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고교평준화연대 2009

[스크랩] 디트 뉴스 24 `천안고교평준화, 의회 역할 필요

실다이 2010. 12. 4. 10:10

"천안 고교평준화, '의회 역할' 필요"
시민연대, 19일 천안시의회 의원들과 정책 간담회 개최
2010년 11월 21일 (일) 08:47:47 천안=류재민 기자 jaeminwow@empal.com
//-->

   
천안지역고교평준화실현시민연대는 지난 19일 오후 천안시의회 4층 다목적실에서 천안시의회 정책 간담회를 열고 평준화 실현 방안을 모색했다.
 천안지역 고교평준화를 위해 시의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천안지역고교평준화실현시민연대(집행위원장 구자명, 이하 시민연대)는 지난 19일 오후 천안시의회 4층 다목적실에서 천안시의회 정책 간담회를 열고 평준화 실현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천안중 배영현(시민연대 정책국장) 교사는 ‘천안지역 고교평준화 적용’이란 발제를 통해 “고등학교까지는 국민 모두가 받아야할 기본 교육과정”이라며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입시경쟁과 학교 서열화를 조장하는 비평준화는 잃을 게 더 많다”고 주장했다.

 오는 2012년 전국서 충남만 '비평준화'로 남아

 그는 이어 “전국 각 지역도 평준화를 늘려가는 추세로 비평준화를 고수하던 강원도가 평준화 도입하면서 오는 2012년부터는 충남지역만 비평준화로 남게 된다”고 설명했다.

 배 교사는 “전체 일반계 고교 학생 중 74.2%인 1백만 명이 평준화 지역 고교에 재학 중이다. 고교평준화 제도는 우리 교육정책 근간이자 대세”라며 “천안 고교평준화는 고교 서열화를 해소하고,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며, 고교입시 준비를 덜 수 있다”고 역설했다.

 천안시의회 김영숙 의원은 “천안지역이 과거 평준화를 해오다 비평준화가 된 데는 시의회도 기여했다”면서“고교평준화는 교육이 지향해야 할 과제고, 무엇보다 시민 여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시의회 모든 의원들이 공감하지 않는다고 해도 상당수 의원들이 공감한다면 교육감에게 지역 고교 평준화 의견서를 전달할 수도 있다”고 한 뒤 “학군 배정을 구체화하기 위한 정책 제안과 정책적 방향 설정을 교육청에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종한 의원은 “의회 내에서도 21명 의원 모두 각각 의견이 다르겠지만, 다수가 고교평준화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많지 않을까 싶다”며“지역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용역이 필요하고, 평준화에 반대하는 쪽 활동에 대한 대응논리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천순 의원은 “과거 시의회가 고교평준화를 비평준화로 바꾸려 한 것은 당시 교육청에서 비평준화로 가기 위한 명분 만들기 차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라며 “하지만 지금 시의회는 당시 평준화 해제 때와는 상황이 달라 의회 역할이 그다지 크진 않을 것 같다. 시민들을 만나 홍보하고, 의회 내 주도세력으로 자리 잡는 것이 평준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천안 고교평준화 실현을 위해 시의회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평준화 필요성을 알리는 홍보와 토론회 개최 등 의견도 제시됐다.

 학부모들, "평준화 필요성 알리는 홍보와 토론 필요"

 간담회에 참석한 학부모 양모 씨는 “중학생인 제 딸아이도 도서관은 자주 가는데 성적이 안 나오다 보니 불안하고, 남편과도 언쟁을 벌이곤 한다”고 토로한 뒤 “학부모들은 평준화가 이루어지면 그 지역 학교만 가야한다는 우려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에 대해 알게 된다면 학부모들이 관심을 갖고 평준화 실현에 고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는 “(고교평준화는)교육감만 결정하면 굉장히 쉬운 일 같다”면서 “천안은 타 지역과 달리 활발한 토론이 진행되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있다. 교육비 걱정과 함께 입시 경쟁으로 인해 아이들이나 학부모, 교사들이 쫓기는 현실을 보며 안타깝다. 더 많은 토론과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시민연대 이윤상 사무국장은 “이번 천안시의회와의 고교평준화 정책간담회를 시작으로 천안도 고교평준화 제도가 다시 안착시키는 계기를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천안시는 지난 1980년부터 14년 동안 고교평준화를 실시해 오다 1991년 9월 제4회 천안시의회 임시회에서 13명 시의원 전원 찬성으로 고교평준화 제도 해제 청원이 시작됐고, 1994년 고교 평준화 가 해제되면서 1995년부터 비평준화로 전환해 지금까지 유지해 오고 있다.

 
//

출처 : 천안고교평준화연대
글쓴이 : 배영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