린나이에 발병하고 문제행동의 수가 많은 경우 예후가 좋지 못함
(4) 성인기 반사회적 성격장애로 발전할 수 있음
(5) 부모가 반사회적 성격장애이거나 알코올 의존 시 발병 확율 높음
(7) 유병율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높음
나. 품행 장애의 원인
요인별 | 특징 | 비 고 |
부모의 양육태도 | -강압적, 폭력적, 무관심, 방임 |
|
가정환경 | -불화, 가정폭력, 아동학대, 결손가정 -부모의 정신장애 및 알코올 사용 장애 |
|
정신분석적 입장 | -초자아 기능의 장애 |
|
학습이론 | -부모를 통한 모방학습, 조작적 조건형성에 의해 습득 -TV를 통한 폭력행동 관찰 모방 (Bandure와 Walter, 1963) |
|
사회문화적 요인 | -낮은 교육수준, 높은 실업률, 경제적 곤란, 가족생활의 파탄 -심리적 불안과 공격성 증대 -반사회적 행동을 통해 사회․경제적 욕구를 정당화 |
|
신경생물학적요인 | - 유전, 혈중 세로토닌(serotonin)수준, 뇌기능 장애, 기질 |
|
다. 품행 장애의 치료
치료주체별 | 특 징 | 비 고 |
부모 | -비난과 처벌, 저항과 반발의 악순환을 끊음 |
|
정신건강 전문가 및 교사 | -부모의 태도변화를 유도 -부부갈등이나 갈등표현방법의 변화를 유도 |
|
▶ 치료 방법 (1) 좌절과 불만을 사회적으로 좀더 용인되는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가르침 (2) 가정과 학교에서는 일관성 있는 보상과 처벌의 규칙을 만들어 긍정적 행동을 강화 (3) 개인 심리치료를 통해 새로운 적응기술 습득, 좌절에 대한 인내력 키우며, 긍정적인 자화상 회복 (3) 약물치료를 통해 공격성을 감소시킴 |
3. 적대적 반항 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어른에게 거부적이고 적대적이며 반항적인 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가. 적대적 반항 장애의 진단 기준 및 특성
1) 화 잘냄, 규칙무시, 고의적으로 타인의 기분을 상하게 함, 자신의 실수를 전가, 비난, 심술, 복수심
2) 위의 반항적 행동들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학교나 가정에서 문제
3) 품행장애 기준에 해당되지 않으면 적대적 반항장애로 진단
4) 학령기 아동의 16~22%가 반항적 성향
5) 3세경부터 시작 8세 이전
6) 여자 아동은 적대적 반항장애로, 남자 아동은 품행장애로 진단되는 경향
나. 적대적 반항 장애의 원인과 치료
요인별 | 특 징 | 비 고 |
부모와 자녀갈등 | -부모 : 권력, 지배, 자율 -아동 : 기질적으로 자기주장과 독립성이 강함 | 잘 밝혀져 있지 않음 |
정신분석적 입장 | -일종의 항문기적 문제(부모와 자녀간 힘겨루기) | |
행동주의적 입장 | -모방학습을 통해 학습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해 강화(논쟁으로 인한 보상적 결과) |
▶ 개인 심리치료 (치료자의 임무)
(1) 좋은 치료적 관계형성 : 아동의 욕구불만과 분노감을 잘 수용
(2) 아동이 원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적응적 행동 습득과 강화
(3)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관계개선이 이루어지도록 유도
제 4절 학습장애
1. 학습 장애(learning disorders)의 정의
- 나이나 지능에 비해 실제적인 학습기능이 낮은 경우를 말함
2. 학습 장애의 종류
가. 읽기 장애(reading disorder)
1) 정의 : 글을 잘못 읽거나 읽는 속도가 느리거나 글의 이해력이 부족한 경우
2) 진단 : 읽기의 정확도나 이해능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가 아동의 나이, 지능,
교육수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을 때
3) 증상 : 단어를 바꾸거나 생략해서 읽음, 유사한 낱말을 혼동하거나 추측해서 읽음, 문장에 없는 내용을
삽입하거나 추가하여 읽음
4) 종류
가) 단어재인장애 : 글자를 정확히 발음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나) 독해 장애 : 글을 읽어도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
나. 산술 장애(mathematics disorder)
1) 정의 : 숫자의 계산능력에 결함이 있는 경우를 말함
2) 진단 : 표준화 검사에서 아동의 산술능력이 나이, 지능, 교육수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을 때
3) 증상 : 수리적 계산 문제에 곤란을 나타냄, 읽기 장애의 이차적 문제가 나타남
다. 쓰기 장애(disorder of written expression)
1) 정의 : 철자법을 자주 틀리거나 문법에 어긋난 문장을 샤용하고 문잔 구성이 빈약한 문제를 나타냄
2) 진단 : 표준화 검사에서 아동의 쓰기능력이 나이, 지능, 교육수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을 때
3) 증상 : 단순한 자료를 보고 쓰는 능력이 부족함, 문장구성에서 사용되는 단어와 문장의 수가 적음, 시제 및 구두법상의 오류를 자주 범함.
라. 학습장애의 원인 및 치료
1) 생물학적 원인 : 유전, 뇌 손상, 뇌의 좌-우반구 불균형
2) 환경적 원인 : 가정환경, 교사나 부모의 잘못된 교육방법
3) 치료
가) 심리 치료의 3요소 : 학습을 위한 기술을 가르침, 심리적 지지를 해주어 자존감 및 자신감을 키워줌,
효과적으로 공부하고 자신의 생활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
나) 약물 치료 : 과잉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리탈린(Ritalin), 덱시드린(Dexedrine)과 같은 중추신경 자극제
제 5절 의사소통 장애
1.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의 정의
정상적인 지능수준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말이나 언어의 사용에 결함이 있는 경우
2. 의사소통장애의 하위 유형
가. 표현성 언어 장애(expressive language disorder)
1) 정의 : 언어이해에는 문제가 없으나 언어적 표현에 현저한 제한이나 결함을 나타내는 경우
2) 진단 : 표현성 언어발달을 측정하는 표준화 검사의 점수가 비언어적 지적능력과 수용성 언어발달의
검사점수보다 현저하게 낮을 때
3) 증상
가) 어휘가 제한되어 있거나 짧고 단순한 구조의 말을 주로 사용
나) 어순이나 시제가 잘못된 언어적 표현 사용
다) 단어나 어휘를 부적절하게 사용
라) 문장의 주요부분을 생략하며 길고 복잡한 문장을 생성하지 못함
4) 종류
가) 획득형(acquired type) : 정상적 언어발달 형성 후 뇌염, 두부 외상 등의 신경학적 문제로 인해 생겨남
나) 발달형(developmental type) : 특별한 신체적 문제없이 서서히 언어장애가 나타남
나. 혼재형 수용-표현성 언어 장애(mixed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disorder)
1) 정의 : 정상적인 지능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언어의 표현과 이해에 현저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
2) 진단 : 수용성 언어발달과 표현성 언어발달을 측정하는 표준화 검사의 점수가 비언어적 지적 능력에
비해 현저하게 낮을 때
3) 증상
가) 경미한 증상 : 특정한 유형의 단어나 문장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나타냄
나) 심한 증상 : 기본적 어휘나 단순한 문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청각적 문장이해에도 결함이 나타냄
4) 원인
가) 신체적 원인 : 뇌 손상이나 감각기관의 결함
나) 환경적 원인 : 유아기에 언어적 환경과 자극이 주어지지 않음으로 해서
다. 음성학적 장애(phonological disorder)
1) 정의 : 발음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
2) 증상
가) 단어의 마지막 음을 발음하지 못하거나 생략
나) 혀 짧은 소리
다) 단어를 발음할 때 한 음을 생략하거나 다른 음으로 대치
3) 유발요인
청각 장애, 발성기관의 구조적 결함, 신경학적 장애, 인지 장애, 등
4) 치료
가) 음성학적 문제를 유발하는 신체적 또는 심리적 문제 해결
나) 올바른 발성 습관 교육
라. 말더듬기(stuttering)
1) 정의 : 말의 유창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2) 증상
가) 말을 시작할 때 첫 음이나 음절을 반복하여 사용
나) 특정한 발음을 길게 함
다) 말하는 도중 부적절하게 머뭇거리거나 갑자기 큰 소리로 발음
3) 원인
가) 말을 더듬는 사람을 흉내 내거나 정서적 흥분이나 불안상태에서 우연히 말을 더듬게 됨
나) 심리적 압박감이나 긴장감이 고조되어 자연스런 말과 행동이 억제되는 상황이 됨
다) 타인 앞에서 말을 더듬는 것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하여 심리적, 신체적 긴장이 증대 됨
4) 치료
가) 인지 행동적 치료
(1) 말더듬기에 대한 과도한 의식과 그로 인한 불안과 긴장에 도움이 됨
(2) 타인에게 말더듬는 모습을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강렬한 욕구에 도움이 됨
(3) 말을 해야 되는 상황에 대한 회피행동에 도움이 됨
나) 언어 치료적
(1) 더듬게 되는 음절이나 단어에 대한 유창한 발성 연습
(2) 정확한 발음을 위한 호흡조절 능력 향상
(3) 리듬을 타면서 말하기 연습
제 6절 틱 장애
1. 틱 장애(tic disorder)의 정의
얼굴 근육, 신체일부를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갑자기 이상한 소리를 내는 이상행동을 반복적으로 나타냄
2. 틱 장애의 하위 유형
가.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
1) 정의 : 다양한 운동 틱과 음성 틱이 1년 이상 지속
2) 문제점
가) 강박증적 사고와 행동이 동반 됨
나) 주의가 산만하고 충동적인 경향이 있음
다) 사회적 상황을 피하고 우울감이 나타남
3) 원인
가) 유전적 요인 : 동일한 가족 내에서 발생
나) 신경 화학적 또는 신경 해부학적 요인 : 도파민 억제제, 도파민 강화제, 기저핵의 이상
4) 치료
가) 약물 치료 : Haloperidol, Pimozide, Clonidine
나) 심리 치료 : 효과 기대가 어려움(행동 문제나 적응문제가 있을 때 적용)
다) 행동 치료 : 습관 반전법(habit reversal treatment)
나. 만성 운동 또는 음성 틱 장애(chronic motor or vocal tic disorder)
1) 정의 : 운동 틱 또는 음성 틱 중 한가지의 틱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틱이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거의 매일 또는 간헐적으로 하루에도 몇 차례씩 일어나야 함
2) 원인 :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3) 치료
가) 경미한 경우 : 행동 치료 및 심리 치료
나) 심한 경우 : 약물 치료(Haloperidol)
다. 일과성 틱 장애(transient tic disorder)
1) 정의 : 한 가지 이상의 틱이 최소한 4주 이상 거의 매일 하루에도 여러 번씩 일어나지만, 1년 이상 지속 되지 않는 경우
2) 원인
가) 신체적 원인 : 대부분 점점 악화 되어 뚜렛 장애로 이행되고 틱 장애의 가족력이 있음
나) 심리적 원인 : 서서히 사라지며 스트레스나 불안에 의해 악화됨
3) 치료
가) 가벼운 경우 : 자연히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족이 무시해도 좋음
나) 심한 경우 : 정서적 문제가 야기되면 전문가의 평가와 치료를 받도록 함
제 7절 배설 장애
1. 배설 장애(elimination disorder)의 정의
대소변을 가릴 충분한 나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리지 못하며 옷이나 부적절한 장소에서 배설하는 경우
2. 배설 장애의 유형
가. 유뇨증(enuresis)
1) 정의 : 5세 이상의 아동이 신체적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옷이나 침구에 반복적으로 소변을 보는 경우
2) 진단 : 연속적으로 3개월 이상 매주 2회 이상 부적절하게 소변을 보는 경우
3) 종류
가) 야간형 유뇨증: 수면 초기
나) 주간형 유뇨증: 남자보다 여자가 많고 9세 이후는 거의 없음
다) 주야간형 유뇨증
4) 문제점
가) 사회활동의 제약
나) 친구들로부터의 놀림과 배척
다) 부모에 대한 불안과 분노
라) 낮은 자존감
5) 원인
가) 유전적 요인
나) 요 농축능력의 장애
다) 자발적 배뇨를 할 수 없을 정도의 낮은 방광 용적
라)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나 심리적 갈등
마) 부적절한 대소변 훈련
6) 치료
가) 행동 치료적 기법 : 전자식 경보장치(bell and ped)
나) 놀이 치료, 가족 치료, 약물 치료(삼환계 항우울제)
나. 유분증(encorpresis)
1) 정의 : 4세 이상의 아동이 대변을 적절치 않은 곳에 반복적으로 배설하는 경우
2) 진단 : 3개월 이상 매주 1회 이상 나타날 경우
3) 원인
가)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 : 입학, 동생의 출산, 부모불화, 어머니와의 이별, 등
나) 생물학적 원인 : 뇌신경 발달의 지연
4) 치료
가) 대변 가리기 훈련
나) 행동 치료
다) 심리 치료
제 8절 급식 및 식이 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of infancy or early childhood)
1. 정의 : 유아나 어린 아동이 영양분을 섭취하는 행동에 있어서 비정상성을 나타내는 경우
(섭식장애와 구별 : 청소년기 이후)
2. 하위 유형
가. 이식증(pica)
1) 정의 : 영양분이 없는 물질이나 먹지 못할 것을 적어도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먹는 경우
2) 원인
가) 가정의 경제적 빈곤, 부모의 무지와 무관심, 아동의 발달 지체
나) 영양 결핍, 철분 결핍
3) 치료
가) 부모와 아동에 대한 교육
나) 결핍된 영양분 보충
다) 행동 치료적 기법
나. 반추 장애(rumination disorder)
1) 정의 : 음식물을 반복적으로 되씹거나 토해내는 행동을 1개월 이상 나타내는 경우
2) 증상 : 평소 안절부절 못함, 배고픔을 느낌, 체중감소, 영양실조, 등
3) 원인
가) 정신분석적 입장 : 엄마로부터 오는 과잉자극에 대한 대처하려는 시도
나) 행동주의적 입장 : 정적자극에 의해 강화되고 지속되는 행동
다) 생물학적 입장 : 식도역류와 같은 신체적 기제가 관여함
4) 치료
가) 영양학적 개입과 행동치료
나) 외과적 처치 : 지속적인 체중감소, 폐렴, 등
다. 유아기 또는 초기 아동기의 급식 장애(feeding disorder of infancy or early childhood)
1) 정의 : 6세 이하의 아동이 지속적으로 먹지 않아 1개월 이상 심각한 체중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2) 증상
안절부절 못함, 정서적으로 무감각하거나 위축됨, 부모-아동의 상호작용 문제
제 9절 운동기술 장애
(motor skills disorder)
1. 정의 : 나이나 지능수준에 비해 움직임 및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미숙한 경우
2. 증상
가. 앉기, 기어 다니기, 걷기, 뛰기, 등의 운동발달이 늦음
나. 물건을 자주 떨어뜨림, 운동이나 글씨쓰기를 잘 못함
제 10절 기타의 아동. 청소년기 장애
1. 분리불안 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애착대상과 떨어지는 데에 심한 불안을 나타내는 정서적 장애
2. 반응성 애착 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5세 이전에 나타나는 부적절한 대인관계 패턴을 말하며 사회성의 발달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
3. 선택적 무언증(selective mutism)
언어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말을 하지 않는 경우
4. 정형적 동작 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
특정한 패턴의 행동을 외견상 아무런 목적 없이 반복적으로 지속하여 부적응적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네맘내맘ㅣ가족코칭-이해밑거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상담 서약서 (0) | 2017.05.01 |
---|---|
아내 학대 및 폭력 발생시 경찰관 및 쉼터의 역할 (0) | 2016.04.11 |
[스크랩] 사람의 정신을 지배하는 뇌 속의 주된 물질 (0) | 2016.03.02 |
아이돌봄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안 (0) | 2016.02.11 |
[브루너] 인지발달이론 & 교수이론 & 발견학습이론 (0) | 2016.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