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은수미 민주당 의원은 21일, "환경부 소속 4대강유역환경청 및 3개 지방환경청은 4대강사업 이후 급속히 늘어난 ‘생태계 교란 외래 식물들 제거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서식현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생태계 교란 외래 식물들은 주로 맨땅(나지)에 먼저 유입되어 활발히 번식하며 물 흐름을 따라 퍼지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4대강사업 이후 4개 강을 따라 급속히 퍼져 나갔다.
생태계 교란종이 많아지면 토착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수변의 식생을 파괴하며, 목초지와 농경지에 침입하여 축산 및 농업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다.
그런데, 생태계 교란종의 경우, 종별로 서식 특성에 따른 제거방법으로 대응해야 하는데 각 청들이 제각각으로 대응하고 있다.
생태계 교란 외래 식물 중 ‘가시박’은 종자로 번식하는 덩굴성 식물로 한 포기당 최대 2만5천 개의 씨앗을 생산하는 번식력을 가졌으며, 관리 소홀시 인근의 가로수나 농작물을 감고 올라가 광합성을 저해하여 식물체를 고사시킨다. 이 가시박은 개화기인 6~9월 전부터 제거해야 하며, 떨어지는 종자가 많아 지속적인 제거 작업이 필수다.
그런데 금강의 호탄 습지 같은 경우, 가시박 퇴치를 위해 일대를 갈아엎었다가 3주 뒤에 다시 가시박으로 뒤덮이는 역효과가 발생하기도 했다.
‘단풍잎돼지풀’의 경우,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뿌리까지 뽑아내도 땅속종자들의 발아를 오히려 촉진시키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때문에 종별 특성을 제대로 파악한 후 적절한 제거․퇴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거시범사업은 금년 말 결과보고가 있을 예정이다.
은수미 의원은 “4대강 사업의 ‘삽질’로 인해 생태계 교란종들이 살기 쉬운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져서 목초지와 농경지까지 피해를 입히는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또 "환경부가 2012년부터 제거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서식현황 파악이나 제거방법 매뉴얼조차 공유하지 않고 있다."며 "폭풍 성장 중인 생태계 교란종들에 토착식물이 내몰리고 있는 사태에 대해, 발생원 집중 관리와 제거사업의 탄력 운영 등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
 |
|
▲ 생태계 교란․외래 식물 가시박(위)과 단풍잎돼지풀(아래) ⓒ 은수미의원실_1310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