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존중감 척도>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
ㆍ다음 문항은 자아 긍정도에 관한 질문입니다. 여러분이 평상시에 느낀 대로 해당란에 ∨표 하십시오.
문 항
|
‘전혀 그렇지 않다 |
약간 그렇지 않다 |
약간 그렇다 |
아주 그렇다 |
1. 나는 가끔 내가 다른 사람이었으면 하고 바란다. |
① |
② |
③ |
④ |
2. 나는 여러 사람 앞에서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
① |
② |
③ |
④ |
3. 나에게는 고쳐야 할 점이 많다. |
① |
② |
③ |
④ |
4. 나는 어렵지 않게 마음을 결정할 수 있다. |
① |
② |
③ |
④ |
5. 나는 다른 사람들과 재미있게 지낸다. |
① |
② |
③ |
④ |
6. 가족 중엔 나에게 관심을 보여주는 사람이 없다. |
① |
② |
③ |
④ |
7. 나는 새로운 것에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
① |
② |
③ |
④ |
8. 나는 친구들에게 인기가 있다. |
① |
② |
③ |
④ |
9. 우리 가족은 나에게 너무 많은 기대를 한다. |
① |
② |
③ |
④ |
10. 우리 가족은 대체로 내 기분을 이해해 주는 편이다. |
① |
② |
③ |
④ |
11. 나는 매사를 쉽게 포기하는 편이다. |
① |
② |
③ |
④ |
12. 나는 비교적 남보다 행복한 편이다. |
① |
② |
③ |
④ |
13. 나의 생활은 뒤죽박죽이다. |
① |
② |
③ |
④ |
14. 대체로 다른 사람들이 내 생각을 따라주는 편이다. |
① |
② |
③ |
④ |
15. 나 자신에 대해 별로 내세울 것이 없다. |
① |
② |
③ |
④ |
16. 나는 집을 나가 버리고 싶은 생각이 자주 든다. |
① |
② |
③ |
④ |
17. 종종 내가 하는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 |
① |
② |
③ |
④ |
18. 나는 외모가 그리 멋진 편이 못된다. |
① |
② |
③ |
④ |
19. 나는 할말이 있을 때 대체로 그 말을 하는 편이다. |
① |
② |
③ |
④ |
20. 우리 가족들이 나를 잘 이해하고 있다. |
① |
② |
③ |
④ |
21.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나는 별로 사랑받지 못한다. |
① |
② |
③ |
④ |
22. 어떤 때는 가족들이 나를 미워하는 것 같다. |
① |
② |
③ |
④ |
23.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실망을 느낄 때가 많다. |
① |
② |
③ |
④ |
24. 나는 모든 것이 그다지 어렵게 생각되지는 않는다. |
① |
② |
③ |
④ |
25. 나는 다른 사람이 나에게 의지해도 될 만큼 강하지 못하다. |
① |
② |
③ |
④ |
ㆍ자아존중감 검사의 4가지 하위영역의 문항 분석과 채점
하위영역 |
문항번호 |
그렇다 |
아니다 |
자기비하 |
1, 3, 11, 15, 16 |
|
1, 3, 11, 15, 16 |
타인과의 관계 |
6, 7, 9, 10, 20, 21, 22 |
10, 20 |
6, 7, 9, 21, 22 |
지도력과 인기 |
2, 5, 8, 14, 18, 25 |
5, 8, 14 |
2, 18, 25 |
자기주장과 불안 |
4, 12, 13, 17, 19, 23, 24 |
4, 12, 19, 24 |
13, 17, 23 |
☞ “그렇다”는 ① 번을 1점 ②번을 2점 ③번을 3번 ④번을 4점으로 채점하고 “아니다” 는 역으로 점수를 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긍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자아존중감 척도
(index of Self-Esteem,ISE)
원척도
■목적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이다.
■척도 소개
자아존중감 척도(ISE)는 자아존중감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정도,심각성, 또는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25문항의 척도이다.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의 평가적 구성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ISE는 매우 단순한 언어로 작성되어 있으며, 쉽게 시행하고 체점할 수 있다. 자상삼적 문제들에 광범위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ISE는 두 개의 기준점수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30(±5)점이다. 이 이하의 점수는 이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문제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30이상의 점수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두 번째 기준 점수는 70점이다.
이 이상의 점수는 거의 항상 클라이언트가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가리키며, 이는 일정한 폭력 유형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려되거나 사용될 분명한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실천가들은 이러한 가능성을 인식해야 한다. ISE의 또 다른 이점은 그것이 WALMYR Assessment Scales Package의 20개 척도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들 모두는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되고 채점된다.
■채점 및 방법 및 해석(표준 포함)
대부분의WALMYR도구들과 마찬가지로, ISE는 우선 역점수 문항(3~7,14,15,18,21~23,25)
들을 채점하고, 이들 문항과 나머지 문항들의 점수 합산한 후에, 완성된 문항들의 수를 빼고, 여기에 100을 곱한 다음, 완성된 문항의 수에 6을 곱한 수로 나누어 점수를 산출한다. 점수의 범위는 0에서 100까지이며, 높은 점수가 나올수록 문제가 더 크거나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상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ISE를 우만종합사회복지관 대상자들의 수준에 맞게 수정을 거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범주: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거의 그렇지 않다. ③ 가끔 그렇다 ④ 종종 그렇다
⑤ 상당히 그렇다 ⑥ 대체로 그렇다 ⑦ 항상 그렇다
1. 나를 잘 아는 사람들은 나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2.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 훨씬 더 잘 지낸다고 느낀다.
3. 나는 인기가 많은 사람이다.
4. 다른 사람들은 나와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한다고 느낀다.
5. 사람들이 나와 이야기하기를 정말로 좋아한다고 느낀다.
6. 나는 내가 똑똑한 사람이라고 느낀다.
7.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이다.
8. 나는 자신감이 좀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
9. 나는 다른 사람과 있으면 매우 신경이 쓰인다.
10. 나는 행동이 느린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1. 나는 못생겼다고 느낀다.
12.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 즐거운 하루를 보낸다고 느낀다.
13. 나는 다른 사람들을 재미없게 만든다고 느낀다.
14. 나는 친구들이 나를 재미있는 사람이라고 여길 것이다.
15. 나는 다른 사람들을 잘 웃기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6. 모르는 사람과 있을 때 나는 나에게 신경이 쓰인다.
17.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집에 돈이 많으면 나도 그 사람들처럼 해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8. 다른 사람들은 나와 함께 있으면 좋은 시간을 보낸다고 느낀다.
19. 나는 밖에 나가면 혼자인 것 같이 느낀다.
20. 나는 다른 사람보다 따돌림을 더 많이 받는다고 느낀다.
21. 나는 비교적 인기 많은 사람이라고 여긴다.
22. 나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나를 좋아한다고 느낀다.
23. 나는 사람들이 좋아해 주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24. 내가 다른 사람에게 바보처럼 보이게 될까 두렵다.
25. 내 친구들은 나를 매우 높게 평가한다고 생각한다.
자아 존중감 척도(self-esteem questionnaire)
1. Rosenberg의 자아 존중감 척도
1.목적-자아존중감을 위한 척도이다.
2.척도소개
1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일 차원의 거트만 척도로서 오랫동안 이 척도를 가지고 광범위한 집단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3.채점방법 및 해석
이 척도의 채점은 다소 복잡하게 결합된 평정 방법에 기초하여 낮은 자아존중감은 1, 3, 4, 7, 10번 문항에 ‘동의하지 않음’이나 “강한 비동의”로 응답하고 2, 5, 6, 8, 9번 문항에는 ‘강한 동의’ 또는 ‘동의’로 반응한다. 3, 7, 9번 세 문항에 대한 2~3개의 일치된 반응은 하나의 문항으로 채점된다. 또한 4, 5번 두 문항에 대한 1~2개의 일치된 응답은 단일 문항으로 간주된다. 1, 8, 10번 문항은 개별 문항으로 채점되며, 2, 6번 문항에 대한 결합된 일치된 반응(2개 중 1~2개)은 단일 문항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 척도는 부정적으로 진술된 문항들을 역으로 채점한 후 개별적인 4점 문항의 단순 합계로 채점할 수 있다.
(Rosenberg 개발(1965), 전병재(1974) 번안)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reem Scale, RES) |
아래의 문항은 “내가 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을 잃고 여러분의 생각을 잘 나타내주는 칸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범주: ① 매우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그렇다 ④ 매우 그렇다
1. 나는 다른 사람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3.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4.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가 있다.
5. 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6.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7.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한다.
8. 나는 나 자신을 좀 더 존중할 수 있으면 좋겠다.*
9. 나는 가끔 나 자신이 쓸모 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는 역문항)
2. Husdon의 자아존중감 척도
1. 목적-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이다.
2. 척도소개
자아존중감과 관련하여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정도, 심각성, 또는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문제들은 종종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에 집중되며, 이 도구는 많은 임상적 문제들에 광범위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3.채점방법 및 해석(표준 포함)
ISE는 우선 역점수 문항(3~7, 14, 15, 18, 21~23, 25)들을 채점하고, 이들 문항과 나머지 문항들의 점수를 합산한 후에, 완성된 문항들의 수를 빼고, 여기에 100을 곱한 다음, 완성된 문항의 수에 6을 곱한 수로 나누어 점수를 산출한다. 점수의 범위는 0에서 100까지이며, 높은 점수는 문제가 더 크거나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ISE는 두 개의 기준 점수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30(±5)점이다. 이 이하의 점수는 이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문제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30 이상의 점수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두 번째 기준 점수는 70점이다. 이 이상의 점수는 거의 항상 클라이언트가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가리키며, 이는 일정한 폭력 유형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려되거나 사용될 분명한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 척도는 12세 이하의 아동들에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적인 표준은 이용하기 어렵다.
자아존중감 척도(Inventory of Self-Esteem, ISE) |
범주: ①매우 그렇다 ②대체로 그렇다 ③가끔 그렇다 ④거의 그렇지 않다 ⑤전혀 그렇지 않다.
1. 나를 정말로 아는 사람들은 나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2..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는 훨씬 더 잘 지낸다고 느낀다.
3. 나는 매력적인 사람이다.
4. 내가 다른 사람과 있을 때 그들은 내가 그들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한다고 느낀다.
5. 나는 사람들이 나와 이야기하기를 정말로 좋아한다고 느낀다.
6. 나는 내가 매우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7. 내가 느끼기에 나는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8. 나는 자신감이 좀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
9. 나는 다른 사람과 있으면 매우 신경이 쓰인다.
10. 나는 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1. 나는 추하다고 생각한다.
12.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인생을 즐긴다고 느낀다.
13. 나는 다른 사람들을 지루하게 만든다고 느낀다.
14. 나는 친구들이 나를 재미있는 사람이라고 여길 것이다.
15. 나는 뛰어난 유머 감각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16. 낯선 사람과 있을 때 나는 나 자신을 매우 의식하는 것 같다.
17. 내가 다른 삶들처럼 처지가 좋았다면 나도 그들만큼 해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8. 다른 사람들은 나와 함께 있으면 좋은 시간을 보낸다고 느낀다.
19. 나는 밖에 나가면 외톨이같이 느낀다.
20. 나는 다른 사람보다 따돌림을 더 많이 받는다고 느낀다.
21. 나는 비교적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긴다.
22. 나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나를 좋아한다고 느낀다.
23. 나는 호감을 주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24. 내가 다른 사람에게 바보처럼 보이게 될까 두렵다.
25. 내 친구들은 나를 매우 높게 평가한다고 생각한다.
'네맘내맘ㅣ가족코칭-이해밑거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성격유형의 일반적인 특성과 개발해야 할 점 (0) | 2010.10.19 |
---|---|
담적 (0) | 2010.09.10 |
학습력 평가 질문지 (0) | 2010.08.15 |
독서치료에 좋은 책 (0) | 2010.08.13 |
공평함과 불공평함 (0) | 2010.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