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맘내맘ㅣ가족코칭-이해밑거름

정서심리학 제13장, 정서장애

실다이 2016. 2. 10. 22:42


정서심리학_정서장애_김난주_131120.hwp




정서심리학

Robert Plutchik 저. 박권생 역. 학지사.

제13장 정서장애

1. 정서장애란 무엇인가


1) 정서적 성향과 악화


(1) 정서적 유형 4 (고대 그리스 히포크라테스. B.C.377 사망)...467

 다혈질(혈액): 낙관적이고 사교적 (성급한 기질)

 담즙질(담즙): 성질이 급하고 충동적 (화를 잘 내는 기질)

 점액질(점액): 조용하고 수동적이고 수용적 (냉정한 기질)

 우울질(흑즙): 우울하고 불안 (우울한 기질)


(2) 체형과 정서 (Ernst Kretschmer, 1888~1964)...내 안에 접혀진 날개, 리처드 로어, 안드레아스 에베르트, 이화숙 옮김, 열린출판사, 1993, p21

 비만 체형(뼈대가 굵은 체형): 순환기질(광적 우울증 체질)

 마른 체형(뼈대가 약한 체형): 분열성 기질(분열적 체질)

 근육질 체형(운동선수 같은 체형): 점성 기질(간질 체질)


<에니어그램> ......내 안에 접혀진 날개, 리처드 로어, 안드레아스 에베르트, 이화숙 옮김, 열린출판사, 1993, p23

*유형론: 인간의 영혼을 쉽게 들여다보려는 목적을 지닌 지도.

*지도 한 장을 연구했다고 전체를 ‘경험’한 것과 같지는 않다.

*유형론의 취약점: 개인의 독창성, 독자성, 특성을 무시한다.

*조건을 설명하면서도 변화를 겨냥하는 ‘내적 역동성’을 포함한다.


<융 유형론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의 관련성>...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기발견을 위한 성격의 역동성 탐구, Don Richard Riso & Russ Hudson, 학지사, 2010, p490

-1번: 외향적 사고형

-2번: 외향적 감정형

-3번: (불일치)

-4번: 내향적 직관형

-5번: 내향적 사고형

-6번: 내향적 감정형

-7번: 외향적 감각형

-8번: 외향적 직관형

-9번: 내향적 감각형


(3) 정서적 악화(장애) 분류...468

-치료자: 치료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연구자: 연구에서 다루는 질환이 같은 것인지 다른 것인지 확인

-미국 정신의학회가 분류한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DSM)>: 1917년(59개), 1952년(111개), 1987년(261개), 1994년(397개)


-Salzinger, 1999: “사람들이 점점 정신이 이상해지는 걸까, 정신과 의사들이 진단명을 더욱 세분화는 걸까?”

-Maddox, 1993: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결정사항이고, ‘어떤 행동을 변화시켜야 하는가’는 가치의 문제이지 과학의 문제가 아니다. 생활문제를 병리적 진단으로 바꾸는 것이 과연 옳은가?”

-Follette & Houts, 1996: “000장애(Iuteral phase dysphoric, 월경전 긴장), 니코틴 의존성(지나친 흡연), 성욕감퇴장애(성적 욕망을 느끼는 빈도 부족) 같은 장애는 정신장애가 아니라 생활적인 문제다.”

-Wakefield, 1999: “장애란 진화를 통해 고안된 기제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투쟁 & 도주 반응’은 인간이 그렇게 진화했기 때문에 비적응적 반응이며 심장질환 증가 요인으로 간주하지만 장애로 간주하지 않는다.”* 기분장애: 자연도태를 통해 형성된 두려움, 불안, 슬픔, 기쁨을 조절하는 정서적 체계의 고장

* 사고장애: 자연도태를 통해 합리적으로 생각하도록 고안된 뇌기제의 고장

-Widiger & Clark, 2000: "개인의 증상 중 서로 다른 진단명에 속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DSM은 증상 군집 차원별로 구성되어야 한다.”


(4) 정서 표현의 어려움...469

-Meichenbaum, 1994: “충격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T Stress Disorder)를 가진 환자들은 종종 비유적으로 내적 상태를 묘사한다.”

* ‘나는 동굴 속에 갇혀 밖으로 나갈 수 없는 느낌이다.’

* ‘나는 압력밥솥 같은 느낌이 든다.‘


(5) 심리상담이나 심리치료를 원하는 이유 4

 환자가 우울/불안/분노와 같은 특정 정서를 너무 ‘자주/강하게’ 경험한다.

 환자가 애정/신뢰/분노/주장을 너무 ‘드물게/약하게’ 경험한다.

 환자가 관계를 어려워한다. (부모에게 죄책감, 상사에게 분노, 자녀에게 실망, 애인에게 불안)

 환자가 정서 간에 심한 갈등을 겪는다. (두려움과 분노, 분노와 애착, 독립성과 의존성)


(6) 정서의 역기능과 문제...470

-Plutchik(2000) : “DSM-Ⅳ 진단의 대부분이 정서상의 역기능이나 문제가 있다.”

* 의존성 인격장애 : 지지나 승인을 잃는 것이 두려워 다른 사람들과의 의견이 일치하지 앟는 것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연극성 성격장애 : 자기 극화, 연극 같은 부자연스러움, 과장된 표현을 보인다.

* 편집성 성격장애 : 남들에게는 분명하지 않은데도 자신의 인격이나 명성이 공격당했다고 지각하며, 분노의 반응이나 반격을 신속히 한다.

-정서적 상태를 나타내는 증상을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 포함하고 있다.


(7) 정서 증상을 보는 방식...471

-‘다른 어떤 것’을 나타내 주는 기호 또는 표현으로 간주된다.

-정신분석학자: 저변에 내재된(무의식적) 갈등에서 증상의 의미를 찾는다.

-임상가: 삶에서 마주치게 되는 위기에 대한 부적절한 대처라고 본다.

-증상은 그 사람이 소유하지 못한 능력에서 비롯된다.

-증상은 모든 관계를 특징짓는 위계적 관계에서 벌어지는 권력투쟁을 반영한다.

-타고난 기본적 욕구나 성향의 발달을 환경이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상태이다.

-자동부유 불안: 이유를 모르는 채 우울할 수 있고 화가 날 수도 있다.

-Kushner & Beitman(1990): 두려움이나 불안 같은 주관적 느낌이 없는데도 공황발작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강한 정서에 대한 반발로 생겨나는 신체적 질환인 정신신체적 징후도 있다...471


<고통의 원천은 약점> 성공하는 사람의 성격관리,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기분석, 헬렌 팔머 & 파울 브라운, 윤운성 외 공역, 학지사, 2001, p15

-약점은 방어적인 심리정서적 생존 전략

-개인의 특징적인 생존 전략을 건설적인 삶의 방식으로 개발

-유아기의 정서적인 불안에 대처하기 위한 보호망으로 만들어 유용하게 사용

-고대에는 약점을 고통의 원천으로 간주했고, 약점 보완은 정신적 성숙을 이룩한 것으로 이해 

 

2. 두려움과 불안


-두려움은 불쾌한 감정인데, 발한, 빠른 심장박동, 떨림 등의 생리적 징후와 결합되어 혼란스럽다.

-일상생활에서는 두려움을 유발하는 위험한 상황이 일시적으로 마감되고 잠깐의 경험으로 끝난다.

-수수께끼 같은 이례적 측면: 별로 해롭지 않은 것(나방, 곤충, 애벌레, 새)을 훨씬 위험한 것(전기 콘센트, 자동차, 총)보다 더 두려워하는 점과, 사건이 없는데도 통제할 수 없는 공황발작을 경험해서 약물과 정신과의사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표 13.1> 몇 가지 흔한 공포증...473

고소공포증(고소), 광장공포증(광장), 통각공포증(통증), 천체공포증(천둥과 번개), 밀실공포증(밀실), 분변공포증(배설물), 협흔공포증(피), 공수병(물), 발음공포증(말하기), 불결공포증(오물이나 오염), 시체공포증(시체), 어둠공포증(어둠, 밤), 질환공포증(질병,고통), 범법공포증(죄짓기), 음운공포증(큰소리로 말하기), 광선공포증(광선), 공식증(먹는 것), 화석화공포증(생매장 당하는 것), 사망공포증(죽음), 독소공포증(독살당하는 것), 외국인공포증(낯선 사람), 동물공포증(동물)


-Barlow(2000): “불안은 확실한 위험이 임박해 있을 때 생기는 두려움과는 달리, 미래의 가능한 위협과 위험이 다가올 것으로 예상되는 부정적인 사건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 느낌이다.”

* 두려움: 위험한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

* 불안: 두려움을 예기하는 반응


1) 불안장애에 대한 임상적 묘사...475


(1) DSM-Ⅳ에서 불안장애 유형 구분: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특수공포증, 강박장애, 충격 후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2) 불안장애의 단계별 증상

-초기 단계: 머리가 아찔하고 어지러우며 균형감이 깨진 느낌. 숨쉬기가 어려울 수도 있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흉부통증, 조이는 느낌, 신체의 어떤 부위가 따끔거리거나 마비된 느낌, 안명 홍조, 메스꺼움, 설사, 두통 혹은 자신의 신체 밖에 있거나 자신의 신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느낌

-두 번째 단계: 난데없이 일어나는 공황과 극도의 무서움. 신체적 건강을 염려하는 태도. 공황발작 당시 어디에 있었느냐에 따라 공포증이 더 있다.

-극단적 단계: 공공장소, 군중, 자동차, 터널, 고속도로 등을 두려워하는 광장공포증 형태. 예기불안. 염세주의자, 우울증 환자(자살 충동, 강한 죄책감)


<DSM-Ⅳ 성격장애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의 일치관계>...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기발견을 위한 성격의 역동성 탐구, Don Richard Riso & Russ Hudson, 학지사, 2010, p492

-1번: 강박성 및 우울 성격장애와 일치한다.

-2번: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와 일치한다.

-3번: 자기애성 성격장애

-4번: 회피성, 우울, 자기애성 성격장애

-5번: 정신분열성, 회피성 그리고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6번: 편집성, 의존성, 수동-공격적 성격장애

-7번: 히스테리성 및 조울성 성격장애

-8번: 반사회성 성격장애

-9번: 의존성, 정신분열형, 수동-공격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는 많은 유형의 측면들과 일치하고 특정 유형과는 일치성이 낮다.)


2) 공황장애...476


(1) 공황발작 증상

불안장애가 가장 극적으로 표현됨. 두려움에 압도되는 느낌(흉부통증, 어지러움)과 생각(죽을 것 같다, 미칠 것 같다)


(2) 유병률(미국 도시 세 곳, 1998)

-공황장애(0.6%~1.5%)

-광장공포증(3%~6%, 여성은 1.5배~4배)

-불안장애(평생의 10%~20%, 여성은 2배)


(3) 불안에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

-공황장애 위험성: 공황장애 환자 가족(24.7%)과 통제집단 가족(2.3%)

-범불안장애 위험성(1983): 공황장애 환자 가족과 통제집단 가족이 비슷

-알코올중독(1983): 공황장애 환자 가족이 통제집단 가족보다 2배


(4) 호주의 일란성 쌍생아와 이란성 쌍생아 3,798쌍 검토(1986)

-유전적 요인이 불안원인의 34%~46%를 설명하고 나머지는 환경요인(특정한 생활사의 충격이나 상실)

-Plomin, De Fries, Mchearn, McGuffin(1997): “불안장애의 잠재적 발달에는 여러 가지의 유전자가 기여한다.”


(5) 불안장애의 발병과 원인

-사회공포증: 아동기나 사춘기에 처음 나타나고 그 이후에 나타나는 일은 거의 없다.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 사춘기 후반이나 성인 초기에 발병, 평균 발병은 약 26세(Humble, 1987)


(6) 불안의 종류

-공황감: 예측할 수 없을 때 일어남(항우울제로 차단효과)

-예기불안: 공황발작이 다시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진정제로 일시 감소)

-Klein(1981): “공황발작과 광장공포증의 발달은 아동기에 겪은 불안과 분리경험과 관련있다.”

-공황장애나 광장공포증 성인환자의 30%~50%가량이 아동기에 강렬한 분리불안 경험

-Barlow(2000): “초기에 부모로부터 받은 경험이 나중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에 통제감을 감소시키는 경험이 불안장애 발현에 중요하다.”


3. 불안이론


1) 공황장애의 경보오류 가설...479


(1) 인지적 오해


-Windmann(1998): “공황은 자신의 신체적 증상에 대한 인식이 위협적 경험과 결합될 때 발생한다는 비합리적인 것을 깔고 있다.”


(2) 공황장애나 범불안장애 환자들은 불안과 관련된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탐지하고 주의를 기울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며 회상하는 경향이 있다.


(3) McNally(1994): "공황발작이 공황장애의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아직도 분명하지 않다.“


(4) Beck & Clark(1988)

- "뇌는 최소한의 위험 신호에도 빠르고 불수의적이고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이며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조기 경고체계가 있고, 빠른 반응은 진화적 가치가 매우 크고 개체의 생존가능성도 증가시키지만, 위험을 잘못 탐지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고 잘못된 탐지가 자주 일어날 때 불안장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5) Le Doux(1998)

-"편도체가 감각 시상으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는다."

-신피질로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편도체는 위험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잘못하여 비위협적 자극에 반응을 하더라도 별 손해가 없지만 실질적 위협자극에 대해 반응을 하지 못하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위험신호에 대한 편도체의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은 진화적으로 적응적이다.”


(6) 공황장애의 경보오류 가설: Windmann(1988)

-"편도체의 경고체계가 의험을 탐지하면 그 체계는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고 위협의 대상에 주의를 집중시킨다.“

-“실질적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닥 해도 피질에는 여전히 가슴의 두근거림과 불편함과 어지러움 같은 두려움을 나타내는 신체적 증상이 등록되기 때문에, 비교적 해가 적은 이들 신체적 증상을 잘못 해석하면 공황상태까지 이르게 된다.”


2) 삼중 취약성 이론...480


(1) Barlow(2000)

-미래의 위험에 대해 자기는 통제할 수 없다는 개인의 느낌이 불안이다.

-모든 불안이 예기불안이다.

-만성적이지 않은 불안은 병리적인 불안이라 할 수 없다.

-공황은 원시적인 두려움반응이다.

-공황을 경험하는 사람은 공황을 야기한 선행조건을 알 수 없다.


(2) 만성적 불안 발달의 취약조건 3, Barlow(2000)

 생물학적 혹은 유전적 취약성: 변이 중 30~50%는 유전적 요인에 있다.

 심리적 취약성: 초기 양육방식이 아동의 일반적 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쳐서, 통제/예측을 할 수 없는 위험한 사건에 대처를 잘 못하게 된다.

 자극 구체적 취약성: 아동들 중에는 특정 대상, 사건, 체성감각을 아주 위험한 것이라고 학습하여, 두려움의 초점이 되는 경향이 있다.


3) 불안의 무의식적 활성화 이론...481


-Plutchik(1997) & Ohman(2000): 두려움/불안을 정서적 상태이면서 성격특질로 간주

* 에니어그램...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기발견을 위한 성격의 역동성 탐구, Don Richard Riso & Russ Hudson, 학지사, 2010, p486

1유형(항문적 보존), 2유형(항문적 추방), 3유형(남근적 수용), 4유형(구강적 보존), 5유형(구강적 추방), 6유형(항문적 수용), 7유형(남근적 보존), 8유형(남근적 추방), 9유형(구강적 수용)


(1) 두려움의 일반적 범주 4 (자연도태를 통해 조형됨)

 대인적 사건에 대한 두려움: 타인의 비판/거부/갈등/공격에 대한 두려움

 실존적 문제에 대한 두려움: 죽음/상해/질병/피/수술에 대한 두려움

 동물에 대한 두려움: 동물/곤충/파충류에 대한 두려움

 공간과 관련된 두려움: 열린 공간, 닫힌 공간, 홀로여행에 대한 두려움


(2) 공포증은 불합리함, Ohman(2000)

-반응이 부적절한 장면에서 나타나거나 너무 쉽게 유발되는 것이 비적응적 두려움/불안반응이다.

-편도체는 개체에게 위험한 상황을 평가하지만 위험자극의 몇 가지 특성에만 자동 반응하므로 평가는 제한적이다.

-후진차폐조건형성법으로 피험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무의식)에 두려움 유발 자극(거미, 뱀)을 제시했을 때, 통제집단보다 공포증집단에서 두려움 반응이 크다.

-위험한 자극은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할 때라도 생리적/정서적 반응을 직접 활성화시킬 수 있다.

-불안장애 환자들은 환경 속의 위험신호에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며, 위험이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성향도 강하다.


(3) 사전 기대가 주관적 감정에 미치는 효과

-참가자들에게 불안감 유발 유산액을 주입

 “불안반응을 일으킬지도 모른다.” (부정적 가정) → “불쾌감 느꼈다.”

 “긍정감정을 야기할 것이다.” (긍정적 확언) → “쾌감/불쾌감 느꼈다.”


4. 불안의 치료


1) 평범한 두려움과 공포 치료...482


-근육이완기법을 학습하여 체계적 둔감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

-점진적 노출을 상상하는 것보다 실제상황 노출이 더 효과적

-점진적이지 않아도 공포상황에 직면하면 효과(Klein, Zitrin, Woerner, 1983)


2) 불안의 독특함(정신역동 임상가)...483


-“불안은 억압 등의 자기방어기제와 증상형성의 원인. 정서는 억압될 수 있는데, 무의식의 불안을 어떻게 밝혀내고 변화시킬 수 있나?”


5. 두려움과 불안의 기능


1) 공포(회피반응)의 발달...483

-생존적 가치: 위험한 동물을 피하려는 강한 반응은 갖고 태어난다.

-Humble(1987): 위험 민감도가 높으면 고통이 따르지만 유익하다.

-뇌기제: 위험한 위기상황에 빠른 대처를 위해 진화

-공황장애: 뇌체계에 발생한 역기능 탓일 가능성


2) 두려움기제의 진화...484

-적극적 기제, 도주: 신체를 조직하고 도망이라는 목표에 모든 주의 집중

-소극적 기제, 기절: 잠깐 동안 의식을 차단시키고 반사작용을 억제시키기


3) 두려움과 불안의 기능은 응집력 유지, Trower & Gilbert(1989)

-영장류는 지배위계에 의해 조직되고 안정화된 사회집단 속에서 산다.

-사회적 불안은 집단의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했다.

-불안한 사람의 평가나 대처양상은 위협과 지위 상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경증과 인간성장』Karen Horney, 1885~1952)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기발견을 위한 성격의 역동성 탐구, Don Richard Riso & Russ Hudson, 학지사, 2010, p481


-삶의 공포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반응

 순응형: 타인에게 의지함, 부모로부터 형성된 초자아에 순응함.

-6번(사고)유형은 자신에게 기대되는 것을 하라는 초자아의 명령에 순응

-2번(감정)유형은 항상 이타적으로 사랑하라는 초자아의 명령에 순응

-1번(본능)유형은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에 순응

 공격형: 타인들에게 대항. 본성이나 자신의 염려를 주장.

-7번(사고)유형은 환경에 관여하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공격

-3번(감정)유형은 자신의 목표 추구와 타인과의 경쟁에 공격

-8번(본능)유형은 다른 사람과 환경에 대해서 자기주장하는데 공격

 후퇴형: 타인들로부터 고립, 멀어짐, 활동들로부터 물러남.

-5번(사고)유형은 행동에서 빠져나와 사고의 세계로 후퇴

-4번(감정)유형은 자신의 감정과 자신의 상처받기 쉬운 자아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해 후퇴

-9번(본능)유형은 타인들로부터 자신의 내적 평화를 방해받지 않으려 후퇴

* 근본적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식: 사랑, 순종적 태도, 권력, 일정한 거리두기


<인간의 근본적 불안, Fritz Riemann, 1902~1979)>...내 안에 접혀진 날개, 리처드 로어, 안드레아스 에베르트, 이화숙 옮김, 열린출판사, 1993, p22


 접근의 공포: 분열성 유형

 소원함의 공포: 조울성 유형

 변화의 공포: 충동성 유형

 영속성의 공포: 히스테리성 유형


6. 분노와 공격


1) 분노는 내적 감정...485


-분노, 화(anger)는 거의 누구나 느끼는 정서이다.

-분노는 분노를 야기한 대상에 보복을 하고 공격을 가하고 상해를 입히고자 하는 충동을 일으킨다.

-뒤따를 결과를 평가하기 때문에 반드시 행위로 옮겨지지 않는다.

?...수동공격, 즉각적 보복 미루기, 억압 등의 행위로 옮겨지는 것 아닌가?

?...외적 감정이라는 것이 있다는 건가?


2) 분노는 성격특성...485


-분노성향: 상황에 관계없이 거의 항상 화가 나 있는 사람도 있다.

-분노특성: 적대적인, 성급한, 앙심을 품은, 싸우기 좋아하는, 심술궂은, 빈정대는...


3) 하등동물의 분노와 공격성...485

-


7. 자살과 폭력의 상호작용...488


1)

자살은 인지적 혼란을 유발하는 극단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자살은 통제할 수 없는

공격행동 자원에 접근할 확률을 증가시키고 개체들 사이의 갈등 해결을 도우며 구애와 짝짓기의 성공가능성을 증가

공격행동의 양상을 조직하는 뇌구조가 존재한다

여러 가지 신경전달물질 체계가 공격성 표현에 관여하고 있다.

세로토닌 수준이 낮으면 폭력적으로 행동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많은 정서적 특성이 유전될 수 있다.

주장성, 외향성, 지배성에서 상당한 유전적 요소를 발견하였다.

인간을 포함한 약 1,300여 종에서 이러한 행위가 관찰되었다.

먹이의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

동족 약탈행위에도 강한 유전적 구성요소가 포함된 것

성숙한 동물이 아직 어린 동물이나 새끼를 잡아먹기도 하고 60개 인간 문화권이 식인풍습

개체군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생존전략


8. 분노와 공격성의 기능


1) 분노의 목적, Sullivan(1956)

-위협적인 상황이나 다칠 수 있는 상황을 회피하는 게 아니라 파괴나


2) 공격성

-유기체의 공격성은 9가지 공통 적응반응이 있다.

-포악한 갈색의 노르웨이 생쥐를 유순한 혈통으로 변이시키는데 8~10세대로 성공

-야생쥐는 70%가 공격적인데, 길들인 쥐는 12%가 공격적

-수탉은 너무 공격적이어서 세계 도처에서 닭싸움

-개의 공격성은 사냥개와 투견으로 활용

-동물의 공격성은 선택적 교배로 수정될 수 있다.

-공격행동의 표현을 조직하고 통제하는 뇌(신경계)

-시상하부나 편도체의 특정 핵에 전기자극을 가하면 공격행동 발생

-측두엽에 생긴 특정 뇌종양은 신경질 증가, 파괴적인 분노 폭발

공격성의 기능

-집단구성원의 생존에 필요한 공간(영토) 보전

-경쟁을 통해 가장 강한 수컷을 선별

-위험하거나 위협이 되는 상황에서 자손 보호

-한 집단 내에서 우위성 혹은 위계구조를 세워 집단의 안정 제공

(1) 인간의 분노...495

-Novaco(1976): 분노와 공격성은 목표 달성에 필요한 에너지 eYH는 행동의 강도 증가시킴

-목표 달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힘이 생긴다.

-표현적 기능:

(2) 공격성의 어두운 측면...496

(3) 폭력의 원천...497


9. 분노의 통제


1) 분노의 외형적 표현에 대한 처벌...498


-분노가 극단적 형태에 달하면 누군가 다치기 십상이어서 분노 표현 통제가 정당화된다.

-처벌자는 역할모형으로 작용하여 폭력이 원하는 것을 얻는 기술 학습으로 작용하여 화를 잘 내는 부모는 화를 잘 내는 자녀를 만든다.


2) 폭력 통제법


(1) 폭력을 다루는 사회적 보상 제한법: 짜증, 자해, 타인에 대한 공격, 비명 지르기, 물기, 기물 파손 등의 폭력에 일정 기간 동안 사회적 보상을 받지 못하게 하는 방법: 빈 방에 혼자 있기

(2) 분노나 폭력과 공존하기 어려운 행동을 보상하는 법: 본인에게 바람직한 보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토큰 주기

(3) 10대 폭력 해결법, 미국심리학회(1999)

-포럼: 학교, 지역사회센터, 종교기관 등이 10대와 부모가 폭력문제를 다루어, 폭력을 알리는 경고신호 인식,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역할, 또래집단, TV, 문헌, 무기의 역할 등을 알아보는데 5만 명 이상이 참가.


3) 정서 조절 (Gross, 1999)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거나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상담, 심리치료, 정신약리학 이용

-정서 조절 방식

 있고 싶은 장면을 선택함으로써

 자신이 처해 있는 장면을 변화시킴으로써

 주의의 초점을 변화시킴으로써

 자신이 처한 장면이나 자신에게 발생한 사건을 재해석함으로써

 자신의 반응을 변화시킴으로써


4) 정서 지능 (Goleman, 1995)


 정서적 자각: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인식과 감정의 근원에 대한 이해

 정서적 통제: 분노의 조절, 덜 공격적인 행동 표현, 스트레스 관리, 사회적 불안 감소

 정서의 생산적 활용: 책임, 자아통제

 감정이입: 타인의 감정에 대한 민감성, 경청하기

 관계 관리: 갈등해소능력, 협조적이며 돕는 능력


5) 정서적 유능성 (Saarni, 1999)


 정서적 어휘를 구사하는 능력

 정서를 상호 공유하는 능력

 그 특이성 혹은 외람성에 관계없이 자신의 정서적 경험을 수용하는 능력


6) 정서적 지능과 성격의 관계


-Roberts(1998): 정서적 지능은 사실상 성격의 한 측면일 가능성이 높다.


7) 전쟁 감소법 (Freud, 1932)


“전쟁에 가담하려는 의지가 파괴적 본능의 결과이므로 인간과 인간 간의 정서적 유대(에로스)를 강화하거나, 정서적 유대를 형성하기 위한 동일시를 통해 중요한 관심사를 공유하는 공동체 감정을 생성시키면 된다. 사회구조의 상당한 정도는 동일시를 토대로 구축된다.”


<선물받은 죄인들> ...내 안에 접혀진 날개, 리처드 로어, 안드레아스 에베르트, 이화숙 옮김, 열린출판사, 1993, p40~41

“젊은 시절에는 자아가 성장해야 하며 강해져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성장시키는 거짓 자아는 또한 우리가 죽여야만 할 요소다...우리는 자기 이미지(성격 갑옷, 에른스트 베커)가 고착되어 왔고, 타인과 자기 사이에 경계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그러나 당신이 이것이냐 저것이냐 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당신은 하느님이 사랑하시는 자녀인 것이 중요한 핵심이다...우리가 부여받은 선물이 파멸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자기가 잘 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자신을 동일시한다...우리는 위험한 역할들(얽혀들어 있는 게임)을 하고 있다...우리가 지나치게 고착되는 모든 재능은 역설적으로 우리의 죄가 된다. 우리의 재능과 죄는 동전의 양면이다. 당신의 재능을 만나기 위해서, 당신은 말하자면 당신의 죄를 씹어 먹고 소화해야 한다. 그것을 먹어서, 맛보라, 느껴라, 그것 때문에 창피를 당하라!...우리의 재능은 은총에 의해 승화되고 변형된 우리의 죄인 것이다. 우리는 죄로부터 벗어나 정화되고 순화되어야 한다. 우리의 옛 자아는 죽어야 한다. 그것은 사실 죽음처럼 느껴진다. 그것은 상처를 준다.”


<참고문헌>

-정서심리학, Robert Plutchik 저. 박권생 역. 학지사, 1994

-내 안에 접혀진 날개, 리처드 로어, 안드레아스 에베르트, 이화숙 옮김, 열린출판사, 1993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기발견을 위한 성격의 역동성 탐구, Don Richard Riso & Russ Hudson, 학지사, 2010


정서심리학_정서장애_김난주_131120.hwp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