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통소통

양자의학_정보에너지의학

실다이 2015. 8. 25. 14:51

<양자의학>

 

정보에너지 의학

Information-energy Medicine

강길전 박사

 

 

 

물리학자 카프라(F. Capra)는 양자이론과 상대성 이론을 합친 양자-전기역학의 이론에 입각하여 인체를 구성하는 소립자는 그에 상응하는 양자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소립자들의 양자장은 우주의 양자장으로부터 끊임없는 에너지의 공급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정보-에너지 의학에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소립자의 정보-에너지장은 우주의 양자장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1994년 미국의 아리조나 대학 마취과 교수 하메로프(Stuart Hameroff)는 신경세포의 세포질에서 발견되는 미세소관은 우주의 에너지장과 공명함으로써 우주 에너지를 인체 내로 끌어 들이는 양자효과장치라고 하엿다. 따라서 정보-에너지 의학에서는 뇌조직의 미세소관의 정보-에너지장은 우주의 에너지장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 항공우주국의 대기권 물리학자였던 브레넌은 육제의 정보망은 우주의 에너지장과 공명을 일으키면서 동일한 리듬으로 활동함으로써 우주가 갖고 있는 정보와 에너지를 인체에 전달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정보망은 정보-에너지장을 말한다. 따라서 정보-에너지장은 우주의 정보장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퍼거슨(Marilyn Ferguson)<의식 혁명>이라는 저술을 통하여 인체의 조직 및 장기에는 자연 치유력이 존재하며 그것은 인체 내부에 있는 완전무결한 의사 혹은 우주에서 가장 현명한 의사라고 불렀다. 정보-에너지 의학에서는 여기서 말하는 조직 및 장기의 자연 치유력이란 조직 및 장기가 갖고 있는 고유의 정보-에너지장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예이츠(F. E. Yates)는 인체의 정보 수단에는 전기적인 것, 생화학적인 것, 그리고 내분비적인 것 등이 있지만 매우 빠른 찰나적인 정보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정보-에너지장을 이용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인체의 정보망은 초특급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http://blog.daum.net/logoswoo/7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