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교육론>
Q : 노인도 한 인격체로서 죽기 전까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살아야 할까, 아니면 사회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우선해야 할까.
A : 노인은 인간으로서의 삶을 완성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인간의 출생과 사망의 과정에서 욕구가 삶을 지탱하고 지속하는 힘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왜 욕구충족을 마다해야 하나. 물론 욕구는 생애 전반에서 똑같은 양상을 보이는 욕구가 있지만, 발달단계에 따라 질적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그 변화되는 욕구에 적응하고 성숙해질 필요가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것이 발달하고 성장하면서 더욱 강력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노인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살아야 행복하고, 그로인해 행복사회도 보장된다고 생각한다.
성인은 점차 자기지시적이 되고, 문제중심적인 학습 경향이 있으며, 외적인 보상보다 내적인 보상에 의해 더 크게 동기화된다. 자아실현을 완성하는 단계에 이르렀고, 자기결정능력을 확장하는 것도 배워서 실현할 수 있는 노인기에는 아동기/청소년기/청년기/장년기에 비해 자기 욕구가 훨씬 이타적이고 사회통합적이다.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 사건은 사고가 아니라 참사 혹은 대재앙으로 불리고 있다. 2013년 5월 현재, 아직도 15만 여명의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본 각지에 뿔뿔이 흩어져 '원전 난민'의 피난생활을 보내고 있다. 어린 자녀의 피난문제로 인한 의견대립으로 이혼으로 발전하는 사례, 심리적으로 불안증세를 보이는 청소년의 증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에 자포자기한 주민들이 도박 및 음주에 빠지는 등 원전사고에 따른 사회적 문제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생선의 경우, 쓰나미에 의한 어업시설 및 배들의 피해에 따른 영향도 있으나, 사고 직후부터 2012년 3월초 현재도, 후쿠시마현의 어업조합들은 어로작업의 자주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주간아사히(週刊朝日) 보도에 따르면, 2012년 11월 조소생활협동조합(이바라키 현 모리야 시/常総生活協同組合[茨城県 守谷市])가 일본 관동 15개 지역의 0세부터 18세 어린이·청소년 85명 대상으로 실시한 소변검사 결과, 10명 중 7명꼴로 소변에서 세슘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인 쌀의 검사체제가 허술하여 규제치를 넘는 쌀이 발견된는 등, 불안과 불신이 고조되자, 일본정부는 먹이사슬을 통한 내부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식품에 대한 잠정(暫定)적인 방사능규제치를 설정하였다. 예를 들면, 방사성 세슘(이하, Cs)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년간 5mSv 이하로 억제하는 식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본의 먹거리로 인한 경제가 무너져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되자 일본의 노인들이 문제해결에 나섰다는 후문이 있다. 일본에 다녀온 지인들의 말에 의하면, 일본의 노인 단체활동가들이, ‘우리가 오염 식재료를 소비하겠다’고 나섰다는 것이다. 일본 노인들은 후세들이 관리하고 있는 사회의 회복을 위해 헌신하고 돕고자 하는 욕구를 추구하고 있다. 이들 노인들은 자신의 욕구에 만족을 느끼기 때문에 신체적 건강은 악화될 수 있지만 심리정서적으로 여생이 행복할 것이라고 추측한다.
<참고자료>
1. 한국사이버평생교육원, 노인교육론, 8쪽, 13쪽
2. 2012-03.13, http://blog.daum.net/garisan/15744813, garisangod , 후쿠시마 이후, 일본의 원자력 정책은
3. 2013-02.03, http://bbs2.agora.media.daum.net/gaia/do/kin/read?bbsId=K162&articleId=90923, 닭나라 (wkw****), 일본 어린이70% 세슘검출
'평생교육사 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학습자의 특성 (0) | 2014.12.08 |
---|---|
[평생교육론] 학습의 결과가 현장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0) | 2014.11.05 |
[평생교육경영론] 평생교육기관 경영의 양 날개, 이윤추구와 사회적 책임(CSR) (0) | 2014.11.04 |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론] 집단 중심 평생 교육 방법의 장단점과 개선할 점 (0) | 2014.10.29 |
진로상담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진로상담자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태도는 무엇일까요? (0) | 201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