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은수미 민주당 의원 |
18일 민주당 은수미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기상청로부터 제출받은 국감 자료에 따르면, 강원도 양구에 설치된 공중음파관측소는 설치 4개월 만에 낙뢰로 고장난 뒤 2년여간 쓸모가 없었다.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 당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위치 발표에 혼선을 빚자, 2007년 7월부터 인공지진발표 업무는 기상청으로 이관되었다.
기상청은 2011년 강원도 양구 공중음파관측소, 2012년 강원도 철원 공중음파관측소를 설치하여 지진파와 음파 관측 자료를 상호 보완적으로 분석하여 자연․인공지진 관측을 해오고 있다.
특히 2013년 2월 12일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지진 규모 4.9에 해당하는 3차 핵실험을 강행할 당시 발생한 주파수로 공중음파 발원지와 발생 시점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양구 공중음파관측소는 2011년 12월 설치된 지 4개월만인 2012년 5월 낙뢰로 장애를 일으켰고, 제조사의 부품 공급 지연 등으로 2013년 2월 7일에서야 장비가 재가동되었다.
하지만 장애가 계속되는 바람에, 작동을 멈추고 수리를 기다리고 있다.
양구 공중음파관측소가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3차 핵실험 당시 기상청은 진도 규모를 5.1로 추정했으나,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진연구센터는 4.9로 수정해 산출했다. 이에 따라 폭발 규모도 10kt(킬로톤)에서 7kt으로 수정된 바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도 자체 음파관측소 5개소를 운영 중인데 기상청 업무로 이관되지도 않고 정보도 공유되지 않아 혼란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은수미 의원은 “우리나라 전역의 관측소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핵실험 위치와 폭발 규모 등을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지진 관측업무는 기상기후적 측면뿐만 아니라 안보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며“기상청은 양구 공중음파관측소를 제대로 관리하여 예산의 낭비를 막고, 지질자원연구원과도 조속하게 실질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