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2010

[Dr. Albert Ellis · Ted Crawford] 당신의 “당위”와 “강요”에 도전하라

실다이 2014. 5. 19. 09:36

 

친밀감 만들기_3장_당신의당위와강요에도전하라_김난주_140327.hwp

친밀감 만들기

Dr. Albert Ellis · Ted Crawford 공저

류창현 역

교육과학사, 2011

 

3장 당신의 “당위”와 “강요”에 도전하라

 

1. Thelma와 Sol, 둘이 함께 이기기

2. Frank와 Frances의 당위와 강요

3. 수용과 함께 시작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4. 미친 사람들로 만드는 당위와 강요

5. 내가 옳고 당신이 틀렸어

6. 의사소통

7. 실제적인 문제와 정서적인 문제

 

 

1. Thelma와 Sol, 둘이 함께 이기기...53

 

1) 부부싸움의 원인

 

(1) 이 부부는 왜 자신들의 목적들과 목표들이 절대적으로 옳은지 서로 강렬히 주장하고 제시하는 것을 좋아해서, 논쟁에 이기려고 자신의 방식만을 고집함으로써 전투에서는 이기고 전쟁에서는 지고 있었다.

(2) 이 부부의 아들과 딸을 양육하는 방법으로 이기지도 않고 지지도 않는 모순된 싸움을 지속함으로써, 자녀들에게 많은 혼란을 야기했다.

(3) 배우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을 싫어했고, 자신 혼자만 옳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무모한 시도를 멈추는 것도 거절했다.

(4) “당신과 배우자와의 차이점들을 탐색하고 공유하라!”는 지침 4와 “당신 배우자의 목표들을 지지하라!”는 지침 5의 장점을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5) 하나의 명확한 증명을 하기 위한 왜곡된 표상으로 “나는 이기고 당신은 지는” 입장을 고집했다.

 

2) 부부싸움(갈등)에 대해 필요한 인식

 

(1) 논쟁자 모두가 일관되게 이길 수 없다

(2) 자신들의 싸움에서 모두가 패하는 것보다는 전사하는 게 더 낫다

 

3) 부부싸움의 폐해

 

(1) 논쟁에서 패할 때 부모로서/인간으로서 무가치함을 느낀다

(2) 일시적으로 논쟁에서 이길 경우 다음번 패배를 걱정하며 두려워한다.

(3) 지속적인 승리에 대한 불안으로 진정한 승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4) 부부싸움의 결과

 

(1) 곧 자기비하를 함으로써 논쟁 승리의 즐거움이 사라진다

(2) 일시적인 자아팽창은 차후 자기책망과 불안을 유발한다

(3) 한 사람이 이기는 순간 나머지는 패한다

 

5) 실제로 이기는 최선의 방법

 

(1) 타인의 좋은 논의들을 존경하고 고마워함으로써 윈윈상황 이루기

 

6) 실제로 이기기 위한 과제

 

(1) 몇 주간 불일치하는 서로의 논쟁들을 지지하라!

 

 

2. Frank와 Frances의 당위와 강요...55

 

1) 당위와 강요

 

(1) 각자의 당위와 강요는 불총족된 원함을 포함하고 있다. 자기 배우자가 다르게 행동해주기를 보다 더 선호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2) 각자의 당위와 강요는 자신들의 현실과 모순된다. 각자 자신들의 선호들에 요구들을 첨부시켜서 갈등상황들을 지속시키고 있다. “나는 그것을 매우 강렬하게 원하기 때문에, 그것은 반드시/틀림없이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되어야만 해!”

(3) 각자의 당위와 강요는 과도하고, 절대적인 요구이며, 상대는 반드시/틀림없이 마술적으로 요구에 응해야 한다.

 

2) 비합리적 사고

 

(1) 신이 아니면서, 원하는 것을 세상이 “틀림없이” 제공해야 한다는 절대적인 명령

(2)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데, 가솔린이나 디젤 연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

(3) 언젠가는 죽는데, “반드시” 영원히 젊음을 유지하려는 것

(4) 선택권과 자유를 누리고 있는데, 이혼하지 않으면서 배우자의 통제로부터 더 자유로워지려는 것

(5) 그렇지 않은데, 배우자가 순종적이길 원하는 것

(6) 존중받고 있는데, 더 많은 존중을 요구하는 것

Frances의 절대적인 당위와 강요

 

1. Frank는 틀림없이/반드시 내게 “자유”를 주어야만 한다. 나는 반드시 나의 삶을 통제할 수 있어야만 한다. 나는 이를 받을만한 가치가 있고, 틀림없이 받아야만 하고, 내가 받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배려를 받아야만 한다.

2. Frank는 틀림없이/반드시 나를 존중해야만 해!

3. 나는 그것을 참을 수 없다! 나는 틀림없이 내 자신을 위한 자유를 가져야만 한다. 나는 틀림없이 Frank와 함께 살지 못할 것이다!

4. 만일 Frank가 나를 떠나면, 내게 틀림없이 그런 일이 발생해서는 안되지만 나는 혼자가 될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가 없이는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나는 그를 떠날 수 없고, 나는 틀림없이 그를 떠나서는 안 된다.

5. Frank는 틀림없이 그가 하는 방식대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 그가 그렇게 행동을 계속 한다면 그는 극악무도한 사람이다.

6. 나는 이런 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필요하고 Frank는 절대적으로 반드시 그것을 준비해야만 한다. 나는 반드시 그러한 좋지 않은 상황을 취급해서는 안 된다. 만일 그가 보다 나은 실행을 바란다면, 그는 반드시 내 방식대로 일들을 처리해야만 한다.

 Frank의 절대적인 당위와 강요

 

1. 나는 틀림없이/반드시 Frances와 나의 결혼생활을 통제해야만 한다. 나는 배려를 받을 만한 가치가 있고, 틀림없이 받아야만 하고, 내가 받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배려를 받아야만 한다.

2. Frances는 틀림없이/반드시 나를 존중해야만 해!

3. 나는 반드시 Frances를 잃어서는 안 된다. 그녀가 나와 살게 하려는 확고한 보증으로써 그녀를 위협해야만 해! 그녀는 좋은 아내가 반드시 되기 위해선 내게 틀림없이 복종해야만 해!

4. Frances는 틀림없이 나를 보살피지 않은 채 홀로 남기고 떠나서는 안 된다. 이는 끔찍한 일이다! 그녀가 늘 돌아온 것은 나의 협박이 잘 적용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그러므로 난 그녀와의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틀림없이 그녀를 협박하는 것을 지속해야만 한다. 나는 그녀에게 협박하는 것을 결코 포기할 수 없다.

5. Frances는 틀림없이 그녀가 하는 방식대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그녀가 그렇게 행동을 계속한다면, 그녀는 무정하고 무가치한 아내이다.

6. 나는 이런 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필요하고 Frances는 절대적으로 반드시 그것을 준비해야만 한다. 나는 반드시 그러한 좋지 않은 상황을 취급해서는 안 된다. 만일 그녀가 보다 나은 실행을 바란다면, 그녀는 반드시 내 방식대로 일들을 처리해야만 한다.

 

 

3) 자연의 법칙

 

(1) 우리의 원함과 요구에 개의치 않고 중력처럼 작용한다

“내가 돌이켜 해 아래서 보니 빠른 경주자라고 선착하는 것이 아니며 유력자라고 전쟁에 승리하는 것이 아니며 지혜자라고 재물을 얻는 것이 아니며 명철자라고 재물을 얻는 것이 아니며 이는 시기와 우연이 이 모든 자에게 임함이니라” (전도서 9:11)

(2) 인간의 본성

해결되지 않는 의사소통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인간의 본성으로, 자신의 요구를 포기하는 것과 선호에 집착하려는 인간행동을 효과적으로 다룸으로써 자신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

(3) 소원들에 적합한 상황/현실과 자신의 요구들 사이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다

(4) 미해결된 과제들이 너무 많아 압도되었으나, 흥미로운 연구과제들을 가진 것이다

(5) 사람/과제/상황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다

 

 

3. 수용과 함께 시작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64

 

1)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우주의 조화를 인정하고 수용하기

 

우주의 조화에서는 존재하고 있는 어떤 방식과 존재해야만 하는 당위, 강요, 의무의 방식간의 차이점은 전혀 없다

 

2) 강요성발언 & 절대적인 요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간의 주요 차이점이 관찰될 때, 절대적인 강요를 사용한다

 

3) 철학적/실용적 논쟁/싸움/갈등/권리투쟁의 핵심 요인은 “무엇이 현실인가?”에 대한 차이점과 불일치

 

-당신은 이기적이야!

-아니야! 나는 그렇지 않아!

-맞아! 당신은 이기적인 사람이야!

-아니야! 나는 이기적인 사람이 아니야!

-당신은 역시 이기적인 사람이야!

-아니야! 나는 이기적인 사람이 아니야! 이기적인 건 바로 당신이야!

 

4) 합리정서행동치료의 주장

 

우리 자신의 신념체계의 관점에 따라서 “현실” 또는 “진실”을 각자가 경험하며,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며, 우리가 창출하는 차이점들은 지극히 가능하고 “정상적”인 것이다

 

 

4. 미친 사람들로 만드는 당위와 강요...67

 

1) 절대적인 당위와 강요를 하는 사람은,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사람이 된다

 

-배우자가 자신을 무시했다고 불평하고 비난하거나 화나게 해서는 안 된다는 분노

-역설: 존재하지 않아야만 하는 것이 존재하는 경우를 받아들이기

-혼란: 자신의 당위를 절대적인 현실인 것처럼 제공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수용하지 않기 때문

 

2) 존재와 부재의 차이 이해하기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다면 반드시 존재하지 않는다 & 무슨 일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면 반드시 존재한다

-타인들과의 불일치들을 비난 없이 완전히 수용하고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

 

 

5. 내가 옳고 당신이 틀렸어...69

 

1) 선의의 거짓말 & 완전한 진실

 

-자신의 현실의 인식 또는 개념이 틀림없이 잘못되거나 모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기(자녀들에게 짧은 여행을 다녀올 것이라고 말함)

-타인들과의 관계를 정직하게 대처하는 것이 올바르고, 얕은 “선의의 거짓말” 사용을 허용하지 않고 완전한 진실을 말하기로 결심하기(자녀들을 두고 떠나는 멀고 긴 여행)

 

2) 부부들의 공통적인 딜레마

 

(1) 실낱같은 희망사항

-“나의 배우자가 나와 결혼한 가장 큰 이유로 그가 아마도 나를 사랑하고 나를 이해하기 때문이며, 그는 절대적으로 반드시 내가 옳다고 인정을 해줘야만 하고 반드시 나와 함께 잘 지낼 수 있어야만 한다”

-배우자는 나와 다른 성이고 다른 환경에서 성장했고 독특한 선천성으로 인해 매우 다른 성격특성과 생활방식을 지녔다

-여성은 반드시 남성과 동등한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고 믿는 양성평등주의자 Zack은, 중요한 문제들에 관해서 Dona가 반드시 동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의무라고 집착했다

(2) 불일치 수용하기

-어떤 이슈에 대해 아무리 옳다고 주장했더라도, 배우자의 옳음을 반드시 인정할 필요는 없다.

-심지어 자신의 배우자가 잘못이라고 생각했을 때에도 불일치를 수용하면, 부부는 더욱 기분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6. 의사소통...71

 

1) 의사소통

-정보와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

-담화와 담론유형들을 통해서 타인들에게 영향 미치는 것

-타인들이 경청하고 반응하고 동의하고 실행하도록 설득하는 것

 

2) 의사소통의 목적

-원하는 것을 타인들이 더 많이 제공해주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

-원하지 않는 것을 줄이고자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

-자신의 방식을 타인들이 인정하고 자신의 요구대로 타인이 실행하도록 요구하는 사이를 확실히 구별하는 것

-배려, 승인, 사랑, 섹스, 돈, 우정, 교제, 유쾌한 친교, 효과적인 의사소통 등

 

3) 강요성 발언에 관해 REBT 후 효과적인 의사소통

(1) 사람들 또는 사항들이 틀림없이 당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되어져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2) 당신의 명령들이 절대적으로 반드시 이행되어야만 했음에도 불구하고 완수되지 않았을 때에 분노를 느낀다

(3) 자신의 희망사항과 우선순위들을 유지시키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법

-자신의 방식을 인정하고 따르도록 강요하고 있음을 인정하기

-자신의 절대적인 요구들을 포기하고 타인에게 원하는 바 강요를 단념하기

 

 

7. 실제적인 문제와 정서적인 문제...74

 

1) 기본적인 문제의 경향 2

 

(1) 실제적인 문제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는 방식

 

(2) 정서적인 문제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스스로의 분노를 부인하려는 방식

-틀림없이/반드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해야만 한다는 절대적인 요구

-틀림없이 “수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을 해야만 한다는 강박적인 요구

-당신의 불안이 실제적인 문제 해결을 방해

-“강요성 발언”이 실제적 문제에 “미숙한 의사소통”이라는 또 하나의 문제를 야기

 

2) 절대적인 요구를 포기하고 자신의 현실과 한계, 그리고 환경을 수용할 수 있을 때 효과적인 의소소통의 초석을 다짐

 

3) 최상의 관계형성을 위한 7가지 지침들 배움

 

(1) 당신의 배우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라!

(2) 자주 감사를 표현하라!

(3) 정직하게 의사소통을 하라!

(4) 당신의 배우자와의 차이점들을 탐색하고 공유하라!

(5) 당신의 배우자의 목표들을 지지하라!

(6) 당신의 배우자에게 실수할 수 있는 권리를 주어라!

(7) 당신의 목표들을 재고하라!

친밀감 만들기_3장_당신의당위와강요에도전하라_김난주_140327.hwp
0.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