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7장 죽음을 직면하는 법
But we are so afraid of emptiness. People come to me and say it is so difficult to be alone because one starts feeling one's emptiness. Then you seek friends, then you seek lovers, and the whole effort from the very beginning is doomed, because a man who is afraid of his emptiness cannot really love. He is afraid. Deep down there is fear. How can he love? When he moves and pretends that he is in love with somebody he is just trying to escape from himself, his own emptiness. He is trying to forget that somewhere inside there is emptiness and nothingness. He is trying to fill that emptiness by somebody's presence -- and the other is also doing the same.
doom : 운명짓다. n. 운명
presence : 현존, 존재, 실재
그러나 우리는 공(emptiness, 空)에 대해서 너무도 두려워하고 있다. 사람들은 나에게 와서 이렇게 말한다. “혼자 있는 것은 너무도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비어 있는 느낌이 들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친구를 찾고 연인을 찾는다. 처음부터 모든 노력은 불운하게 되어있다. 자신의 비어있음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사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두려워한다. 깊은 곳에 두려움이 있다. 어떻게 그가 사랑할 수 있겠는가? 그가 어떤 사람을 사랑하고 있는 척할 때 그는 단지 자기 자신으로부터, 자신의 비어있음으로부터 도망치려고 하는 것이다. 내면 어딘가에 공과 무가 있다는 사실을 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는 이 빈 공간을 다른 사람의 현존으로 채우려 한다 - 그리고 그 다른 사람도 똑같이 하고 있다.
So almost ninety-nine per cent of the love affairs on this earth are false. Sooner or later you come to realize that they have been deceptive. Lovers come to realize that they have been deceived, fooled. But they think that the other has fooled them, they never think that they have also done the same thing to the other. And they don't understand the misery of human beings and their stupidity; if they understood their own stupidity, what they are doing, they would be able to feel compassion for all. When you cannot be alone, silent, it means you are afraid of your loneliness, you want to fill it by somebody. You pretend. The other is also doing the same with you, he cannot be alone. Two persons who cannot be alone are trying to be together; now this is going to be a miserable phenomenon, a hell.
love affair : 연애, 정사
deceptive : 거짓의, 속이는, 사기의 deceive : 속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에 있는 연애의 거의 99%가 거짓이다. 조만간에 그대는 그대의 연인이 기만적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연인들은 자기들이 속았다는 것을, 우롱 당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러나 그들은 상대가 자기를 놀렸다고는 생각하지만 자신도 그 상대와 똑같이 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인간의 비애와 어리석음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이 그들 자신의 어리석음을 이해한다면, 자기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한다면, 그들은 모두에게 동정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대가 홀로 조용히 있지 못하는 것은 그대가 외로움을 두려워하며 다른 사람이 그 외로움을 채워 주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대는 위장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도 그대와 똑같이 한다. 그도 역시 홀로 있지 못한다. 그러므로 홀로 있지 못하는 두 사람이 서로 같이 있으려고 하는 것이다; 이제 이것은 비극적인 현상, 지옥이 되어 가고 있다.
If you cannot love yourself in your loneliness, how can the other love you? How can you expect anybody to love you if you cannot love yourself? If you are so fed up with your loneliness, sooner or later the other will also be fed up with your loneliness. You cannot fill it, it is something that cannot be filled. It is something that exists as part of your being -- you cannot fill it, it has to remain empty. It will remain empty. All efforts fail to fill it.
그대가 외로움 속에서 그대 자신을 사랑할 수 없다면, 어떻게 다른 사람이 그대를 사랑할 수 있겠는가? 그대가 그대 자신을 사랑할 수 없다면 어떻게 다른 사람이 그대를 사랑하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그대가 외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면 얼마 있지 않아 그 다른 사람 또한 그대의 외로움으로 가득 차게 될 것이다. 그대는 빈 공간을 채우지 못한다. 그것은 채워질 수 없는 어떤 것이다. 빈 공간은 그대 존재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어떤 것이다 - 그대는 그것을 채울 수 없다. 그것은 비어 있는 채로 남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빈 채로 남게 될 것이다. 그것을 채우려고 하는 모든 노력은 실패하게 되어 있다.
So the first thing is to get in tune with this emptiness, to allow it, to live it. Don't suppress and don't escape. Feel it, enjoy it -- and by and by you will understand the beauty of it. once you understand the beauty of your loneliness it becomes aloneness. Then it is no more empty, then it is no more nothingness. Then it is a purity -- it is so pure that it is formless.
purity : 청정, 순수
그러므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이 빈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일이다.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경험하는 일이다. 그것을 억압하지 말고 그것으로부터 도망치지 마라. 그것을 느끼고 즐겨라 - 그러면 차츰차츰 그대는 그 아름다움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일단 그대가 외로움(loneliness)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게 되면 그것은 홀로 있음(aloneness)이 된다. 그러면 그것은 더 이상 빈 것이 아니다. 그것은 더 이상 무가 아니다. 그때 그것은 순수가 된다 - 너무도 순수하여 형상도 없게 된다.
Always remember the difference between aloneness and loneliness. Loneliness is like a wound. Loneliness means you are missing the other. Loneliness means you are thinking of the other constantly, you are hankering for the other constantly. The other is in your fantasy, in your mind, in your dreams. The other is not real, is imaginary, but the other is there and because it is not real you feel lonely. When you start feeling your aloneness, the other has dropped from your mind completely. It no more shadows your dreams, it no more touches your purity. You are happy with yourself, you are ecstatic with yourself, you are enjoying yourself. Now for the first time you are in tune with your being and with your non-being. You are whole.
shadow : 그늘지게 하다. 어둡게 하다. 붙어 다니다.
홀로 있음과 외로움 사이의 차이를 항상 기억하라. 외로움은 상처와 같다. 외로움은 그대가 다른 사람을 그리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대가 다른 사람을 계속해서 생각하고 갈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사람이 그대의 환상 속에, 마음속에, 그리고 꿈속에 있다. 다른 사람은 실재가 아니라 상상이다. 다른 사람이 거기에 있다. 그러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그대는 외로움을 느낀다. 그대가 홀로 있음을 느끼기 시작할 때 다른 사람은 그대의 마음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나간다. 다른 사람은 더 이상 그대의 꿈에 나타나지 않는다. 더 이상 그대의 순수함을 건드리지 않는다. 그대는 그대 자신으로 행복하다. 그대는 그대 자신으로 황홀해진다. 그대는 그대 자신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이제 처음으로 그대의 존재와 그리고 그대의 비존재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그대는 전체가 된 것이다.
Now you can be in love. Now love can flow. But now love will be a sharing, not an escape. Now you can go and share your being -- and your non-being also. Now you can share your wholeness. Now you can allow anybody who is open to join your openness, now you can become partners in the eternal journey. This love will not be possessive, because you are ready to be alone anytime. In fact you are happy being alone, you are happy being together -- you don't choose. Both are good. Whatsoever the case you feel happy. Your happiness cannot be destroyed now; the other can enjoy it and share it but cannot destroy it.
이제 그대는 사랑할 수 있다. 이제 사랑이 흐를 수 있다. 그러나 이제 사랑은 도피가 아니라 나누어 가짐이 될 것이다. 이제 그대는 그대의 존재와 비존재를 나누어 줄 수 있다. 이제 그대의 전체성을 나누어 줄 수 있다. 이제 그대의 열림에 참여하려고 자신들을 열고 있는 모든 사람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이제 그대는 영원한 여행의 동반자가 될 수 있다. 이 사랑은 소유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언제라도 홀로 있을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실 그대는 홀로 있음으로써 행복하다. 또한 같이 있음으로써도 행복하다 - 그대는 선택하지 않는다. 양자는 다 좋은 것이다. 어떤 경우에든지 그대는 행복을 느낀다. 그대의 행복은 이제 파괴될 수 없다; 다른 사람이 같이 즐기고 나누어 가질 수 있지만 그들이 그 행복을 파괴할 수는 없다.
You can share and you can distribute it and you can give it to the whole world; you have so much of it that you can bless the whole world with it. And it goes on growing; the more you give the more you find it is there. Now you are not a miser; now your being is not constipated, you are not closed, not afraid. You can give, you can share, because you know your non-being also. Now you are not afraid of being a non-being. Now you know definitely that it is part of your being and the beauty of your being; it is your inner space where you can move, the inner shrine, the real temple. The temple exists in you.
distribute : 배포하다. 분배하다. 배급하다. 퍼뜨리다.
miser : 구두쇠, 수전노
constipate : 변비에 걸리게 하다. 막히게 하다.
definitely : 뚜렷하게, 명확하게
shrine : 성당, 사당, 성지, 신전
그대는 그 행복을 공유할 수 있고 또 나누어 줄 수도 있다. 온 세상에 줄 수도 있다; 너무도 많이 갖고 있기에 온 세상을 그것으로 축복할 수도 있다. 그러면서도 그것은 계속해서 자란다; 더 많이 주면 줄수록 그것이 거기에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제 그대는 구두쇠가 아니다; 이제 그대의 존재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대는 닫혀져 있지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줄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대의 비존재 또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그대는 자신이 비존재임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비존재가 그대 존재의 일부라는 것을 알고, 그 아름다움을 명백히 안다; 그것은 그대가 들어갈 수 있는 내면의 사원, 내면의 성지, 내면의 공간이다. 그 사원이 그대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If you search your body it exists near the navel. That's why Hindus became navel-gazers. People laugh in the West; whenever somebody meditates they say, "Have you become a navel-gazer?" Hindus know in the body... the point of death that the Japanese call hara. Hindus call the temple of the body. They close their eyes and they bring their consciousness to the temple of the body. Your body is a temple because it carries you. And from that temple you enter deeper, and then you find your non-being -- that is a greater temple of being. The body becomes the door and when you reach your inner shrine, surrounded by non-being, on the throne is the Divine. That is the center of non-being.
navel : 배꼽, 중앙, 중심
gazer : 눈여겨보는 사람, 응시하는 사람 gaze : 지켜보다. 응시하다.
throne : 왕좌, 옥좌
몸을 살펴보면 그 사원은 배꼽 근처에 존재한다. 힌두교도들이 배꼽을 주시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서양 사람들은 웃는다; 어떤 사람이 명상을 할 때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당신은 배꼽을 주시하는 사람이 되었습니까?” 힌두교도들은 일본사람들이 단전이라고 부르는 죽음의 점을 안다. 그들은 그것을 ‘몸의 사원’이라고 부른다. 그들은 눈을 감고 그들의 의식을 몸의 사원으로 가져간다. 몸은 하나의 사원이다. 왜냐하면 그 사원이 그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사원으로부터 더 깊이 들어가면 존재의 더 위대한 사원인 비존재를 찾게 된다. 몸은 문이 되고 그대가 내면의 성지로 들어갈 때 비존재로 둘러싸인 신성이 왕관을 쓰고 있다. 그것이 바로 비존재의 중심이다.
Just the other day somebody was asking how it was possible for the inner emptiness to have a center. Yes. It has only the center and no circumference -- center everywhere and circumference nowhere. This is illogical... because logic itself is illogical and irrelevant to life. Life has its own logic, and the basis of life's logic is that opposites are not opposites, they are complementaries.
circumference : 원주, 주위, 주변
irrelevant : 무관계한, 부적절한, 관련이 없는
complementary : 보충하는 것, 보완하는 것.
며칠 전에 어떤 사람이 어떻게 내면의 빈 공간이 중심을 가질 수 있는가 물었다. 그렇다. 빈 공간은 중심만을 갖고 있다. 주위에 경계선은 없다 - 경계선은 없고 중심만이 사방에 있다. 이것은 비논리적이다...왜냐하면 논리 그 자체가 비논리적이며 삶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삶은 그 자신의 논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삶의 논리의 기본은 반대편은 반대편이 아니고 상호보완적이라는 데에 있다.
Emptiness has a center. You see a wheel -- in the center there is emptiness, the hub. The wheel is matter, the hub is non-matter. But when you move in, just the reverse is the case: in the hub is the being, and the wheel is of non-being. Non-being is just the aura or your being, the light of your being, the space of your being, the territory of your being. And it is beautiful because it is absolutely empty; it is pure because it is absolutely empty -- don't be afraid of it. In the beginning it looks like death; if you allow it, it becomes resurrection. After every inner death there is resurrection.
wheel : 수레바퀴
hub : 축
aura : (물체에서 발산하는) 기운, 분위기, 느낌
territory : 영역, 영토, 세력권
resurrection : 부활, 소생, 재기
빈 공간은 중심을 갖고 있다. 수레바퀴를 보라 - 중심에 빈 공간, 축이 있다. 바퀴는 물질이지만 축은 물질이 아니다. 그러나 그대가 안으로 들어오면 그 반대가 된다. 축이 존재이며 바퀴는 비존재이다. 비존재는 그대 존재의 기운(氣運)일 뿐이다. 그대 존재의 빛이며 공간이며 영역이다. 비존재는 아름답다. 완전히 비어 있기 때문이다. 비존재는 순수하다. 완전히 비어있기 때문이다 - 그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처음에는 그것이 죽음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을 받아들이면 그것은 부활이 된다. 모든 내적인 죽음 뒤에는 부활이 있다.
That is the meaning of the story of resurrection in Jesus' life -- not that he was physically resurrected but that he passed through death, the cross, and he came to the innermost life. You have to pass the emptiness -- that is the cross. Everybody has to pass it. Nobody else can carry that cross for you, you have to carry your own cross. And unless you do, unless you pass the emptiness, you will not reach the innermost center. At that innermost center you are no more an individual, you have become God himself.
그것이 예수의 삶 속에 있는 부활 이야기의 의미이다 - 그가 육체적으로 부활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가 죽음과 십자가를 통과해서 가장 내면에 있는 삶에 도달했다는 의미다. 그대는 그 공(空)을 지나가야 한다 - 그것이 십자가이다.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통과해야 한다. 아무도 그대를 위해서 십자가를 대신 질 사람은 없다. 그대는 그대 자신의 십자가를 지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 한, 그대가 공을 통과하지 않는 한, 그대는 내면의 중심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그 내면의 중심에서 그대는 더 이상 개별적인 인간이 아니다. 그대는 신 그 자신이 된 것이다.
Hindus say, aham brahmasmi; Hindus say, I am the God himself. This saying comes from those who have reached the innermost point, who have passed the non-being part and who have come to the shrine where God is and you are not. But you are trying to escape from it, you don't know how to use it. If you are empty and you have nothing to do you start doing something... anything. You put on the radio or the TV, you study the newspaper, you read a novel, you go to a hotel or you go to the club -- you do many things. You can do anything whatsoever, but you cannot do nothing. People have the idea that if you can't do something relevant, then do something irrelevant, but don't sit idle.
relevant : 관련된, 적절한, 타당한
idle : 게으름피우는, 한가한
힌두교도들은 말한다. ‘Aham Barhamasmi(나는 신, 그 자신이다)’ 이 말은 가장 내면에 있는 지점에 도달한 사람들, 비존재를 통과한 사람들, 자신은 없고 신이 있는 성지에 도달한 사람들로부터 나온 말이다. 그러나 그대는 거기로부터 도망치려고 하고 있다. 그대는 그것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고 있다. 그대가 비어 있다면 아무 것도 할 것이 없다. 그대는 어떤 것을 하기 시작한다.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켠다. 신문을 보고 소설을 읽는다. 호텔에 가거나 클럽에 간다 - 많은 것을 한다. 그것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사람들은 의미 있는 것을 할 수 없으면 의미 없는 것이라도 해야 한다는, 가만히 앉아 있어서는 안 된다는 관념을 갖고 있다.
Sit empty. Just sitting empty one comes to the greatest encounter of life -- one encounters one‘s own death. If you can pass that, if you can pass that dancing, happy, enjoying it, if you can be nourished even by emptiness, then nothing can destroy you -- you have attained to the eternal, the non-destructible, the deathless.
비어 있는 채로 앉아 있어라. 그저 빈 채로 앉아 있을 때, 삶의 가장 위대한 만남에 도달한다 - 자신의 죽음을 마주치게 된다. 만일 그대가 그것을 통과할 수 있다면, 춤을 추면서, 즐거워하면서 그리고 즐기면서 통과할 수 있다면, 그리고 텅 빔으로부터 양분을 취할 수 있다면, 그때 아무 것도 그대를 파괴할 수 없다 - 그대는 영원에 도달한 것이다. 파괴될 수도 없고, 죽음도 없는 곳에 도달한 것이다.
That's why my insistence is always on a dancing meditation. It is not only an outward dance. The outward is nothing but a training for the inner. You dance outwardly, you go on dancing outwardly -- by and by an inner dance arises and then you can dance inwardly and move towards the innermost center, the very core of being. Remember -- death can be crossed only by dance, death can be won over only by a deep laughter. one can carry one's cross only happily, blissfully, ecstatically -- sad, serious, it will become such a burden. Your own emptiness will become such a burden that you will want to escape from it, you will come out and move into the world.
insistence : 주장, 고집, 강조 insist : 주장하다. 우기다. 고집하다.
내가 항상 춤 명상(dancing meditation)을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그것은 외적인 춤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외적인 것은 내적인 것을 위한 훈련일 뿐이다. 그대가 밖에서 춤을 출 때, 계속해서 밖에서 춤을 출 때, 차츰차츰 내적인 춤이 일어나고 그대는 내면으로 춤을 추고, 내면의 중심을 향해서, 존재의 핵심을 향해서 움직이게 된다. 기억하라 - 죽음은 오직 춤으로만 만날 수 있다. 죽음은 오직 깊은 웃음으로만 극복할 수 있다. 그대가 십자가를 질 수 있는 것은 오직 행복하고 지복으로 가득 차있을 때뿐이다 - 그대가 침울하고 슬프고 심각하다면, 십자가는 짐이 될 것이다. 그대의 빈 공간이 너무도 무거운 짐이 되어 그곳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을 것이다. 그리고는 밖으로 나와 세상 속으로 들어갈 것이다.
Learn how to dance outwardly, just as a training, as a discipline, so that the inner dance becomes possible. It is a mood, a climate -- dance is a climate, it has nothing to do with any activity of dancing. It is a climate, an inner bubbling of bliss, an inner throbbing of bliss. only on that boat can the part which is very very difficult for you to cross be crossed. Otherwise one escapes. The moment you face your inner emptiness you escape, you become scared to death. That's why so many people never think about themselves. They think of the whole world, they worry for the whole world, but they never think about themselves, because that point seems to be touching a wound inside. They are afraid.
climate : 기후, 분위기, 환경
scared : 무서워하는, 겁먹은
훈련 또는 수련으로서 외적으로 춤추는 방법을 배워라. 그럼으로써 내적인 춤이 가능하게 하라. 그것은 분위기이다 - 춤은 분위기이다. 그것은 춤추는 행동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그것은 분위기일 뿐이다. 지복의 내적인 분출이며 내적인 고동이다. 오직 그 배 위에서만 그대가 교차하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 교차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대는 도망친다. 내면의 텅 빔을 직면하는 순간 그대는 도망친다. 죽음을 두려워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에 대해서 전혀 생각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그들은 세계 전체를 생각하고 세계 전체를 걱정하지만 그들 자신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지점이 내면의 상처를 건드릴 것만 같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Don't be afraid. The existence of things is good; you can profit by it, but it is not enough. Unless you learn now to be served by emptiness also you have not learned the art, the total art. If you know only how to live, you know only half the art; if you know also how to die, then you know the whole art -- and the whole art will make you whole.
profit : 이익을 보다. 소득을 얻다. 덕을 입다.
두려워하지 마라. 사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대는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제 그대가 텅 빔으로부터 도움 받는 법을 배우지 않는다면, 그대는 전체적인 예술을 배우지 못한 것이다. 그대가 어떻게 사는지 만을 안다면 그대는 예술의 반만을 아는 것이다; 그리고 그대가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 까지도 안다면 그때 그대는 전체적인 예술을 아는 것이다 - 그리고 그 전체적인 예술은 그대를 전체적으로 만들 것이다.
Remember, until you die you cannot be reborn. As you are you have to pass through death. And you are clinging too much to life. That won't help -- death will come. But death comes in two ways. one way, the usual way it comes: you are clinging to life and it comes as the enemy; you fight with it, you resist it, you do everything that you can do to avoid it. But how can you avoid it? The day you were born death became certain; every birth carries the seed of death. In fact, in life nothing else is certain but that. Everything is at the most probable, but death is certain. It will happen. You can avoid it, you can postpone it a little, but that doesn't change the situation. It will happen. one way to face death is as the enemy, which is the way ninety-nine per cent of people face it -- and miss it. Because of their enmity they cannot use it, they cannot be profited by it, they cannot be served by death.
reborn : 다시 태어난, 재생한
resist : ~에 저항하다. 방해하다.
probable : 가능성 있는, 있음직한, 개연적인
기억하라. 그대가 죽기 전까지 그대는 다시 태어날 수 없다. 현재의 그대 자신으로서 죽음을 통과해야 한다. 그대는 삶에 너무도 많이 집착하고 있다. 그것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 죽음이 올 것이다. 그러나 죽음은 두 가지 길로 온다. 한 가지 길은 일반적으로 죽음이 오는 경우이다: 그대는 삶에 매달리고 있고 죽음은 적으로 온다; 죽음과 싸우고 죽음을 거부한다. 그것을 피할 수 있는 일이라면 무엇이든지 다 한다. 그러나 어떻게 그것을 피할 수 있겠는가? 그대가 태어나는 날 죽음은 확실해졌다; 모든 탄생은 죽음의 씨앗을 담고 있다. 사실 삶에 있어서 그것만큼 확실한 것도 없다. 모든 것은 기껏해야 가능할 뿐이다. 그러나 죽음만은 확실하다. 죽음은 반드시 일어날 것이다. 그대는 죽음을 피할 수 있다. 잠시 연기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상황을 변경시키지는 않는다. 죽음은 반드시 일어날 것이다. 죽음을 직면하는 한 가지 방법은 적으로서 만나는 것이다. 그것은 99%의 사람들이 취하는 태도이다 - 그들은 놓친다. 그들의 적개심 때문에 그들은 죽음을 이용하지 못한다. 죽음으로부터 이익을 취하지 못한다. 죽음에 의해서 도움을 받지 못한다.
There is another way: to accept death as a friend, to accept it as an innermost part of your being, to enjoy it, to welcome it, to be ready for it and when it comes to embrace it. Suddenly the quality of death changes. It is no more death, it becomes a door. It no longer destroys you; on the contrary, you are served by it. It leads you to the deathless.
on the contrary : 도리어, ~에 반하여, ~은 커녕
또 다른 길이 있다: 죽음을 친구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죽음을 그대 존재의 가장 내적인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즐기고, 그것을 환영하고, 준비되어 있고, 그것이 올 때 죽음을 안아주는 것이다. 갑자기 죽음의 질이 변한다. 그것은 더 이상 죽음이 아니다. 그것은 문이 된다. 죽음은 더 이상 그대를 파괴시키지 않는다; 그 반대로 그대는 죽음에 의해서 도움을 받는다. 죽음은 그대를 죽음이 없는 곳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Die -- you will have to die. But die gracefully. I am not saying die like a stoic, I am not saying die like a very controlled man. No, I'm saying die gracefully, beautifully, as if a friend is coming, knocks at your door, and you are happy. And you embrace the friend and invite him in, and you have been waiting for him so long....
graceful : 우아한, 품위 있는
stoic : 금욕주의의, 스토아 학파의, 자제심이 강한 = stoical
죽어라 - 그대는 죽어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우아하게 죽어라. 나는 금욕주의자들처럼 죽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그대가 매우 통제된 사람들처럼 죽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아니다. 나는 친구가 와서 그대의 문을 두드릴 때 그대가 행복하게 느끼는 것처럼 우아하고 아름답게 죽으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 친구를 안아 주고 안으로 불러들여라. 그대는 그를 너무도 오랫동안 기다리고 있었다.
If you can love death you become deathless; if you can understand non-being then your being becomes the very ground of being-hood, the very ground of God. If you can love non-being then nothing can destroy you, you have transcended time and space. Then you have become one with the total, and this is what holiness is -- to become whole is to be holy.
그대가 죽음을 사랑할 수 있다면 그대는 불사가 된다; 그대가 비존재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대의 존재는 존재의 근원이 된다. 신의 근원이 된다. 그대가 비존재를 사랑할 수 있다면 아무 것도 그대를 파괴시킬 수 없다. 그대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것이다. 그때 그대는 전체와 하나가 되며 바로 이것이 신성함이다 - 전체가 되는 것이 곧 신성함이다.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00119_오쇼 사마디 (0) | 2015.08.25 |
---|---|
자비송 (0) | 2015.08.25 |
노자 도덕경 1권 7장 _ 단전과 호흡 (0) | 2015.08.25 |
19 THE SUN - KING of PENTACLES - PENTACLES 4 (0) | 2015.07.16 |
18 THE MOON. KNIGHT of CUPS. WANDS 4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