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S. Bruner)브루너의 인지발달이론
아동의 지능 발달은 활동적 표현(Enactive representation), 영상적 표현(Iconic representation), 상징적 표현(Symbolic representation)의 순서로 표현 수단의 증대와 그 사이의 구성 능력의 증대이다. 학문의 기본 원리나 구조를 아동의 능력에 맞추어 구체적인 활동적 양식으로 제시할 수도 있고, 시각적 표현이나 추상작인 기호적 표현을 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학문의 기본 원리나 구조 자체는 마찬가지이고 그 표현 양식만이 바뀌었다. 따라서 학습의 준비성 개념은 소멸(아동의 논리에 의한 점진적인 동화를 강조하는 피아제 이론과 정면으로 대립)되고 아동의 능력에 맞추어 교재를 번역, 제시하는 문제가 대두된다.
개인에 의한 자주적 형성보다 교육적 전달을 강조하고 있다. 사고의 발달에 있어서 문화 환경의 영향 및 교육의 역할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사회적․역사적 경험의 전달 수단으로서의 언어의 역할을 중시하고 있다.
EIS 이론은 교사주도의 의미 있는 수업을 전개하는 데 참고해야할 이론으로, 특히 수학적인 정의(definition)를 학습하는 데 유익한 지도이론이다. 수학의 기본원리나 구조를 아동의 능력에 맞추어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된다.
Bruner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원리를 주장하였는데 아동은 점차 학습해감에 따라 자신이 최초에 배운 학문의 기본구조를 점차 강력하고 정확하게 구성해 나갈 수 있으며, 이것이 초기의 학습이 충실하면 할수록 보다 쉽게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참고) 6차 이전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나산형 원리에 따라 집합, 함수 등의 수학적 개념들을 초등화하여 조기에 도입하고 반복 심화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EIS 이론>
활동적 표현 피아제의 감각운동기
어떤 아동들이 사물을 기억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물체에 수행할 행동과 관련하여 사물을 기억 한다.
덧셈문제를 손가락으로 만져가면서 계산, 자료를 직접 다룬다.
영상적 표현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단계에서 정신적인 상(image) 영역으로 이동하게 한다.
아동들이 행동을 기억하거나 필요할 때 재생산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작용하거나 조작을 영상화(그림)시킬 때
flow chart, 수형도, 카릍지안 곱의 그림 표현, 전달하고자 하는 구조에 대한 도식적 표현
상징적 표현 언어능력이 출현함으로써 가능
초기단계에서는 행동과 이미지의 뒷받침을 받고
피아제는 형식적 조작단계에서 독립적인 의미를 획득
기호를 사용
<Bruner의 The Process of Education>
․구조중심 교육과정을 대표하며 ‘새 수학’의 인식론적 골격을 제공하였다.
․지식의 구조 : 각 학문 분야는 그 학문의 독특한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교육과정은 그러한 학문의 기본 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조직되어 한다. 구조를 학습하는 것은 사물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학습하는 것이므로 참다운 이해란 내용의 구조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교과의 구조 파악의 이점(Bruner)
①기본적 사항을 이해하면 내용을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②오래 기억될 수 있다.
③새로운 상황과 과제에 전이 가능
④고등지식과 초등적인 지식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Bruner의 발견학습>
아동이 구체적인 자료를 다루는 가운데 이미 이해하고 있던 직관적인 규칙에 대응하는 새로운 규칙성을 발견하게 되는 학습을 말한다. 학습자가 발견한 것은 학습자의 밖의 어떤 것이 아니라 이미 알고 있는 어떤 모델과의 대응관계이다. 즉, 발견은 미리 알고 있던 생각의 내적인 재조직이다.
이는 구체적인 자료의 취급으로부터 표상 수준의 증대라는 아이디어와 학습을 내적인 지식의 재조직으로 보는 Socrates적인 관념을 결합한 것이다.
발견에 의한 지도는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를 푸는 방법을 찾도록 의미 있는 상황을 주는 것이고, 발견이란 가설을 세워가면서 문제를 푸는 과정을 형성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발견적 지도에는 순수 발견적 지도와 인도된 발견적 지도 방법이 있을 수 있다.
<Bruner와 Piaget 이론의 차이점>
브루너는 지적 발달에 있어서 피아제가 중시하고 있는 내적인 자기조정요인을 인정하면서도 외적인 사회적ㆍ문화적 요인과 교육적ㆍ언어적 요인을 강조하는 점에서 피아제와 입장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피아제 이론은 아동들에게 어떤 개념을 가르치기전에 아동들이 그 개념을 학습할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반면, 그 자신이 직접 수업 적용에 관심을 가졌던 브루너는 그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학습자가 어떤 지적 발달 수준에 있던 타당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함으로써 가르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시말해, 브루너는 어린 아동들에게까지도 복잡한 개념을 그들의 지적능력과 경험에 맞게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EIS 이론>
- 아동의 지능의 발달은 활동적(enactive) 표현, 영상적(iconic) 표현, 상징적
(symbolic) 표현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표현 수단의 발달과 그 사이의 조정 능력 발달을 의미
․활동적 표현
적절한 운동적 반응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구체적 조작기까지의 아동에게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되며, 아동의 인지 발달과 더불어 내면화 되어 감.
․영상적 표현
도식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수도(數圖)를 이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것은 자연수에 대한 영상적 표현이며, 벤다이어그램은 집합에 대한 영상적 표현이고, 여러 가지의 함수의 그래프는 함
수에 대한 영상적 표현임.
․상징적 표현
언어 능력의 발달과 더불어 나타나는 것, 숫자 표현은 자연수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며, 덧셈식이나 뺄셈식은 덧셈과 뺄셈에 대한 상징적 표현.
-------------------------------------------------------------------
EIS 이론은, 어느 분야의 지식이든 어떤 문제이든 적절한 일련의 행동에 의해(행동적 표현, enactive representation), 어떤 개념을 완전히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을 나타내는 일단의 대략적인 이미지나 그림에 의해(영상적 표현, iconic representation), 명제를 형성하고 변형하는 규칙과 법칙에 의해서 지배되는 어떤 상징 체계로부터 이끌어낸 일단의 상징적 혹은 논리적 명제에 의해(상징적 표현, symbolic representation) 세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그리고 이 각각의 표현 방식은 연령, 배경, 학습 양식에 따라 그 어려움과 유용성이 변한다는 것이다. EIS 이론은 브루너(Jerome Seymour Bruner)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김응태ㆍ박한식ㆍ우정호(1985) 및 우정호(2000)에 의하면, 그것은 본래 피아제(Jean Piaget)의 제자인 에이블리(H. Aebli)가 행동의 내면화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도입한 것으로, 제네바(Gen va) 학파의 착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홍진곤(1998)에 의하면, 교육과정의 설계는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게 처방되어야 한다는 브루너의 주장은 피아제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상 브루너의 EIS 이론은 피아제의 이론과 '구조' 개념과 '수학적 인식'의 인식론적인 입장에서 차이가 있다.
----------------------------------------------------------
브루너(J.S. Bruner) 의 敎授理論
Ⅰ. 서 론
브루너(J.S. Bruner)에 의하면 敎授理論이란 ‘교수활동에 대한 규범적(normative)이고 처방적(prescriptive)인 일반 이론’으로 규정된다. 그는 知識의 構造 및 表現方式 등을 설명하는 교육과정의 일반론을 『교수이론 서설』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보여 주고 있다. 교수이론에 포함되는 구체적 요소로는 學習意慾, 知識의 構造, 系列, 賞罰(强化)의 네 가지이며 그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Ⅱ. 교수이론의 네 가지 요소
1. 學習意慾(경향성)
학습의욕이란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으로서 준비성(Readiness)과 유사한 개념이며 넓은 의미
로는 지적 활동에 대한 태도를 뜻한다.
2. 知識의 構造
가. 표현방법 : 학생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교재를 그 발달단계에 맞게 구조화하여 구체적인 방식으로 제시해야 한다.
⑴ 작동적 표현(enactive representation) : 직접 해 보거나 조작해 보게 한다.
⑵ 영상적 표현(iconic representation) : 요약된 圖式이나 映像으로 표현한다.
⑶ 상징적 표현(symbolic representation) : 논리적 命題나 언어로 표현한다.
나. 경제성(economy) : 머리 속에 기억하고 있어야 할 정보의 양이 적은 상태를 말한다.
다. 생성력(power) : 머리 속의 것을 밖으로 끄집어내어 적용하는 능력으로서, 대체적으로 경제적인 표현이 큰 생성력을 가진다. 그러므로 잘 구조화된 지식이란 올바른 방식으로 표현되고 경제성과 생성력을 가진 조직된 지식을 말한다.
3. 系列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이해․변형․전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습과제를 순서대로 조직․제시하는 원칙을 말한다. 학습의 계열은 대체적으로 作動的․映像的․象徵的 표현의 순서를 따라야 한다.
4. 賞罰(强化)
상벌이란 학생에게 교정적 정보를 주는 강화를 말한다.
Ⅲ. 결 론
이상과 같은 브루너의 네 가지 교수이론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이들을 효율화하는 방법인 발견학습(또는 탐구학습)에 적용하기가 쉬워질 것이고 그럼으로써 학습지도 개선을 통한 교육발전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브루너(Bruner)는 그의 수업이론에서 구체적인 수업지침을 제시하기보다는 수업의 근간을 형성하는 기본 원리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특히 학습자 스스로의 힘으로 무엇인가를 발견해 나가는 능력을 강조하여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이라는 탐구적 학습절차를 제시했습니다.
다음의 4가지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선행경향성(pre-disposition)의 자극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 또는 도전감을 갖도록 자극하는 것.
문화의 특성, 동기체계 및 각 학습자의 개인적인 요인들에 영향을 받습니다.
지식의 구조화 (structure of knowledge)
지식의 구조는 각 학문 내지 교과의 기저를 이루는 일반적 핵심적 아이디어, 개념, 원리를 뜻합니다.
따라서 브루너에게 잘 가르친다는 것은 지식의 구조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동적 표현 - 직접 몸으로 표현하는 것만을 인식할 수 있는 단계
영상적 표현 - 그림 등으로 표현하는 것까지 인식 가능한 단계
추상적 표현 - 언어나 그림 등을 통하여 표현한 것까지 이해 가능
학습의 계열화(sequence)
학습과제를 제시할 때는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조직해야 하는데 이 때 계열성 있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모든 학습자에게 적용되는 최적의 계열은 없다.
둘째, 학습자의 지적 발달 단계에 적절한 표상 양식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셋째, 여러 가지 가능한 행동의 탐구는 학습 자료의 계열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강 화 (reinforcement)
브루너는 강화에 대하여 다음의 의견을 밝혔습니다.
첫째, 외적 보상이 강하면 성취 자체로부터 받는 보상은 줄어든다.
둘째, 실패는 다음의 성공을 위한 기초가 된다.
셋째, 성공에 대한 외적 보상은 성공한 수준의 행동만 되풀이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넷째, 외적인 벌은 행동을 와해시킬 수 있으므로 시정과 향상의 기반으로 작용하기 어렵다.
다섯째,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은 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네맘내맘ㅣ가족코칭-이해밑거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람의 정신을 지배하는 뇌 속의 주된 물질 (0) | 2016.03.02 |
---|---|
아이돌봄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안 (0) | 2016.02.11 |
훌륭한 리더의 핵심 요건 PPT (0) | 2016.02.11 |
마음챙김 풍경과 음악 PPT (0) | 2016.02.11 |
[삐아제] 인지발달이론 (0) | 2016.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