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치료] 동양 심리치료와 자아초월 심리치료
제13장 동양 심리치료와 자아초월 심리치료_김난주_131127.hwp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권석만, 학지사, 2012.8.30.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 길-
제13장 동양 심리치료와 자아초월 심리치료
1. 동양 심리치료의 개요
2. 동양의 심리치료적 사상과 그 특성
1) 유학 사상 2) 도가 사상 3) 힌두교 사상 4) 불교 사상: 동양의 대표적인 심리치료 체계 (1) 고제: 고통의 현상론 (2) 집제: 고통의 원인론 (3) 멸제: 수행의 목표론 (4) 도제: 고통의 치유를 위한 수행방법론 5) 동양 심리치료의 특성
3.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1)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2) 마음챙김의 심리치유적 기능 3)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BSR) 4)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5)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치료(MBCT) 6) 수용전념치료(ACT) ■ 수용 ■ 인지적 탈융합 ■ 맥락으로서의 자기 ■ 현재에 존재하기 ■ 가치 ■ 전념적 행동
|
4. 자아초월 심리치료
1) Ken Wilber의 통합심리학 (1) 홀론과 4상한 (2) 온 상한 온 수준(AQAL)의 통합 모델 (3) 의식의 발달단계 ① 가면 수준 ② 철학 수준 ③ 자아 수준 ④ 생물사회적 수준 ⑤ 실존 수준 ⑥ 초개인 수준 ⑦ 일심 수준 (4) 개인과 인류의 영적 성장 2) 자아초월 심리치료의 기본골격 (1) 통합적 변형수련 (2) 통합적 삶을 위한 수련
5. 일본의 심리치료
1) 모리타 치료 2) 나이칸 치료
6. 한국의 심리치료
1) 도(道)정신치료 (1) 핵심감정 (2) 치료자의 공감 2) 온마음 상담 (1) 공상과 집착 (2)온마음 상담의 과정 3) 본성실현상담 (1) 인간의 본성과 장애 요인 (2) 본성실현상담의 과정 4) 현실역동상담 (1) 문제의 진상 파악하기 (2) 상담에 대한 방향 설정하기 (3) 심정을 헤아려주기 (4) 외적 현실을 중시하기 (5) 역할에 대한 강조 (6) 상담자의 어른 역할 (7) 직면을 활용하기 (8) 부모-자녀 관계 복원하기 (9) 사회성 촉진하기 5) 동사섭 |
1. 동양 심리치료의 개요...457
■ 동양인과 서양인은 심성구조가 같다
■ 동양인과 서양인은 심리적 특성이 다르다: 다른 문화권에서 성장하기 때문
-동양인: 집단주의적-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조화를 중시
-서양인: 개인주의적-개인의 자유와 독립성을 중시
2. 동양의 심리치료적 사상과 그 특성
1) 유교 사상...458
■ 공자 제창, 중국 춘추전국시대(B.C.552~497), 철학, 윤리학, 정치학, 심리학
■ 유학자: 인간과 사회의 조화 추구-인간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주장과 이론 제시
■ 공자: 정치적 혼란기에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 중시하며 평화와 안정 구현을 지향
⁃ 덕목5: 오상(五常)-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인간세계의 조화와 평화 추구의 긍정적 성품(덕목), 개인적 성취보다는 원만한 인간관계 중시, 종교적이고 초월적이기보다는 현세적이고 이성적 태도 강조, 절제와 중용으로 욕망을 조절하고 삼가는 자기조절 중시.
⁃ 목표: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 군자의 인(仁) 함양법
-수기치인: 修己治人, 학문적, 자아를 완성한 요순
-수기안인: 修己安人, 정서적, 종교적, 나를 찾고 나를 비우기 (http://blog.daum.net/dangi43335/297)
⁃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 군자 실현 절차, 유학 실천 강령 (격물-사물의 이치를 궁구함, 치지-지식을 지극히 함, 성의-뜻을 성실히 함, 정심-마음을 바르게 함, 수신-몸을 닦음, 제가-집안을 가지런히 함, 치국-나라를 잘 다스림, 평천하-세상을 평화롭게 함)
■ 주자학(성리학): 수양방법
-거경과 궁리가 수레의 두 바퀴와 같이 함께 있어야 비로소 인을 실천할 수 있다.
-거경(居敬): 몸과 맘을 삼가고 바르게 가짐. 마음을 한군데에 집중하여 잡념을 버리는 것(정좌). 《논어 · 옹야편》의 "경건함에 거하며 간소하게 행한다" 에서 나온 것으로, "스스로 경건하게 처신하는 것"
-궁리(窮理): 사물의 이치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지님. 《주역 · 설괘전》의 "이치를 끝까지 탐구하고 본성을 다하여서 천명에 이른다"에서 나온 것으로, “만물의 이치를 끝까지 탐구하는 것”
-궁리법: 격물치지
박학: 널리 배움
심문: 의문을 지니고 질문함
신사: 깊이 생각함
명변: 분명하게 말함
독행: 배운 바에 따라 행동함
2) 도교 사상...460
■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漢代:BC 206~AD 220에 처음 사용, 원래 老子)과 장자((莊子, 역사상 가장 문학적인 비유와 상상력이 풍부한 동양의 탈무드, 삶의 등불)의 사상
-상선약수의 삶: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서로 다투는 법이 없고,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곳을 지향한다.”
■ 도가의 지향점
-무위자연을 통한 초월적인 삶
-우주만물을 생성하고 운행하는 도(道)를 따르는 삶
-도(道): 우주만물의 운행을 관장하면서도 의도적인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자연의 태도, 무위), 천지만물의 공통된 본성
-덕
■ 노장사상
-몰락한 주(周) 나라의 문물제도가 지닌 허위성과 형식성을 비판하며 나타난 사상
-인간의 지식과 신념(人爲)은 시대, 지역, 교육 등의 환경에 좌우되는 것이며 보편타당하지 않음
-반문명적, 탈가치적, 반형식적인 경향
-인의예지는 사회 질서유지를 위한 인위적 형식이라고 비판하며 집단 중심적 태도보다 개인 중심적 태도 지향하고 인위와 세속을 초월하여 자연의 흐름에 내맡기고 삶
3) 힌두교 사상...461
. 인도에서 고대부터 전해온 바라문교가 복잡한 민간신앙과 결합하여 발전한 종교. 기본 사상은 『리그베다』『우파니샤드』등의 경전에 바탕을 두고 있다.
-리그베다: B.C.1500년 경에 쓰여진 경전. 자연현상을 의인화하고 신을 찬양하는 서정시적 송가 1028개의 기도문 수록.
-우파티샤드: 약 B.C.1000~A.D.1600. 세계 최초의 철학서. 요가와 인도철학의 뿌리. 스승에게 가까이 앉는다. 108 성인들의 지식을 담고 있는 교의서. 진실의 본질을 깨닫고 지혜에 눈을 뜨기.
. 힌두교:
-윤회: 생명이 죽은 뒤에서도 세상으로 회귀한다.
-업(karma): 현재의 삶은 과거의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
-해탈(Moksa): 윤회의 사슬로부터 영원히 벗어난다. 심신수련을 통해 개인이 최고신과 하나님을 깨닫는 신비한 직관을 체득함으로써 해탈에 이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범아일여 사상: 대우주의 본체인 브라만과 개인 영혼인 아트만이 하나이다.(베단타 철학)
-옴(Om): 브라흐만의 성음. 불멸의 우주적 진동음. 아트만의 상징음. 소우주인 인간의 의식, 무의식, 잠재의식, 전생의식까지 깨우는 우주적 진언(眞言). 창조의 아(A), 유지의 우(U), 소멸의 옴(Om), 침묵의 음의 파동이 연속되는 옴(Om)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유일무이한 정신적 체험을 가능케 하며, 옴 만트라-요가는 감성이 정화되어 깊은 명상의 세계에 이르게 한다.
-옴-마니-파드메-훔(Om-mani-padma-hum): "연꽃속의 보석이여!“ 완전함. 분리되지 않은 일체성.
. 요가: 윤회의 속박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르는 다양한 수행방법. 개체자아와 절대자아의 합일.
-박티 요가: 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강조
-지나나 요가: 지식과 지혜의 계발을 중시
-카르마 요가: 선하고 올바른 행위를 강조
-하타 요가: 금욕과 신체의 정화를 강조
-라자 요가: 정신집중과 명상을 중시
. “요가는 Vision: 자신의 과거를 지우고 현재의 한계를 넘어 미래를 그려내는 연결점이다.” -한국요가협회장 이정훈-
. 아쉬탕가 요가 : Patanjali가 정리한 요가수행 8단계,『Yoga-sutra』2장 29절. 그릇에 담은 바닷물도 바다이듯이 우주의 또 하나의 모습인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요가의 실천적 수행을 통하여 단계별로 진화시키고, 해탈로 이끄는 여덟 부문의 단계적 수행체계. 라자-요가.
<1>도덕적 통제력을 함양하는 수련
1단계: 금계(yama)-윤리와 자기절제(극기). 부정적인 행위를 금하는 사회적 계율.
아힘사: 남을 헤치지 않음. 비폭력
사트야: 거짓을 말하지 않음
아스테야: 남의 것을 갖지 않음. 정직
브라마차리야: 성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음
아파리그라하: 욕심을 내지 않음
2단계: 권계(niyama)-덕목과 지선. 긍정적이고 개인적인 규범.
사우차: 몸과 마음을 정결하게(청정)
산토사: 있는 그대로에 만족하기(만족)
타파스: 수행에 정진하기(고행)
스와디야야: 자아를 알고 진리를 파악하기(학습)
이스바라-프라니다나: 자재신(自在神)에게 기원하기(헌신)
<2> 육체적 통제력을 육성하는 수행
3단계: 좌법(asana)-육체수련. 신체동작을 통해서 몸의 긴장과 이완을 조절하는 수행법. 몸의 생기로 각 차크라들을 열고 닫는 수행체계. 의식이 동요나 분산됨이 없이 단일한 자세에 집중되어 있는 인간의 조건을 초월하는 표시들.
4단계: 조식(pranayama)-호흡순환. 호흡으로 우주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수련.
5단계: 제감(pratyahara)-감각기관에 대한 자극을 차단하여 심신의 평정 이루기.
<3> 수련의 심화과정
6단계: 웅념(dharana)-환경자유 의식. 정신을 집중하여 자기를 통일하는 수행.
7단계: 선정(dhyana)-의식의 대상을 초월하여 무념, 무상, 무심의 상태에 이름.
8단계: 삼매(samadhi)-순수의식 확립과 통합. 수행으로 심신 평정상태에서 절대 진아와 합일되어 이른 무아상태.
. 카스트 계급의 주요 덕목
-브라만(교육받은 귀족층): 속죄, 회개, 절제, 관용, 청렴, 공정, 지식, 영성
-크샤트리아(무사 계급): 전쟁에서의 용맹, 명예, 활력, 인내
-수드라(하층 계급): 노동 의무 충실
. 한평생 거치는 생활기 4단계
-학생기: 배움에 집중하는 때
-가장기: 성인이 되어 가족을 부양하는 때
-임주기: 자녀가 성장하면 숲속에 들어가 수행하는 때
-유행기: 인생의 노년에 세상을 떠도는 때
4) 불교 사상: 동양의 대표적인 심리치료 체계...463
(1) 고제(苦諦): 고통의 현상론-인생은 고통스러운 것이다.
-힘이 드는 것. 자기의 뜻대로 되지 않는 상태. 벗어나고 싶은 바람 유발. 불교는 110종으로 분류
-사고: 생(삶 유지)로(육신과 정신의 기능 쇠퇴)병(병의 통증)사(몸과 맘의 사멸)의 괴로움
-팔고: 사고 + 애별이고(애착하는 것과 이별)원증회고(미워하는 것과 만남), 구부득고(얻고자 하는 것을 얻지 못함), 오음성고(마음에 떠오르는 모든 것에 집착)의 괴로움
-번요뇌란(煩搖惱亂): 인간의 마음을 혼란시키는 108번뇌. 유식학(唯識學)
-유식학: 유식학을 성립시킨 학자는 무착보살(無着菩薩). 무착(Asanga)보살은 A.D4세기경(佛滅 九百年)에 인도의 간다라(Gandhara)라는 나라의 수도인 푸루사푸라(Purusapura)에서 출생. 미륵보살은 무착의 소원대로 아유다국(阿踰陀國)의 강당에서 밤마다 4개월간 지속되었으며 이때 무착보살은 미륵보살의 설교내용을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편집하여 발간.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百卷)], [분별유가론(分別瑜伽論)], [대승장엄론(大乘莊嚴論)], [변중변론(辯中邊論)], [금강반야바라밀경론(金剛般若波羅密經論)]
(2) 집제(集諦): 고통의 원인론-모든 고통은 집착에서 비롯된다.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 것. 이 세상은 마음이라는 거울에 비친 그림자.
-심외무일물: 마음을 떠나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고통은 마음이 만들어낸 것이고 마음에 비친 것. 마음의 그림자. 망념과 집착.
-연기설: 이 세상 모든 것은 그 자체로서 독립적인 속성을 지니지 않으며 상대적임. 모든 것은 다른 것에 의지하여 인연화합으로 생겨나며 변화하는 것.
-존재(자아): 인연에 따라 항상 변하여 찰나도 머무르지 않는 것.
-고통은 존재의 실상에 대한 무지와 집착에서 생김.
(3) 멸제(滅諦): 수행의 목표론-집착을 없애면 열반(이상적 경지, 불어서 끄는 것)에 이를 수 있다.
-번뇌의 불꽃을 지혜의 바람으로 불어 꺼서 모든 고뇌가 사라진 상태.
-망념과 번뇌를 멸절시켜 모든 고통과 구속으로부터 자유롭게 벗어난 상태.(해탈)
(4) 도제(道諦): 고통의 치유를 위한 실천론-열반에 이르는 길, 팔정도, 육바라밀, 삼학, 지관법, 참선법 등
-팔정도: 정견(올바로 보기), 정사(올바로 생각하기), 정어(올바로 말하기), 정업(올바로 행동하기), 정명(올바로 생계유지), 정근(올바로 부지런히 수행), 정념(올바로 마음보기), 정정(올바로 마음 평정)
-육바라밀: 대승불교 보살의 수행덕목 6: 보시(다른 사람에게 베풀기), 지계(계율 지키기), 인욕(욕된 일 참기), 정진(끊임없이 노력), 선정(고요히 집중), 지혜(분별적 사유를 떠나 인간 존재의 실상에 대한 직관으로 깨달음)
5) 동양 심리치료의 특성...467
■ 동양인은 2,500여 년 전부터 심리적 고통을 극복하고 평화로운 삶을 살기위한 수행법을 체계적으로 개발
■ 동양적 심리치료의 특징 8, Walsh(2000)
-우리의 일상적인 마음상태는 역기능적이고 미발달되어 통제가 부족한 상태
-모두가 역기능을 공유하므로 문제점으로 여겨지지 않고, 자기가면이 자각을 왜곡해서 역기능 가림
-심리적 고통은 정신적 역기능에 기인
-마음수련으로 역기능을 줄이고 집중력, 자비심, 통찰, 환희의 능력 발달
-마음수련은 자타의 행복을 향상시키는 최선의 방법
-잘못된 자기정체감은 이미지나 개념일 뿐, 진정한 본성은 훨씬 더 대단함을 인식
-명상과 요가는 마음수련에 효과적 기법
-맹목적인 신앙에 의해 받아들여질 필요가 없고 검증 가능
■ 인간의 발달과 성장. Maslow(1971), Kohlberg(1981)
-전개인적/전인습적 수준(병리적): 출생 초기에 모호한 의식만 있고 자기의식과 사회인식이 없다.
-개인적/인습적 수준(실존적): 성장하고 사회화됨. 일상적이고 정상적. 사회적 인습에 위장되어 진실하지 못한 삶이고 잠재력이 발현되지 못한 미숙한 상태이다.
-초개인적/후인습적: 집단적인 속박의 한계를 넘어서 발달하여 자기의식, 동기, 정서, 인지 등 전반적 심리발달이 일어난다.
■ 서양의 심리치료는 개인적/인습적 발달수준에서 사회적 환경에의 적응이 목표라면, 동양의 심리치료는 마음의 훈련을 통해서 초개인적/후인습적 발달단계로의 성장을 추구한다.
-안내자: 올바른 수련방법을 지도하고 유혹과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격려
3.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1) 마음챙김(sati, mindfulness)이란 무엇인가...471
■ 위빠사나(통찰) 명상: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마음의 현상을 있는 그대로 세세밀밀 관찰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 (사마타 명상: 집중명상, 한 가지에 집중하여 마음을 멈추게 하고 맑고 고요하게 함)
■ 사띠: 기억하다, 분명한 알아차림, 현재에 대한 주의집중, 충분히 깨어있음.
■ 마음챙김의 특성 4, 우 빤디따 사야도(2002)
-즉시성.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는 대상에 대한 즉각적인 자각
-들뜨지 않음. 관찰대상에 주의를 집중하려는 의도적인 노력
-대상을 조작하지 않음. 몸과 마음을 조작하거나 조절하려고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관찰
-보호함. 번뇌의 공격으로부터 막아주거나 보호하는 작용. 비판단적이고 비평가적인 수용적 태도로 명확하게 알아차려 번뇌에서 벗어남(안승준, 1993)
2) 마음챙김의 심리치유적 기능...472
■ 마음챙김의 주요한 특성 3, Germer(2005)
-현재의 경험: 마음의 초점을 현재보다 과거에 미래에 두지 말 것
-수용적: 우리의 경험에 대해 평가적이고 판단적이지 말 것
-자각하여 알아차릴 것
■ 마음챙김의 효과,
-권석만(2006): 관찰자아가 체험자아에 함몰되지 않은 채로 거리를 두고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자기경험의 변화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감소하여 점차 평정의 상태에서 체험자아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Kabat-Zinn(1982): 통증이나 불안과 관련된 사고를 비판단적으로 관찰함으로써 그런 사고가 실재의 반영이 아니라 ‘단지 생각일 뿐’임을 깨닫게 됨으로써 이를 회피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게 된다.
-현재의 자기경험에 주의를 집중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하므로, 자신의 마음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목표성취로 분주한 삶에서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고 허용하는 삶으로 전환하여, 정서적 평정과 심리적 자유로움을 얻는다.
■ 서양심리차료의 한계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적/대응론적 진리관에 기초해, 심리적 부적응이나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현실을 왜곡한 인식을 지니며 이를 올바른 사실적인 인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고 가정.
-정신분석: 일차적인 미성숙한 심리과정(원초아 또는 무의식)을 이차적이고 성숙한 심리과정(자아 또는 의식)으로 대체...관점에 따라 성숙 여부에 대해 달리 인식
-행동치료: 부적응적 행동을 적응적 행동으로 대체...삶은 다양한 상황(맥락)에서 계속 변화하므로 항상 적응적인 방식은 부재
-인지행동치료: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인지를 합리적이고 적응적인 인지로 대체
-인과론적 세계관: 현재의 문제를 과거의 요인으로 설명하고 미래에 초점을 맞춰 치료...지금-여기의 즉시적 체험을 경시
■ 서양 심리치료의 변화
-경험을 바라보는 개인의 태도, 즉 메타심리적 태도(마음을 대하는 마음자세)가 심리치료에 있어서 보다 근본적인 초점이 되어야 한다.
-자신의 경험을 대하는 태도가 변화되지 않는 한, 내담자들은 끊임없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불만족감을 느끼게 되며 그 결과로서 증상이 재발되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처치나 조작에 의한 변화보다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경험을 수용하도록 돕는 것이 보다 궁극적인 치료이다.
-문제 상황에 직면하면 과거의 부적응 방식을 반복하거나 새로운 대처방식을 적용하는 데 오랜 시행착오를 겪는다. 매 순간수간의 체험을 자각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마음챙김 명상으로 치료적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3)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475
■ 존 카밧진(1979): 신체의 모든 감각을 알아차려, 생활 스트레스, 만성적 통증과 질병, 두통과 고혈압, 불안장애, 수면장애 등의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신체적/심리적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개발.
-먹기, 걷기, 숨쉬기 등 일상행동에 대한 마음챙김
-신체 각 부위의 감각에 집중하는 바디스캔
-몸을 골고루 풀어주는 하타요가
■ MBSR 8주 프로그램
-1회기: 방황하는 마음의 속성을 설명하고 마음챙김 명상과 기본태도 7을 소개
-2회기: 행위양식에서 존재양식으로의 변화
-3회기: 호흡의 힘, 마음이 얼마나 분주하게 움직이는가 인식하기
-4회기: 정좌명상. 마음챙김 호흡, 감정과 생각의 변화 알아차리기
-5회기: 정좌명상. 소리듣기. 생각하기. 현재에 머물러 항상 깨어있기
-6회기: 47개 하타요가로 마음챙김
-7회기: 마음챙김의 날. 정좌명상, 걷기명상, 바디스캔, 요가수행, 침묵
-8회기: 자신만의 명상법 피드백
■ 자동반응 → 숙고반응
-특정한 상황에서 자동적 또는 습관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사려 깊게 행동할 수 있다.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신체적/심리적 질병의 치유를 얻는다.
-행복감을 증진하고, 우울, 불안, 불면, 통증이 완화된다.(2004)
4)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476
■ 마샤 리네한(1993)이 경계선 성격장애 치료를 위해 개발
-강렬한 정서적 고통이나 충동을 경험하는 내담자들에게 효과적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성: 감정조절에 어려움을 겪게 하는 정서적 취약성. 정서 자극에 매우 예민, 정서 자극에 강렬한 반응, 정서 회복에 시간이 걸림
■ 변화 대 수용의 변증법: “수용이 변화를 이끌 수 있고, 변화가 다시 수용을 이끌 수 있다!”
-내남자의 경험을 그 순간에 있는 그대로 수용.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일어나야 할 변화 명료화. 변화의 변증법적 갈등을 해결하고 균형 유지
■ 마음챙김으로 정서 회피에 대한 욕구를 줄일 수 있다.
■ 마음상태 3
-합리적 마음: 지적으로 경험에 접근하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며 냉철하게 문제 해결
-감정적 마음: 생각과 행동이 정서상태에 따라 좌우됨
-지혜로운 마음: 감정적 경험과 논리적 분석에 직관적 인식을 추가한 상태
-마음챙김 기술은 감정적 마음과 합리적 마음 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지혜로운 마음 견인
■ 목표: 사회적/자기주장 기술 습득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룸
-대인관계 기술, 정서조절 기술, 고통감내 기술, 의미창출 기술
-정서적 고통을 줄이면서 강렬한 정서 상태의 강도/지속시간/빈도 감소시키기
-자신의 감정과 함께 작업하는 것을 배움
5) 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478
■ John Teasdale(1999), Segal & Williams & Teasdale(2002)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해 자동적 사고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치료법 개발
-상호작용하는 인지 하위체계 이론에 근거
■ 정보를 처리하고 감정을 느끼는 마음의 양식 2: 행위양식과 존재양식
-행위 양식(Doing mode): 목표지향적이고 목표 성취를 위해 행위에 몰두
-존재 양식(Being mode):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허용
■ 탈중심화: 생각과 감정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에 불과하다.
■ 8주간 집단치료 형태로 구조화. 우울증 이론의 인지 & 마음챙김 훈련
■ 3~4번 이상 우울증 재발자들이 재발률 약 50% 감소
6)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480
■ Steven Hayes(1999)와 Strosahl &Wilson이 개발한 제3세대 인지행동치료
-고통(인간 삶의 기본 요소)스러운 부정적 감정에 저항하지 말고 수용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가치와 목표를 실현하는데 전념하도록 돕는다.
-고통과 함께 하면서도 원하는 삶이 가능하다
-다양한 비유를 적절한 맥락과 시점에서 사용하며, 논리적인 설득이 아니라 내담자의 직접적 체험을 통해서 치료적 변화를 도모한다.
■ 수용: ‘통제’는 더 이상 고통을 완화할 수 없다는 ‘창조적 절망감’을 자각하고 있는 그대로 기꺼이 경험하기
■ 인지적 탈융합: 생각을 생각으로, 감정을 감정으로, 기억을 기억으로, 신체적 감각을 신체적 감각으로 봄으로써 언어의 굴레로부터 벗어나기
■ 맥락으로서의 자기: 평가하는 언어로 개념화된 자기로부터 벗어나, 지금-여기의 경험을 ‘조망’하는 자기, ‘관찰’하는 자기
■ 현재에 존재하기: 개방적이며 비방어적으로 현재의 순간에 접촉하도록 촉진하여, 행동적/인지적으로 노출하고 알아차리기
■ 가치: 개인이 실현하고 싶은 것이 명료해지면 그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와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
■ 전념적 행동: 의도한 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받아들이기. 변화 가능 영역에서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변화를 유발하고, 변화 불가능 혹은 무익한 영역에서는 수용과 알아차림으로 균형적인 접근 취하기
4. 자아초월 심리치료
1) Ken Wilber의 통합심리학...483
-전개인적 의식, 개인적 의식, 초개인적 의식의 수면, 반각성, 완전각성 과정을 다룸
-영성과 과학을 통합함으로써 인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지평 확장
(1) 홀론과 4상한...484
-홀론: ‘하나의 전체’인 동시에 ‘다른 것의 부분’인 존재. 모든 개체는 전체인 동시에 부분의 이중적 역할 수행. 개인은 자율적이고 독자적이면서 사회적이고 집단적 기능.
-4상한: 자기 경험 인식의 ‘내면적 관점’과 제3자에 의한 평가의 ‘외면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설명
좌상 상한 “나(I)" 내면적, 개인적, 도덕적 Freud (주관적 관점) 개인의 내면적인 주관 세계를 설명하는 이론 1인칭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의식의 주관 신체적 감각에서 정신/영혼에 관한 모든 것 개인 내면 의식의 스펙트럼 전체를 포함함 |
우상 상한 “그것(It)" 외면적, 개인적, 행동적 Skinner (객관적 관점) 의식의 내면적 상태에 대한 외면적 상관물 외현적 행동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설명함 3인칭 언어로 행동, 육체, 구성물질 등 설명 |
좌하 상한 “우리(We)" 내면적, 집단적, 문화적 Gadamer 집단의 내면적 관점(집단의식) 개인으로 구성된 집단이 공유하는 가치, 의미체계, 세계관, 도덕과 윤리 문화적으로 형성된 의식, 집단적 의식 나와 너의 상호 이해와 조정을 포함함 |
우하 상한 “그것들(its)" 외면적, 집단적, 사회적 Marx (우주의식) 사회의 제도를 객관적 관점에서 설명 모든 집단 문화의 외면적/물질적/제도적 측면 집단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설명한 사회과학 자연생태계와 우주를 설명한 자연과학도 포함 |
(2) 온 상한 온 수준(All Quadrants All Levels)의 통합 모델...485
① 이해와 설명의 관점. 4상한의 관점 포함
② 발달라인. 개인 발달의 20개 지류.
-인지/정서/욕구/성/창의성/심미안/도덕성/자기정체성/세계관/영성/ 유머 등. 개인은 발달라인마다 각기 다른 발달 수준이 나타남
③ 개인의 발달수준 7. 전개인적/개인적/초개인적 수준.
-Piaget(인지), Kohlberg(도덕) Maslow(욕구), Erikson(심리사회), Loevinger(자기) 등에 근거
④ 상태. 일시적으로 체험되는 의식 측면
-일시적 변화 경험: 약물, 종교수행의 환각경험이나 신비체험
-자연적 변화 경험: 각성, 수면, 꿈의 의식 경험
-현상학적 변화 경험: 감각, 정서, 사고, 기억, 영감 등
-변성 의식상태 경험: 약물, 최면, 명상, 이미지 훈련 등
⑤ 유형. 개인의 특성.
-남성성과 여성성
-성격유형론: Jung, Enneragram
(3) 의식의 발달단계...486
■ 『의식의 스펙트럼』
① 가면 수준: 개인적 윤리관에 의해 수용 가능한 것만을 자기라고 여기며 자기 정체성이 협소하게 좁혀진 수준
② 철학 수준: 개인은 자신의 개인적 신념이나 사고방식, 주의주장과 같은 나름대로의 철학 속에 자신을 가두어 두는 의식 수준
③ 자아 수준: 몸과 마음을 구분하여 자신을 신체와 동일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심리적 자아를 지니는 의식 수준
④ 생물사회적 수준: 개인이 생물사회적 존재로서 언어와 문법구조, 문화적 신념, 가족의 규칙과 관습 같은 사회적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 내면화 한 의식 수준
⑤ 실존 수준: 개인이 자신은 항상 세계와 분리되어 존재하고 있다는 의식을 지니는 수준
⑥ 초개인 수준: 개체의식이 초월될 뿐만 아니라 환경과의 분리의식도 사라져서 시공을 초월하는 의식 수준
⑦ 일심 수준: 어떠한 분리나 분열이 없으며 이원적 대립이 존재하지 않는 모든 것이 일체화된 마음상태, 즉 일심 수준
■ 『아트만 프로젝트』: 자기 모습으로 자신이 아닌 아트만이 되려는 모순된 추구.
① 플레로마(pleroma): 연금술 용어로서 각종 물질이 혼합된 혼돈상태를 상징하며 신생아가 물질적 세계와 융합되어 자기와 외부세상의 구분도 하지 못하고 시간과 공간의 의식도 없는 의식상태
② 우로보로스(uroboros): 자신의 꼬리를 삼키는 뱀을 상징하며 자기완결적이지만 미분화된 상태. 어린 유아는 어머니의 젖을 빨며 외부 세상을 인식학 p되지만 자신과 타인을 희미하게만 구분
③ 신체자아(body self): 유아는 의식이 혼돈스러운 플레로마 상태에서 우로보로스 상태를 거쳐 점차 의식을 신체에 집중하여 신체자아를 형성한다. 물질과의 일체성으로부터 최초로 자기 신체를 중심으로 한 명료한 자아의식이 나타나는 단계
④ 구성원 자기(membership self): 언어를 습득하고 사회화 과정을 거쳐서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능력을 획드거하는 단계.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능력을 지니며 시공 개념을 분명하게 획득
⑤ 정신적 자아(mental self): 언어능력이 발달하면서 모호했던 자기인식이 좀더 명료현 자기개념으로 통합된 정신적 자아가 확립되는 단계. 초기 자아단계(4세~7세), 중기 자아단계(7~12세), 후기 자아단계(12~21세 이상)로 구분. 후기 자아단계를 거쳐 성숙한 자아가 형성되면 주체적 자아와 객체적 자아를 냉철하게 구별하며 그동안 자신이라고 여겼던 것들에 대한 탈돌일시가 일어날 뿐 아니라 자아를 초월하는 것에 관심
⑥ 생물사회적 속박(biosocial bonds): 자아초월에 대한 욕구를지니고 있으나 주체와 객체, 자기와 타인, 삶과 죽음 등과 같은 이원론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단계. 언어, 윤리, 논리, 규칙, 법률, 금기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필터에 의해서 개인의 경험을 선별적으로 인식
⑦ 켄타우로스 영역(centauric realms): 켄타우로스는 말의 하반신과 사람의 상반신을 지닌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화적 존재로서 몸과 마음이 조화롭게 통합된 자기를 상징. 언어와 사회적 관념을 중심으로 한 자아를 넘어서 한층 높은 수준으로 자아의 모든 것을 통합한 단계. 언어와 문화의 속박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자아의식을 지니고 있다.
➇ 현묘 영역(subtle realms): 신체적 자아의 속박에서 벗어나 초감각적인 현묘한 체험을 하게 되며 자기의식의 원형인 신과의 일체화가 일어난다. 신은 다른 존재가 아니라 자기 자신의 최고 원형이자 의식의 근본적 본성으로 인식되며 고차원적인 종교적 직관과 영감을 경험
➈ 인과 영역(causal realms): 통합과 초월의 과정이 계속됨으로써 더욱 고차원적인 통일성이 나타나는 단계. 신의식(神意識)이 고양되어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초월적인 사랑과 자비를 실천하게 되며 주객을 초월한 순수의식 속에서 일체의 외형적 형상을 초월
➉ 아트만(atman): 모든 이원적 구분이 사라지고 모든 존재의 공성(空性)을 깨달아 일체의 집착에서 벗어나는 해탈의 단계. 인간 정신과 영성 발달의 궁극적 단계. 어떠한 형상과 내용도 없는 순수한 의식상태
(4) 개인과 인류의 영적 성장: 『에덴으로부터의 상승: 인간 진화의 자아초월적 관점』
⁃ 인류도 개인과 동일한 단계를 거쳐서 진화한다.
⁃ 무지의 낙원 에덴에서 떠단 것은 전개인적 단계에서 개인적 단계로의 발달이며, 인류 의식의 진화와 성장 과정
⁃ 초개인적 단계에 도달한 사람들: 붓다, 예수, 루미, 삼바바, 마하리쉬 등의 성장들
⁃ 인간 정신의 심연에는 영혼이 존재하여, 자아를 초월한 영적 성장 욕구
⁃ 상위수준으로 진전될 때, 분화와 통합, 탈동일화와 동일화의 과제를 극복
⁃ 정신병리적 현상: 과정이 순조롭지 못할 때 해리와 고착
-해리: 새로운 의식구조가 생성되어 통합과 동일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새로운 의식 구조가 자기의 것으로 정착되기도 전에 상위구조로 옮아감
-고착: 새로운 의식구조가 생성되었는데 이전 구조에 집착하여 탈동일시를 못함.
2) 자아초월 심리치료(transpersonal psychotherapy)의 기본골격...491
(1) 통합적 변형수련(Integral Transformative Practice) Wilber(2000),자아강화를 위한 자기애적 유희
⁃ 에살렌 연구소: 1961, 인간의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현하고 인간성의 조화로운 성장을 추구. 동서양 철학과 수행법을 접목/통합하여 학술회의, 연구, 교육, 수련하는 비영리조직
⁃ <에살렌 연구소>의 Murphy(1992)와 Leonard & Murphy(1995)가 시작
⁃ ITP의 기본원칙
지속적인 변형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수련의 필요하다.
몸, 마음, 가슴, 영혼을 포함한 전인적 수련이 효과적이다.
변형수련은 한 명의 지도자에게 의존하기보다 다수의 멘토로부터 안내 받는 게 바람직하다.
수련자는 멘토, 공동체, 수련기관의 안내를 따르지만 최종 결정권은 자신에게 있다.
⁃ 인간의 핵심적 차원 6영역 성장 수련법
신체적 영역: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다이어트 등
정서적-성적 영역: 요가, 기공, 태극권 등
정신적-심리적 영역: 심리치료, 시각화, 긍정적 사고 등
관조적-명상적 영역: 마음챙김, 참선, 기도 등
공동체 영역: 공동체 봉사활동, 자비 돌봄, 타인과의 관여 등
자연 영역: 물품 재활용, 산책이나 등산, 자연감상 등
⁃ 목표: 불이적 깨달음과 일미(一味)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촉진적 시도. “깨달음은 우연히 온다.”
(2) 통합적 삶을 위한 수련(Integral Life Practice), Wilber(2008)
⁃ 자가 수련방식: 영적인 성장을 위한 체계적 수련방식 또는 치료적 개입방식 제시.
⁃ 통합 코치: 인간적 깊이, 전문적 기술과 경험, 윤리의식을 인정받은 사람이 다차원적 성장을 지원
⁃ 개인의 4상한을 지원하는 핵심모듈: 몸, 마음, 영, 그림자의 4 영역 지원을 위해 좌상/우상에 초점
몸 모듈: 근육훈련, 유산소 운동, 집중강화훈련, 영양섭취, 다이어트, 태극권, 기공, 요가 등
마음 모듈: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고 타인을 사랑하기 위한 이성과 합리적 사고능력 함양을 위해 독서, 공부, 다양한 관점 취하기, AQAL 이해하기, 비전과 인생관 세우기 등
영성 모듈: 높은 발달수준의 의식 상태이자 삶을 바라보는 태도로서 마음챙김 명상, 통합적 탐구, 큰마음, 기도, 자비행동, 헌신, 우주적 명상 등
그림자 모듈: 억압된 무의식을 의식적 자각으로 통합하기 위해 게슈탈트 치료, 인지치료, 꿈 작업, 정신분석, 표현예술치료 등
⁃ 개인의 4상한을 지원하는 보조모듈: 사회적이며 관계적인 삶의 성장을 위한 좌하/우하에 초점
윤리 모듈: 윤리적 결정을 돕는 사고 틀 제공을 위해 행동규범, 전문가 윤리, 사회적/생태학적 행동주의, 자기절제, 스포츠정신, 맹세와 서약 등
일 모듈: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면서 사회에 봉사하는 바른 생계, 전문가적 훈련, 금전관리, 공동체 봉사, 자원봉사 등
관계 모듈: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위해 자녀양육법, 대화기술, 부부치료, 결혼생활, 헌신적 관계 등의 실천
-성, 창의성, 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삶의 영역으로 무한히 확장 가능
5. 일본의 심리치료...
1) 모리타 치료...494
■ 일본 정신과 의사 모리타 쇼마가 일본인 특유의 신경증 장애인 신케이쉬추 치료차 개발(1920년대)
■ 신케이쉬추: 내향적 신경과민 증세. 불안장애, 강박행동, 공포증, 사회적 위축, 신체적 증상
■ 목표: 환자의 증상을 제거하기보다, 증상에도 불구하고 생산적으로 살도록 돕기
■ 매 순간 현실이 요구하는 것에 순응하고, 자신이 하고 있는 것과 상황이 요구하는 것을 알아차리고 차이를 인식하며, 현재 상황에서 해야하는 일들에 집중하여 생산적인 삶을 살도록 격려하기.
■ 60% 이상이 호전(1976). 사회불안, 수줍음, 신경증 치료에 효과적
2) 나이칸 치료...496
■ 요시모토 이신이 일본의 불교종파인 요도신수의 승려들의 마음 살피기 수행법을 활용하여 개발(1950년대)
■ 조용한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주제를 깊이 성찰하기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은 것이 무엇인가? (어머니, 아버지, 친척들, 친구와 동료들)
-그들에게 되돌려 주어야 할 것이 무엇인가?
-내가 그들에게 어떤 걱정을 깨쳤나?
■ 갈등은 상대방과 주고받는 것의 불균형에 대한 불만과 분노에 기인한다.
■ 수행방식
-집중적인 방식: 수행자들은 입소 후 1주일간 15시간씩 앉아서 생각하고 지도자와 면담 수행
-규칙적인 방식: 일주일 중 편리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수행
-성찰하는 방식: 잠자기 전 30분 정도, 그날 있었던 일 성찰 수행
6. 한국의 심리치료
1) 도(道)정신치료...498
-이동식(1989~2008) 한국인의 주체성을 세우기 위해 수도와 정신분석을 융합하여 개발
-목표: 자신을 비하하고 말살하는 열등감을 극복하고 주체성을 회복.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감정 처리 여하에 달려 있다.”
-기대: 중국에 대한 모화사상, 일본의 식민지 경험, 서양문화에 대한 열등감 극복하고 주체성 세우기
(1) 핵심감정
-핵심감정: 어린 시절에 주양육자에게 느꼈던 애증의 감정을 타인에게 투사하여 갈등과 문제 초래
-콤플렉스/중심갈등/핵심역동(서양), 집착(불교), 애응지물(대혜선사)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미움으로 채워진다.
-건강하고 행복한 인생은 핵심감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열등감을 극복하고 주체성 회복하기
-핵심감정은 주관적 감정이므로 말로 전달되기 어려우며 공감에 의해서만 느껴지고 전달된다.
-치료자가 내담자의 핵심감정을 충분하게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2) 치료자의 공감(이동식, 2008)
-정신치료: “치료자는 자신의 인격으로 동토에서 떨고 있는 환자에게 봄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치료자는 자신의 핵심감정을 이해하고 투사나 역전이 없이 중립성과 완전한 정심을 지녀야 한다.
-도=정심=핵심감정 제거: 투사를 없앰으로써 인지적 왜곡을 교정하는 것.
-정신치료=수도: 집착을 없애고 마음을 정화한다.(삼매)
착각 없애기: 핵심감정으로 인해 갈등을 일으키는 투사 없애기
수도: 자신이 스스로 하는 것이고 치료는 스스로 고치도록 도와주는 것
인격 성숙: 마음을 깨끗이 하여 감정을 순화시키고 부당한 욕심 없애기
2) 온마음 상담...500
-윤호균, 1999~2007, 불교의 연기론에 근거하여 제안한 상담 모델
(1) 공상과 집착
-개인의 경험은 사실과 상상의 합성물, 개인의 변별평가체계를 통해 채색(해석/평가/선택)되고 편집된 경험.
-변별평가체계의 기억/관념/지식 중 일부는 ‘자기’라는 관념을 형성하고, 만족을 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추구하고 위협을 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회피한다.
-집착: 상황이나 조건의 변화에도 자기관념/바람/두려움/경험/지식 등에 따라 상투적 방식으로 반응
-심리적인 문제와 괴로움: 공상을 공상으로 자각하지 못하고 사실로 착각하거나 집착할 때 생김
-자기는 가공적 실체임을 자각해야 죽음/무의미/고독 등의 실존적 문제에서 자유
(2) 온마음 상담의 과정...502
① 감정에 실려 있거나 그렇게 추정되는 경험을 찾아내기
② 그러한 경험에 주의를 집중하고 거기에 머물러보기
③ 그 경험을 가능한 한 재경험하거나 재구성해보기
④ 그 경험을 촉발한 구체적인 외적/내적 자극을 탐색하여 확인하기
⑤ 그 경험의 전개과정에 내담자의 짐작, 추리, 투사, 해석이 어떻게 개입했는지 확인하기
⑥ 이러한 짐작과 해걱에 그의 과거경험이나 기존관념, 기대가 어떻게 개입했는지 확인하기
⑦ 사실과 공강을 구별하고 정리하기
3) 본성실현상담...504
-이형득(1933~2005), 동서양 종교에 근거하여 인간 본성과 성장가능성을 최대한 발현하도록 제안
(1) 인간의 본성과 본성실현에 장애가 되는 요인
① 이분법적 사고와 상반된 시각
② 부정적 자기개념과 열등의식
③ 비효과적인 관계와 결여의식
④ 이기적인 욕심과 집착
⑤ 예상불안과 그에 따른 반응의 주저나 조급한 행동
(2) 본성실현상담의 과정
■ 상담 목표
① 자신의 본성과 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확신
② 자신의 느낌과 생각에 대한 허용적 태도
③ 직관적 반응의 함양
④ 타인과 자연에 대한 조화로운 행동 육성
■ 자기 본성과 가능성에 대한 바른인식의 기본내용
① 우리 속에는 본성적으로 무한한 능력이 내재되어 있다.
②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자아는 착각이며 이러한 허구적 자아개념에 집착하는 것은 본성실현의 장애요인이다.
③ 우주의 만상은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타인과 자연의 복지가 바로 나 자신의 안녕과 직결된다.
④ 세상의 만상은 음과 양의 이원적 현상의 흐름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양면의 조화된 균형이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에 필수적이다.
4) 현실역동상담...506
-장성숙, 2000~2007, 집단주의적이고 가족중심적인 한국문화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안한 상담모형
(1) 문제의 진상 파악하기
(2) 상담에 대한 방향 설정하기
(3) 심정을 헤아려주기
(4) 외적 현실을 중시하기
(5) 역할에 대한 강조
(6) 상담자의 어른 역할
(7) 직면을 활용하기
(8) 부모-자녀 관계 복원하기
(9) 사회성 촉진하기
5) 동사섭(同事攝)...509
攝 (당길 섭): 당기다, 끌어당기다, 잡다, 쥐다, 굳게 지키다, 굳건히 유지하다
■ 승려 용타스님이 개발한 수행, 집단상담, 행복증진 프로그램. 불교의 사섭법(중생 구제를 위한 보살의 삶. ) 중 하나
■ 다른 사람들(중생)과 희로애락을 함께함
■ Carl Rogers의 참만남 집단
■ 행복의 5대 원리: “우주의 중심인 귀하고 소중한 나는 우리 모두의 행복을 위하여 먼저 내 마음을 잘 다스리고 주변사람들과 더불어 잘 화합하며 선을 지으며 산다.”
-정체성: 우주의 중심인 귀하고 소중한 존재로서의 자기 자신의 정체성 깨닫기
-대원: 우리 모두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한은 커다란 소망 세우기
-수심: 자신의 마음 다스리기
-화합: 주변 사람들과 더불어 조화롭게 지내기
-작선: 선한 행위 실천하기
☯ 한상담...감수성훈련, 유동수, 2000, p137~144, p182, p186
■ 유동수
-한국형 상담이론 개발
-한국형 코칭 프로그램 개발
-한국형 감수성 훈련 프로그램 <한알 훈련> 개발
■ 한국인의 집단무의식 형성을 연구하지 않으면 절대관으로 살아온 사람을 상대관으로 이해하는 무리를 범하게 된다.
■ 단일민족: 핏줄 단일민족이 아니라 (홍산)문화 단일민족이다.
■ 홍익인간 이화세계: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반드시 해야 할 일,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고 온 누리의 질서를 바로 잡으라.
■ 한국식의 상담: 홍익인간 이화세계로 참사랑을 실천하고 한마음을 가진 사람으로서의 성장을 돕는 일이다.
■ 천부경(天符經)의 인간관: 하늘과 땅과 온 우주의 정기를 쌓고 쌓아서 태어났다. 하늘과 땅이 자연 그대로 있을 때 이 우주에 생명을 부여하고 살림살이를 하기 위해서 이 땅에 사람으로 태어났다.
■ 삶의 태도: 우리 뿌리사상은 한민족의 3대경전『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에 있으며, ‘한 알’이 내 생명의 근원이고 ‘한 얼’은 내 영혼이며 ‘한 울’은 나를 둘러싸고 있는 우주 전체라고 한다.
■ 가치관
-몸의 양식: 음식, 햇볕, 숨
-맘의 양식: 이성(생각), 감성(느낌), 무의식(감지)
-가치관의 밑바탕(시간관, 공간관, 생사관): 서양인은 이성 문화(일반 논리,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 인도인은 무의식 문화(역설의 논리, 있는 것은 없고, 없는 것은 있다), 한국인은 감성 문화(역의 논리, 있는 것은 있으면서 없고, 없는 것은 있으면서 없다, 느끼는 시간은 생각하는 시공을 뛰어넘는다. 시공에 구속받지 않은 참된 자유.)
■ 우리말
-대화체로 발달
-주어 생략의 마주대화에서 주객을 구별하거나 세계를 한정짓지 않는다.
-사실 너머의 마음을 통찰해서 듣고, 말귀를 알아들어야 한다.
-다양성 속에서 동일성을 인식하며, 단일성 속에서 다수성을 인식하는 사고방식: “한”
-[김상일] 한: 하나(one), 많음(many), 같음(same), 가운데(middle), 얼마(about)
-[김건] 한: 大(한길, 한글, 넓다, 두루), 滿(한껏, 한사리) 全(한목, 한껏), 多(한동안, 한참), 少(한때, 한술), 正, 中(한낮, 한복판, 한바닥) 同(한가지, 한방)
■ 인간관계
-관계와 역할 중시
-본분을 다하여 조화를 추구. 개체와 전체는 상즉관으로 보는 일여적인 존재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는 이화의 철학, 상생의 철학
-씨알 머리가 있고(주체성) 말귀를 알아듣고(관계) 그릇이 큰 사람이 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권석만, 학지사, 2012
-요가비전, 배해수 편역, 지혜의나무, 2005
-감수성훈련: 진정한 나를 찾아서, 유동수, 학지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