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교육천안학부모회 2008

천안 평학 학부모강좌(조선 통신언어와 21C 통신언어 비교)와 송년회

실다이 2009. 12. 22. 22:17

 일시 : 2009년 12월 22일 (화) 18시

 강사 : 전병용 교수 (단국대학교)

 주제 : 조선시대와 21C 통신언어 비교

 

 

 

 

 

 

 

 

 

 

 

 

 

 

 

 

 

 

 

 

 

 

 

 

 

 

 

 

 

 

 

 

 

 

 

 

 

1. ‘破字 놀이’와 ‘外界語’


1) 참언(讖言 prediction) 기능 - 易姓革命(조작 가능성)


  (1) a. 木子得國(고려말기동요,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b. 走肖爲王(조선중기 기묘사화 발단)

        <중종 때 남곤(勳舊派)과 조광조(士林派)의 갈등>


2) 은비(隱秘, jargon) 기능 - 전쟁, 사업, 연애


  (2) 籍(竹 + 耒(뢰)(來래) + 昔(卄(입) + 一 + 日))

  (3) 잡(市), 사(些), 여(汝), 강(罵), 오(伍), 교(交), 조(旣), 태(兌), 욱(旭)

  (4) øよøぎㅎビλĦㅎコ_¤ 읍ㅎF_しち흐ロっㅉヴ횾_≥∇≤☆ ゴıゴıㆀ

      (안녕하세요 오빠 너무 멋져요 키키)

      읍ㅎ℉_ズй_ザウてエ_øГøノでł_칀구등록_ㅎħ㈜λЙㅎゴ_。

      (오빠 제 버디 아이디 친구 등록해주세요.)


3) 풍자(諷刺, Satire) 기능 - 외계어의 전염가능성    


  (5) 人良且八(食具) 月月山山(朋出) : 犬者禾重(猪種) 丁口竹夭(可笑)

  (6) Øピ녕 уОЧㄴ¶づド 싫Юあŀ= 외계Ю 쓰= ハトㄹ占들@ıでr

      (안녕 너네가 싫어하는 외계어 쓰는 사람들이다)

      уОЧㄴ¶들@ı ㅁИ우 ㄸı껍ュ ズИ水없ズ1ㅁБ

      (너네들이 매우 띠껍고 재수 없지만)      

      ュ乙ㅐ더 똑똑ㅎŁ 우릐づド え占ØГØŦ겠ズ1?

      (그래도 똑똑한 우리가 참아야겠지?)

      уОЧ흐ıえㄱ럼 무숴벵쐼ŀュ ぱr보갇―횬ı 무죠건 쓰ズ1말ØГㄹト ュ乙┥면

      (너희처럼 ????? 바보 같은 무조건 쓰지 말아라 그러면)

      우릐づド 외계Ю를 Øピ쓸갇팱객?

      (우리가 외계어를 안 쓸 거 같아?)

      외계Ю= 2づドズ1으ı フ1능을 동ハ1О-IJ 갖ュ있でrュ

      (외계어는 2가지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ㅁㄱㅁㄱ인쥬 ØГ늬?

      (머머인 주 아니?)

      ㄷБ연ㅎ1 모르겠ズ1? уОЧ흐Ⅰ걋?무식ㅎŁ것들@ı

      (당연히 모르겠지? 너희 같은 무식한 것들이)

      ュ건 ぱr로 례술성@ıㄹБ 으ıハト소통을 할水있でr뇬묵盃@ıでr

      (그건 바로 예술성이랑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이다)

      уОЧㄴ¶ 례술あŀ면ハㄱ 으ıハト소통 할水있늬?

      (너네 예술하면서 의사 소통할 수 있니?)

      못あŀ잖ØГ? 우린 ュ것을 あŀュ있でrュ

      (못 하잖아? 우린 그것을 하고 있다고)


4) 오락과 교육기능(수수께끼, puzzle)

 

 

 

 

2. 公堂問答과 末音添記 - 漢詩 韻律 학습용 → 봉산탈춤의 오락성 → 채팅언어


1) 교육(敎育, education)과 오락(娛樂, amusement) 기능


  (9) 고  불 : 무엇하러 서울로 올라가는公?

      젊은이 : 벼슬 구하러 올라간堂.

      고  불 : 무슨 벼슬인公?

      젊은이 : 녹사 취재(綠事取才)란堂.

      고  불 : 내가 마땅히 시켜줄公?

      젊은이 : 에이, 그러지 못할 거堂.

      (녹사 취재 현장)

      고  불 : 어떠한公?

      젊은이 : 죽어지이堂.<연려실기술, 세종조상신편>


2) 감정 표현(emotional expression) 기능


  (10) 장미 : 미소야 나 간닥(간다).

       미소 : 장먀 가지맛!!!(장미야 가지마).

       이별 : 앙뇽하세염(안녕하세요).

       미소 : 이별님 어솨용~(어서 오세요).

       이별 : 언냐 보고자바 왓징~(언니 보고싶어 왔지)

       미소 : 잠수마랏! 외롭당구리~(외롭다)

       이별 : 넵(네)


        ‘ㅅ > ㅂ > ㄱ > ㅁ > ㅇ’(차렷>왓징)


3) 경어법 중화(中和, neutralization) 기능


  (11) a. 참비 : 인사하는데 안바드믄 서운하다요

       b. 알러뷰 : 참비님 반갑다요

       c. 지니 : 것두 끌여꾸나여(끓였구나)

 

 


 

3. 同音異義語(동음이의문)


1) 익살 기능


 (12) 가자가자 갓나무 오자오자 옻나무

      가다보니 가닥나무 오자마자 가래나무

      한자 두자 잣나무 다섯 동강 오동나무

      십리 절반 오리나무 서울 가는 배나무

      너하구 나하구 살구나무 아이 업은 자작나무

      앵도라진 앵두나무 우물가에 물푸레나무

      낮에 봐도 밤나무 불 밝혀라 등나무

      목에 걸려 가시나무 기운 없다 피나무

      꿩의 사촌 닥나무 텀벙텀벙 물오리나무

      그렇다고 치자나무 깔고 앉아 구기자나무

      이놈 대끼놈 대나무 거짓말 못해 참나무

      빠르구나 화살나무 바람 솔솔 솔나무

      <충남 예산 지방 민요 ‘나무노래’>


  (13) a. 2star(이별)

       b. 「ミ항l복ΙΟΟ④、」(행복천사)  

       c. 문 : 백제 고구려 신라’만을 써서 문장을 만들어라.          

          답 : 배 째실라 고구려(배를 째실라고 그려)    

       d. 문 : 집안에서 야단 난 字는?

          답 : 아내 妻(아내(를) 쳐)


  (14) a. 문 : 도서관과 화장실의 공통점은?

        b. 답 : 학문(항문)을 넓힌다. 학문(항문)에 힘쓴다. 학문(항문)을 닦는다.


2) 풍자 기능


  (14) 書堂乃早知(서당내조지, 서당을 일찍부터 알고 와보니)

       房中皆尊物(방중개존물, 방 안에 모두 귀한 분들일세.)

       生徒諸未十(생도제미십, 생도는 모두 열 명도 못 되고)

       先生來不謁(선생내불알, 선생은 와서 뵙지도 않네.)  

       <김삿갓의 辱說某書堂(모 서당을 욕함)>


  (15) 이름 : 명박 / 별명 : 쥐박 / 생각 : 천박 / 개념 : 띨박 / 철학 : 척박 / 언행 : 경박  /          외모 : 호박 / 인심 : 야박 / 취미 : 구박 / 특기 : 윽박 / 의리 : 깜박 / 공무원 : 타박 /          기관장 : 압박 / 서민 : 핍박 / 민심 : 각박 / 사업 : 피박 / 투기 : 대박 / 범죄 : 해박 /          부패 : 쌈박/ 위증 : 절박 / 경제 : 쪽박  / 정치 : 도박 / 정책 : 엇박 / 구속 : 임박 /          미래 : 포박 / 전망 : 희박 / 성금 : 협박 / 탄핵 : 촉박  / 안티 : 친박 / 이런 : 씨박 /

        <다음 아고라 자료>


3) 미학(美學, aesthetic) 기능


  (16) 甚寒漢高祖(한고조가 매우 추우니)

       不來陶淵明(도연명이 오지 않는다)

       欲擊始皇子(진시황의 아들을 치고자 하는데)

       豈無楚覇王(어찌 초패왕이 없느냐)

       <김삿갓의 ������吟空家歌������ 5절 부분>


  (17) 甚寒邦(몹시 추운 방에)

       不來陶(잠이 오지 않아)

       欲擊扶蘇(부시를 치려는데)

       豈無羽(왜 부시깃마저 없노)


原 文

1단계(同義異音)

2단계(同音異意)

漢高祖



陶淵明


잠(眠)

始皇子

扶蘇

부시

楚覇王


깃(訓讀)



  (18) 李謫翁骨己霜(이적선, 신선이라지만 이미 뼈가 서리 되었으며)

       柳宗是但垂芳(유종원, 원래 좋은 이름만 남았네.)

       黃山裏花天片(황산곡, 골짜기에 꽃은 여기저기 지고)

       白樂邊雁數行(백낙천, 하늘가에 몇 줄의 기러기 날았네.)

       杜子人今寂寞(두자미, 아름다운 사람 지금은 적막하고)

       陶淵月久荒凉(도연명, 밝은 달도 황량해진 지 오래도다.)

       可憐韓退何處(한퇴지, 가련하게 어디로 가고)

       維有孟東草長(맹동야, 동쪽 들에 오직 풀만 무성하네.)

       <김삿갓의 ������八大詩家������ 중 7절 전문>1)




  (19) 그 일이 터졌을 때 나는 먼 지방에있었다

       먼지의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문을 열면 벌판에는 안개가 자욱했다

       그해 여름 땅바닥은 책과 검은 잎들을 질질 끌고 다녔다

       접힌 옷가지를 펼칠 때마다 흰 연기가 튀어나왔다

       침묵은 하인에게 어울린다고 그는 썼다

        (기형도 시 ������입 속의 검은 입������의 제2연)


4) 입력 편의 기능

  

  (20) a. 4U키스(for you kiss)

       b. cul8er(see you later)

       c. lol(Laughing Out Loud)

 

5) 설득 기능


  오리온 제과의 ‘케익오뜨’를 들 수 있다. 프랑스어 ‘오뜨(houte:고품격의)’를 제품명으로 삼아 주 고객인 어린이에게 제품명을 각인시키는 방법으로 덩달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TV광고에서는 ‘케이크 오뜹니다’의 정상적인 독법을 해체하여 ‘케이크, 오! 뜹니다’로 끊어 읽기를 달리함으로써 어른은 물론 어린이도 쉽고도 재미있게 기억한다.

 

 



4. ‘借字 놀이’와 ‘波紋 놀이’


1) ‘차자 놀이’

  

  (21) ‘선어부비취’(善漁夫非取, a son of a bitch) 유래


    중국 원나라 때의 일이다(물론 고증은 전혀 안 된 것이지만). 한  마을에 착하기로 소문나    온 동네 사람들의 신망을 받는 어부가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포악한 원님이 부임해 와 신망을 두텁게 받는 어부에게 질투를 느껴서     누명을 씌우기 위해 쌀, 비단, 금송아지 등을 그 어부의 집앞에 갖다 놓았지만 어부는 거들떠    보지도 않았다.

    그러자 어부의 행동에 화가 난 원님은 그 자리에서 이렇게 탄식을 했다. ‘선어부비취’(善漁    夫非取, 착한 어부는 아무 것도 가지지 않는구나)! 그 뒤로 어부에게 감명 받은 원님은 그 어    부를 자신의 옆에 등용해 덕으로써 마을을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이때부터 ‘선어부비취(善漁夫非取)’는 자신이 뜻한 대로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약간     화가 난 어조로 강하게 발음한다. 이 고사성어는 그때 당시 중국 전역에 퍼졌고, 급기야는 실     크로드를 타고 서역으로까지 전해졌으며. 오늘날에는 미국, 영국 등지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고 한다.


2) ‘파문 놀이(댓글놀이, 패러디놀이)’


  (22) 金樽美酒 千人血(금동이의 좋은 술은 천인의 피요)

       玉搬佳酵 萬成膏(옥반 위의 맛있는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라)

       燭淚落時 民淚落(촛농 떨어질 때 백성눈물 떨어지며

       歌聲高處 怨聲高(노래 소리 높은 곳에 원망소리 또한 높도다)2)


  (23) 이해찬, “골프 별로 안 좋아합니다” 파문

       김태희, “나도 예뻐지고 싶다” 파문

       이혁재, “잘생긴 외모 지겨워 성형결심” 파문

       빌 게이츠, “사실 난 컴맹이다” 파문

       패리스 힐튼, “나는 너무 검소하다” 파문

       WBC 사무총장, 미국이 우승해야 이  대회는 끝날 거라고 해” 파문

       최연희 의원, “가슴 만지는 게 성추행인 줄 몰랐다” 파문



  (7) a. 문 : 늙은이가 바지를 벗고 나무 옆에 선 字는?

          답 : 소나무 松( 참고 翁)

      b. 문 : 들기 좋고, 놓기 좋고, 먹기 좋은 字는?

       답 : 甘(달 감)


5) 익살(pun) 기능 - 중독성


  (8) 얍쯥짭빠라띡따리달란 띡따리딜란띡치단룰둘라

      리비달리둘라룩허비 루비랑 꾸리던 국꺼야 끼비겅국

      아랍짭짭야 리비라리딜 라바릭치산딜란 델란도

      아바 리빴따 빠리빠리바리비리비리비리스뗀 델란도

      야바릴라스텔란 데이야로 와라바레베레베레베데데야브

      브리잘릴라 젤란 도브다게 다게다게데두두 데이야로

      <아카펠라 그룹 Loituma - Leva's Polka 파돌리기송 일명 끓이던 국 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