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를 통한 심리치료, 호흡
요가를 통한 심리치료
몸, 마음, 영혼의 온전한 건강
Swami Ajaya 쓰고
조옥경/왕인순/김아신/박미라/양희연 함께 번역하다
학지사_201511010
호흡 / 58
스와미 베베카난다(Swami Vivekananda)는 “호흡은 몸이라는 기계의 회전조절용 바퀴(flywheel)다. 거대한 기계의 경우 회전조절용 바퀴가 먼저 움직이고, 그 기계의 가장 세밀하고 가장 섬세한 메커니즘이 작동할 때까지 회전조절용 바퀴의 움직임은 더욱더 섬세한 부위로 전달된다. 호흡은 신체 내의 모든 곳으로 동력을 공급하고 조절하는 회전조절용 바퀴다.”라고 말했다. 회전조절용 바퀴의 움직임이 조절되지 않으면 기계 전체의 움직임은 혼란을 겪게 된다. 신체 리듬은 정서적/정신적 삶에 차례로 영향을 미치는데, 호흡은 신체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요가학에서 호흡은 몸과 마음의 주된 연결고리다. (60)
호흡은 오른쪽 미주신경-숨뇌에서 나오는 열 번째 뇌신경으로 성대, 심장, 내장기관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부교감신경과 감각, 운동신경 역할을 하고 있다.-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로 자율신경계가 조절되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아드레날린과 갑상선 호르몬, 인체 내 그 밖의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이러한 호르몬 분비는 인간의 정서 상태를 만들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흡패턴을 의식적으로 변화시키고 자율신경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도록 배움으로써 자율신경계의 각성을 변화시키고 그 결과로 정서 차원을 조절할 수 있다. (61)
생체에너지 치료 창안에 공헌한 알렉산더 로웬-1910~2008. 빌헬름 라이히의 신체심리치료 작업을 토대로 존 피에라코스와 함께 생체에너지 치료를 개발한 의사-은 “호흡은 느낌을 만들어 낸다. 사람들은 느끼는 것을 두려워한다. 부적절한 호흡은 불안, 흥분, 긴장을 일으킨다. 정상적으로 호흡할 수 없는 것이 정서적 건강을 회복하는 데 주된 장애물로 작용한다.”라고 하였다. 존경받는 물리치료사 마그다 프로스카우어는 “호흡은 의식과 무의식의 가교 역할을 한다. 우리의 호흡패턴은 우리의 내적 상황을 드러낸다.”고 말하였다. (61)
알렉산더 로웬은 호흡의 불규칙성은 정서장애와 연관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대부분의 사람은 빈약한 호흡을 하고 있다. 이들의 호흡은 얕고 어떤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호흡을 멈추는 경향이 있다. 차를 운전하고 편지를 타이핑하고 인터뷰를 기다리는 것과 같은 단순한 스트레스 상황에서조차 사람들은 호흡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로 긴장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더 완전하게 호흡하기 위해서는 날숨에 폐를 적절하게 비워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 특히 신경증이 있는 사람들은 숨을 완전히 내쉬지 못한다. 로웬은 “신경증이 있는 사람은 숨을 완전히 내쉬는 게 어렵다는 것을 발견한다. 마치 보안 조치처럼 공기를 보유한 상태로 숨을 멈춘다. 날숨은 수동적인 과정으로, 내려놓음과 같은 것이다. 완전한 날숨은 항복이자 내맡김이다.”라고 보았다. (65)
우울이나 천식이 있는 사람은 주로 왼쪽 코로 호흡하고, 불안하거나 안절부절못하는 사람은 주로 오른쪽 코로 호흡한다. 대체로 단순한 자세나 호흡기법들은 그러한 불균형을 쉽게 바로잡는다. 임상연구자들은 외래환자의 6~10%가 만성적인 과다호흡증후군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환자들이 이야기하는 증상에는 현기증, 두통, 가슴통증, 불안, 공황발작, 극도의 피로 그리고 다양한 신체적/정서적 증상의 호소가 포함된다. 그 원인은 혈중 산소와 이산화탄소 비율의 불균형에 있으며, 이 증상들은 횡경막 호흡과 들숨/날숨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쉽고 빠르게 없앨 수 있다. 몇 번의 훈련회기만으로도 만성적인 질병이 쉽게 고쳐질 수 있다. (66)
호흡은 사람마다 그리고 같은 사람이라도 시간마다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요인들은 다음과 같은데 ① 들숨 대 날숨의 비율 ② 공기의 흐름이 고른지 고르지 않은지 ③ 들숨이나 날숨 끝에서의 멈춤 정도 ④ 폐의 확장과 수축에 사용되는 근육들 ⑤ 공기가 우세하게 드나드는 콧구명 ⑥ 호흡의 깊이 ⑦ 호흡 수 ⑧ 날숨의 세기 ⑨ 콧구멍을 통한 공기 흐름의 패턴이다. 몇 세기에 걸쳐 요가학은 체계적인 자기 관찰을 실행해 왔기 때문에 호흡의 미세한 변화와 이런 변화가 존재의 모든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해 왔다.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