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 과학의 발달
?19세기, <골상학>
프란츠 조셉 갈, “두개골의 외형을 만져 보면 그 사람의 성격을 알 수 있다.”
?1848, <전두엽은 사회도덕적 판단>
피네아스 게이지, 자기 자신을 잃어버린 사나이, 철도공사장 감독관, 건강하고 예의바른 미국인 청년, 쇠막대기가 두개골에 박혀서 뇌 일부 손상되는 사고, 불경스럽고 비속한 모습으로 성격이 급변, 뇌의 전두엽은 사회적/도덕적 판단 기능을 관장하는 부위임을 발견
?1861, <브로카 영역>
폴 브로카, 프랑스 의사, ‘탄’이라는 소리만 내는 환자 사후 뇌를 부검하여 대뇌 왼쪽 반구의 전두엽 피질 일부 손상 확인
?1964, <초기 뇌 이식물>
호세 델가도, 스페인 신경과 의사, 초기 뇌 이식물 개발로 투우 공격 제어, 공격행동 침팬지 통제
?1876, <베르니케 영역>
칼 베르니케, 독일 신경과 의사, 언어 장애 발생 부위 발견, <베르니케 영역>
?<뇌 지도>
와일더 펜필드, 캐나다 신경외과 의사, 간질 치료 수술 환자의 두개골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뇌를 노출시켜서 전극이 장착된 탐침을 뇌의 피질에 접촉시키고 부위별 반응을 기록, “뇌의 측두엽이 기억에 관여한다.” 몸을 움직이는 운동 조절 능력과 관련된 부위와 신체의 부위별 감각과 대응되는 뇌 기능 지도 작성
?1930년대, <뇌전두엽절제술>
에가스 모니즈, 포르투갈의 신경외과 의사, 전두엽 피질에서 시상으로 이어지는 신경을 끊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정신병적 증상이 사라지는 것을 발견, 약 5만 명 환자 수술 후 41%가 치료 및 호전, 4%는 사망, 2%는 악화
월터 프리먼, 환자를 국소마취 한 후 얼음 송곳으로 뇌전두엽절제술 성공, 현대 의학에서는 두개골 안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 감압을 위해 개두술 시행
?1953, <얼어붙은 시간, 기억 만들기>
27세의 HM은 심학 간질 억제를 위해 수술, 해마 주변 상당 부분을 제거한 후 새로운 기억을 못하는 증상 평생 지속, 현대 의학 역사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된 환자, “해마는 인간의 기억에 주요 역할을 한다.”
?1980년대, <의식의 결정>
벤자민 리베트, 미국의 신경과학자, 자유 의지의 평가, “우리가 의식적으로 선택했다고 믿는 것이 실제로는 무의식적으로 뇌에서 선택한 것에 따라 반응했을 뿐이다.” 과연 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있는가에 대한 심오한 철학적 의미가 담겨 있다.
?1981, <두뇌 분리 실험>
로저 스페리, 신경생물학자, 간질 환자의 치료를 위해 대뇌 양쪽 반구를 서로 분리하는 수술 실시, 특정 상황에서 두뇌의 양측 반구는 서로 다른 생각과 의도를 지니고 있음을 밝힘. 과연 한 사람의 자아는 양쪽 중 어느 것이냐에 대한 질문이 생겼다.
?1991, <거울 뉴런>
지아코모 리조라띠, 이탈리아, 원숭이가 손을 뻗어 물건을 잡으려고 하는 동작을 할 때의 뇌 신경 활동 관찰, 한 연구자가 원숭이가 보는 곳에서 무심코 원숭이의 행동을 따라했는데 원숭이의 뇌에서는 마치 자신이 행동을 했을 때와 같은 양상의 신경 활동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 거울 뉴런은 관찰자의 뇌에도 실제 행동을 하고 있는 사람의 두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활동과 유사한 상태가 되어 자동적으로 행동을 따라하게 만든다. 감정과 흉내 내기와 공감 이론의 근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참고문헌 : 뇌, 리타 카터/수잔 앨드리지/마틴 페이지/스티브 파커, (주)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00520 (뇌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뇌 관련 질환에 대한 종합 안내서, www.dk.com
'네맘내맘ㅣ가족코칭-이해밑거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자는 미녀?' 하루 '18시간' 잠들어 있는 20살 사연 본문 (0) | 2014.10.29 |
---|---|
[스크랩] 커리어앵커 검사 (CAI:Career Anchor Inventory) (0) | 2013.12.09 |
이럴땐 이렇게! 상황별 정서행동학습 지도 길라잡이 시리즈 (0) | 2013.04.23 |
뇌의 기능과 장애 (0) | 2013.04.09 |
경계성 인격장애 (0) | 201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