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학영 민주당 의원 |
금융감독원 사회공헌단이 주주로 있으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까지 받은 업체가 대부업 중개를 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민주당 이학영 의원(정무위, 경기 군포)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지론>이 2010년부터 2013년 6월까지 대출중개한 실적에는 서민금융 상품뿐 아니라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캐피탈, 대부업 대출까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지론은 2010년 6,577건 396억, 2011년 3,998건 327억, 2012년 2,987건 283억으로 중개실적 감소했으나, 2013년 6월까지 4,993건 570억 원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중 대부중개실적은 1,491건 67억으로 2012년 10억 원이던 것이 올해 6월까지 14억 원으로 40% 이상 급증했다.
한국이지론은 2005년 10월 저축은행중앙회, 신협중앙회, 대부업협회 및 한국신용평가 정도(주) 등 4개 기관이 공동출자해 설립했다가, 2010년11월 한국신용평가정보(주)가 나이스홀딩스와 합병되면서 나이스 그룹의 손자회사가 되었다.
사회적기업 인증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는데, 인증되기 전 4차례나 대부사업을 하는 회사가 사회적기업이 될 여부의 논란 때문에 판단유보와 불인증 받은 후 5번째 신청에서야 겨우 인증받았다.
이후 2011년 12월 말 은행 등이 증자에 참여하면서 나이스 그룹에서 제외되었다. 이때 금감원 사회공원단이 주주로 참여하면서, 금감원 팀장이 비상임이사로 참여했다.
하지만, 사회적기업 인증 후에도 여전히 대부중개업을 하고 있으며, 대부중개업체임에도 대부업실적이 매출액의 50% 미만이면 대부표시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대부업법 시행령에 의해 상호에 대부중개 표시도 하지 않고 있다.
한국이지론은 “금감원의 후원”, “사회적기업”, “국무총리표창” 등을 내세우면서 '제도권 금융회사 이용이 어려운 서민들의 사금융 수요를 제도권 금융회사로 흡수하고, 불법 사금융 피해로부터 금융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세워졌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우선 대상자의 소득분포를 보면 전체 이용자의 58.8%인 2.1만 명이 200만 원 이하 소득자이다. 문제는 이들의 상환능력이다. 이용자의 50.5%인 1.8만 명이 DTI(총부채상환비율) 40%를 넘고 있어, 과다 채무자인 이용자의 대부분이 돌려막기를 하다가 채무불이행 상태로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대출중개와 관련해서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성과보수도 문제가 되는데, 각 업권별로 수수료율이 다르다 보니 성과보수 확보를 위해 수수료가 높은 대부업체를 중개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이지론 홈페이지의 주간 인기상품에도 금리 30% 이상인 상품이 3개나 포함되어 있어 고금리 대출 피해를 볼 가능성까지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금감원은 고금리 대출중개를 하는 한국이지론을 공적 대출중개기구라고 옹호할 것이 아니라, 대부업 등의 고금리 대출과 상환능력이 낮은 저신용, 저소득자를 상대로 무리하게 대출을 일삼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