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묘년 토끼해를 맞아 배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인간은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할까. 그보다 잠시, 배움의 장에서 친구들끼리 위화감을 느끼는 문제가 청소년의 인성발달과 미래사회 관계망에 끼칠 영향을 생각해본다. 함께 성장하고 협력해야 할 중학 동창들을 계속 키질하고 있는 충남의 고등학교들은 이런 문제와 별 상관이 없을까.
그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1974년부터 국가차원에서 교육정책을 바꾸었고, 천안은 교육여건을 개선한 1980년부터 평준화를 실시했었다. 그런데 95년부터 다시 비평준화로 바꿨다. 서울특별시의 천안구라고 불릴 정도가 된 지역이 아직도 평준화가 아닌 것은 그만한 예외적 사정이 있어서인가.
지금 한국은 평준화와 비평준화 양립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에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전국 중학생의 75% 이상이 평준화 교육을 받고 있는 현재, 성적 우수학생들에 대한 학교 선택권 보장과 수월성 교육을 위해 특목고, 과학고, 예술고, 외고 등을 확대하는 것이다. 그런데 60만 인구가 일구어가는 천안은 충남의 35% 학생의 배움터여서 교육 여건이 충분한데도, 비평준화 교육을 고수함으로써 25%의 작은 시군 지역들과 교육위상을 나란히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평준화를 보완하는 특목고나 자사고 등도 확대하는 기형적인 고교입시제도 지역이다. 우수 학생들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충남의 모든 학생들이 국가교육정책과 별 상관없이 비평준화 교육을 받은 결과는 15년 동안 전국에서 ‘만년꼴찌’이다.
늑장을 부릴 처지가 아님에도 강원도와 경기도의 발 빠른 평준화 추진에 비해 충남교육청은 태평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서 지난 12월 30일, ‘연내 평준화 추진협의회 추진’ 공약을 이행하라며 시민연대는 김종성 교육감과의 면담을 요청하였다. 그제야 성태경 장학관이 T/F팀 명단을 공약이행 증거로 내밀었다. 불공정한 구성임을 확인하고 재차 교육감 면담을 요구하며 면담 요청 이유를 밝혔다. 천안고교평준화 T/F팀을 공정하게 재구성하고, 비공식 로드맵을 공식적으로 발표할 뿐 아니라, 고교평준화 타당성 조사 업무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민원단체를 ‘만날 시간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고, 언론을 통해서 ‘만날 필요가 없다’는 입장임을 확인했다.
T/F팀은 천안 고교입시의 평준화 적용 타당성을 연구하는 용역 기관 선정 뿐 아니라 설문 문항, 표집 대상과 비율 등을 확정하는 기구이다. 입시제도 개선의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그 팀에 입시제도 개선 ‘전문성’을 갖춘 학부모단체 대표를 포함시켰나. 정치인도 천안시의회에 공식 의뢰하여 포함한 것이 아니라 충남교육청이 임의로 선택한 시의원인데, 과연 ‘대표성’이 있는가. 천안지역에는 초중고 교사가 오천 명, 교장/교감은 240명 정도다. 스무 배나 되는 평교사들이야말로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가장 잘 아는데도 특별팀 9명 중에 평교사는 없고 교장과 교감이 3명이다. 2006년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장 집단은 평준화에 대해 찬성 15%, 반대 75%, 모름 10%였다. 이들의 ‘중립성’은 어떤 것일까.
변화는 누구에게나 두려운 것이지만, 투명하게 함께 하는 일은 결과가 어떻든 모두가 수용할 수 있다. 경기교육청의 고교평준화추진협의회 구성과 운영방향을 살펴보면, 인원도 많고 분야별로 골고루 배정했으며, 추진협의회가 앞으로 어떤 일을 언제 하는지 운영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불공정한 구성에다 구체적 로드맵 한 장 없는 충남교육청과는 태도부터가 다르다.
충남교육청이 T/F팀 구성을 공정하게 바로 잡지 못하면 앞으로 천안 입시제도 개선은 ‘세월아 네월아’ 할 공산이 크다. 반드시 공정하게 재구성하고, ‘입시경쟁 해소’와 ‘대학 진학률 상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붙잡아, 흥타령을 신명나게 부르며 평준화 교육이 재출발하길, 교육감도 이름값 하고 토끼해도 이름값 하길 맘껏 바래본다.
그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1974년부터 국가차원에서 교육정책을 바꾸었고, 천안은 교육여건을 개선한 1980년부터 평준화를 실시했었다. 그런데 95년부터 다시 비평준화로 바꿨다. 서울특별시의 천안구라고 불릴 정도가 된 지역이 아직도 평준화가 아닌 것은 그만한 예외적 사정이 있어서인가.
지금 한국은 평준화와 비평준화 양립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에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전국 중학생의 75% 이상이 평준화 교육을 받고 있는 현재, 성적 우수학생들에 대한 학교 선택권 보장과 수월성 교육을 위해 특목고, 과학고, 예술고, 외고 등을 확대하는 것이다. 그런데 60만 인구가 일구어가는 천안은 충남의 35% 학생의 배움터여서 교육 여건이 충분한데도, 비평준화 교육을 고수함으로써 25%의 작은 시군 지역들과 교육위상을 나란히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평준화를 보완하는 특목고나 자사고 등도 확대하는 기형적인 고교입시제도 지역이다. 우수 학생들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충남의 모든 학생들이 국가교육정책과 별 상관없이 비평준화 교육을 받은 결과는 15년 동안 전국에서 ‘만년꼴찌’이다.
늑장을 부릴 처지가 아님에도 강원도와 경기도의 발 빠른 평준화 추진에 비해 충남교육청은 태평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서 지난 12월 30일, ‘연내 평준화 추진협의회 추진’ 공약을 이행하라며 시민연대는 김종성 교육감과의 면담을 요청하였다. 그제야 성태경 장학관이 T/F팀 명단을 공약이행 증거로 내밀었다. 불공정한 구성임을 확인하고 재차 교육감 면담을 요구하며 면담 요청 이유를 밝혔다. 천안고교평준화 T/F팀을 공정하게 재구성하고, 비공식 로드맵을 공식적으로 발표할 뿐 아니라, 고교평준화 타당성 조사 업무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민원단체를 ‘만날 시간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고, 언론을 통해서 ‘만날 필요가 없다’는 입장임을 확인했다.
T/F팀은 천안 고교입시의 평준화 적용 타당성을 연구하는 용역 기관 선정 뿐 아니라 설문 문항, 표집 대상과 비율 등을 확정하는 기구이다. 입시제도 개선의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그 팀에 입시제도 개선 ‘전문성’을 갖춘 학부모단체 대표를 포함시켰나. 정치인도 천안시의회에 공식 의뢰하여 포함한 것이 아니라 충남교육청이 임의로 선택한 시의원인데, 과연 ‘대표성’이 있는가. 천안지역에는 초중고 교사가 오천 명, 교장/교감은 240명 정도다. 스무 배나 되는 평교사들이야말로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가장 잘 아는데도 특별팀 9명 중에 평교사는 없고 교장과 교감이 3명이다. 2006년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장 집단은 평준화에 대해 찬성 15%, 반대 75%, 모름 10%였다. 이들의 ‘중립성’은 어떤 것일까.
![]() |
천안고교평준화시민연대는 지난 10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천안 고교평준화 정책 도입 타당성 검토를 위한 특별(TF)팀을 공정하게 재구성하라고 충남교육청에 요구했다. |
변화는 누구에게나 두려운 것이지만, 투명하게 함께 하는 일은 결과가 어떻든 모두가 수용할 수 있다. 경기교육청의 고교평준화추진협의회 구성과 운영방향을 살펴보면, 인원도 많고 분야별로 골고루 배정했으며, 추진협의회가 앞으로 어떤 일을 언제 하는지 운영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불공정한 구성에다 구체적 로드맵 한 장 없는 충남교육청과는 태도부터가 다르다.
충남교육청이 T/F팀 구성을 공정하게 바로 잡지 못하면 앞으로 천안 입시제도 개선은 ‘세월아 네월아’ 할 공산이 크다. 반드시 공정하게 재구성하고, ‘입시경쟁 해소’와 ‘대학 진학률 상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붙잡아, 흥타령을 신명나게 부르며 평준화 교육이 재출발하길, 교육감도 이름값 하고 토끼해도 이름값 하길 맘껏 바래본다.
'평등교육천안학부모회 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교육청에서 제시한 상벌점(그린 마일리제) 기준표 예시 (0) | 2011.01.23 |
---|---|
서길원 교장선생님과 행복한 학교 만들기 강연회 _ 1월 26일 15 (0) | 2011.01.20 |
[스크랩] "옷 벗긴 채 복도로 추방... 우린 본 것만 썼다" (0) | 2011.01.10 |
천안신대초등학교 급식 친환경 식재료 전환을 위한 학부모 의견 조사 (0) | 2011.01.03 |
천안중앙고등학교 학생자율생활규정 (0) | 201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