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2010

학교심리학_다중지능과 정서지능의 평가

실다이 2012. 10. 14. 12:04

 

---정서지능 및 다중지능의 평가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청소년심리학,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교육과학사, 2004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http://www.kmiea.net)

1.지능과 인지발달

2.정서지능의 소개

3.다문화적 역량

4.학교심리학자가 갖추어야 하는 정서지능

5.학교 상황에서 정서지능의 평가

6.학교 사례

7.사회적 기술 훈련을 위한 제안

8.정서지능과 다중지능을 함께 훈련하는 것이 가능한가

9.정서지능의 미래는 어떠한가

10.다중지능

11.다중지능을 교실에 통합하기

12.다중지능의 평가

13.제언_정서지능과 다중지능 향상을 지원하는 학교

김 난 주

2012. 10. 12 (금) 19:00

1 ▃지능과 인지발달-----

청소년심리학,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교육과학사, 2004, p112

 

1. 지능에 대한 전통적 입장

 

-지능이 감각과 주의력과 같은 기본적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사람의 감각기관을 정확하게 측정하려던 중, 지능이란 그 보다 더 복잡한 내적 정신작용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IQ라는 개념 생성

-Alfred Binet에 의해 최초로 제작된 지능 검사

-지능을 양적으로 측정하려 한 시도에서 인간의 인지는 단선적이며, 인간의 지능은 하나의 지필 검사도구만으로 측정 가능한 것으로 정의

-지능을 언어적 지능과 수학적 지능으로 구별된 개인의 일반적인 능력으로 평가

(1) Spearman의 일반요인(g) 이론

단일 차원적 능력. 전체 정신 에너지가 담긴 원천적 샘. 특정과제 수행에 특수능력 존재.

(2) 1938, Thurstone의 다요인 이론

일반요인 7개의 정신능력으로 구체화. 언어이해력/단어유창성/수리능력/공간능력/기억력/추리력/지각속도.

(3) 1967, 1988, Guilford의 지능 구조 이론

지능 구조를 세 가지 차원으로 설명. 지능 3차원이 결합하여 만든 180개의 정신능력 단위에 따라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처리하고, 최종적 사고의 산출물을 생산한다고 봄.

① 내용영역 차원의 속성 5 :시각적/청각적/상징적/의미론적/행동적.

② 인지/조작활동 차원의 속성 5 : 인지/기억저장/기억파지/발산적 생산/수렴적 생산/평가

③ 결과 차원의 속성 5 : 단위/유목/관계/체계/변환/함축 

(4) Cattell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① 유동적 지능 : 문화로부터 자유로움. 새롭거나 추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생리적 요인들(유전/성숙 등)로 발달

② 결정적 지능 : 문화적/환경적 영향을 받음. 학교 교육이나 생활 경험으로 학습된 지식(어휘력/수리력/정보력) 반영.

 

2. 지능에 대한 현대적 입장

 

-지능의 특성 :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변화할 뿐 아니라, 가르쳐 질수 있는 것

-지능은 다원적/다면적인 것이고, 복수구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행동 수준에서는 통합된 형태로 나타남

-20세기말 미국의 교육은 객관주의에서 탈피하여 구성주의에로 전환

 

(1) 1985, Sternberg의 삼원이론

지적활동을 할 때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 3가지를 구분

① 성분적-구성요소(유전)- 지능 : 지식습득 요소, 상위 요소, 수행 요소

② 경험적 지능 : 경험의 반복과 축적으로 신속 정확한 처리 능력

③ 맥락적(환경) 지능 : 길거리 지능. 사업적 감각. 생활문제해결력, 적응력, 유능성, 지혜롭고 합리적인 선택 능력

 

(2) 1983, 1989, Gardner의 중다 지능이론,

진보주의자 가드너(Howard Gardner)의 새로운 지능관은 피아제의 구성주의 이론에 영향을 받음. 1981년에 맥아더 기금(MacArthur Prize Fellowship)을 받아 연구 시작. 다중지능 이론을 내놓게 되었다. 모든 능력의 가치는 사회에 따라 필요한 것, 유용한 것, 높이 평가되는 것이 다름.

 

(3) Salovy의 정서적 지능, 1990 :

사회적 지능의 한 유형. 정서는 의식적이며, 자율적 통제가 가능한 정보처리 과정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잘 인식하고 적절히 표현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잘 조절

-후속적인 사고 및 행동을 적응적으로 결정

 

 

 

2 ▃정서지능의 소개-------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34

 

1. 정서지능이론의 발달

 

(1) 1920, Thorndike : EI 개념 시작

(2) 1958, Wechsler : 사회적 지능 연구

(3) 1977, Bar-On : 정서지능이론

(4) 1983, Howard Gardner : 지능은 상호 독립적. 개인 내적 지능, 대인 간 지능을 개발/탐구.

(5) 1990, Peter Salovey, John Mayer : EI 개념 소개. 정서를 지각/이해/조절하는 능력은 환경적응에 결정적으로 중요! 인지 능력과 학업 수행에 상관없이 심리적 안녕과 개인적 성장에 중요!

 

(6) 1995, Goleman, EI 혼합모델 : 낙천주의 및 자기 동기화 능력과 같은 성격 특성들을 정서적 능력들과 관련짓기

 

7) 1997, Salovey & Mayer, EI 능력모델 : 오로지 정보의 정서적 처리에만 관심을 집중하며, 이러한 처리과정에 관련된 능력들을 연구. 개인의 특질/인격으로 간주될 수 없음.

① 정서의 지각 : 정서에 적절히 그리고 정확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지각하는 능력

② 정서의 이해 : 정서에 적절히 동화하고 정서를 이해하는 능력

③ 정서의 사용 : 자신이나 타인의 감정을 조절하고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술 등

④ 정서의 관리 : 정서 지각, 사고를 돕기 위해 정서에 접근, 정서 산출, 정서 및 정서적 지식 이해, 정서적 및 지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정서를 신중하게 조절

 

(8) 2001, Bar-On & Parker : 정서적 및 사회적 능력은 우리의 정서적 안정, 사회적 적응과 대인관계 적응에 더 중요!

 

(9) 2001, Ciarrochi, Chan, Bajgar : 정서적 능력 부족은 학교와 학교 밖에서 학생에게 영향력

-심리적 안녕과 적응의 부족

-대인관계의 양과 질의 감소

-학업 수행의 저하

-파괴적 행동 및 약물남용

 

2. 지적 인간에 대한 위기 관점 2

 

(1) 1997, Sternberg : 학업지능은 전문적 성공을 이루는 데 충분하지 못하다.

(2) 2001, Bar-On & Parker : 지능은 성공적인 삶을 보장하지 않는다.

 

 

 

3 ▃정서지능과 다문화적 역량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38

 

1. 1998, Papadopoulos, Tiki, Taylor, 다문화적 역량과 관련 있는 EI 측면 4

문화적 민감성, 대인간 혹은 의사소통 기술, 존중, 적절성

2. 2002, Betancourt, Green, Carrillo, 다문화적 역량 개발과 학교심리학자의 EI

인종, 민족, 문화 및 언어 배경이 다양한 아동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공감하고 다루는 데 중요!

 

 

4 ▃학교심리학자가 갖추어야 하는 정서지능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40

 

1. 사회정서적 관점에서 학교심리학자에게 중요한 능력 2

 

(1) 리더십

(2) 의사소통

 

2. 학교심리학자가 갖춰야 할 정서지능

(1) 자신의 정서에 대한 확실한 지식

(2) 정서반응을 조절하는 능력

(3) 다양한 아동들이 행동문제, 개인적 혹은 대인관계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도록 도울 수 있는 대인 간 능력

 

3. 학교심리학자의 EI 수준 평가 도구

(1) TMMS (Trait Meta-Mood Scale)

이상적인 점수 : 주의력(attention, 25~26), 명료성(clarity, 35 이상), 교정력(repair, 35 이상)

(2) Mayer-Salovey-Caruso-Emotional Intelligence Test

 

 

 

5 ▃학교 상황에서 정서지능의 평가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41

 

1. 고전적인 EI 평가도구 : 질문지, 척도, 자기보고

 

-외향성 및 신경증 등의 성격 차원 프로파일

-건설적 사고나 대처전략 등의 인지적 요인

-공감이나 자기존중감 등의 정서적 요인

 

* 지필식 자기 평가의 결함 : 반응자의 지각 편향과 긍정적 인상을 위한 답변 위조 경향. 그러나 정서세계는 내면적이어서 내성 평가로 정서적 결핍 프로파일로 유용 (정서를 변별하는 능력,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주의집중, 정서조절의 수준 즉 좌절에 대한 내성 정도)

 

(1) TMMS(Trait Meta-Mood Scale)의 핵심 차원 3

① 주의력(attention) : 21문항. 개인이 자신의 감정과 기분을 관찰하고 그에 대해 사고하는 정도

② 명료성(clarity) : 15문항. 자신의 정서 상태에 대한 이해 정도

③ 교정력(repair) : 12문항.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 정도

-자기 자신의 정서적인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측정하는 도구

-원판은 48개 문항. 30개나 24개 단축형 사용 권장.

-12세~17세 학생들을 위한 교정준거

-정서 경험에 있어서 반성적(reflective) 측면에 대한 개인적 추정치 제공

 

(2)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요인 4

① 정서 지각 (예: 나는 다른 사람들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② 자신의 정서관리 (예: 나는 내가 착수한 일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상상하면서 나의 동기를 유발시킨다.)

③ 타인의 정서관리 (예: 나는 다른 사람들이 의기소침할 때 그들의 기분이 좋아지도록 돕는다.)

④ 정서의 사용 (예: 나는 감정의 변화를 느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3) Bar-On EQi (1997)

① 개인 내적 (자기존중, 정서적 자기 인식, 주장성, 독립성 및 자기실현)

② 대인 간 (공감, 사회적 책임 및 대인관계)

③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내성 및 충동통제)

④ 적응성 (현실 검증, 융통성 및 문제해결)

⑤ 일반적 기분 척도 (낙관성 및 행복)

 

(4) Bar-On EQi:YV

-총 60개 문항. 성별과 연령별 규준 포함.

-하위척도 5 : 개인 내적 능력, 대인 간 능력, 스트레스 관리, 적응성, 일반적 기분

-긍정적 인상 척도 : 과장된 긍정적 인상을 보이고자 하는 사람들 찾아내는 교정 요인

-비일관성 지표 : 일관성이 결여된 반응양식을 찾아냄

 

(5) Bar-On EQi:YV(S)

-30개 문항으로 축약.

-제한적 시간에 대규모 집단 선별에 이상적.

 

2. 외부 관찰자에 근거한 EI의 평가

 

-EI는 우리 주변 사람들의 정서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내포하는 것.

-대인 간 정서역량을 평가하는 데 효과적 : 타인과의 상호작용, 교실 갈등 해결 태도, 스트레스 대처

-24시간 관찰이 아닌 경우, 관찰자의 지각 편향 반영 가능

-교실이라는 맥락에 국한된 정보만 제공

-정서적 성실성, 주의력, 명료성 같은 개인 내적 정서능력에 대한 자료 부족

-자기통제의 결여, 충동성, 갈등 상황의 대인 간 역량 평가에 매우 유용

-실무자는 비밀보장 규칙을 수립하고 평가자를 위한 지침 마련해야 함.

(1) 대인 간 정서 역량에 대한 평가

(2) 또래지명(peer nomination) : 정서 형용사와 평상시 행동에 대해 학우들을 평가

 

3. 능력 과제에 근거한 EI의 측정

 

-외부 관찰자에 의해 초래된 지각적 혹은 상황적 편향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

 

-EI 능력 분지 4 :

① 정서의 지각: ‘얼굴’ 과제와 ‘그림’ 과제 사용/평가. 정서를 정확히 지각하는 능력

② 정서의 사용: ‘감각’ 과제와 ‘촉진’ 과제 사용/평가. 사고, 문제해결, 창의성 촉진에 사용 능력

③ 정서의 이해: ‘혼합’ 과제와 ‘변화’ 과제 사용/평가. 정서 이해 능력

④ 정서의 관리: ‘정서관리’ 과제와 ‘사회적 관리’ 과제 사용/평가. 성장을 위해 정서관리 능력

 

(1) MEIS(Multifactor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 1990, Saolvey & Mayer

(2) MSCEIT(Mayer-Salovey-Caruso Emotional Intelligence Test) 2.0 : 17세 이상의 성인. 141문항. 약 45분 검사.

(3) MSCEIT:YV : 10세~18세. 66개 문항. 약30분 검사.

 

 

 

6 ▃학교 사례-------------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50

 

-TMMS-24를 실시해서 위기에 처해 있을지도 모를 아동들 선별

-사회정서적 위기를 판정하는 결정적인 요인은 매우 낮은 ‘교정력’ 점수

-EQi-YV 혹은 MSCEIT:YV와 임상면접 병행 실시하여 사회정서적 요인 선별결과 입증하기

-학부모 협력 및 교사 중심의 자문을 통해서 집과 교실에서 사회정서학습의 개입 시작

 

 

 

7 ▃사회적 기술 훈련을 위한 제안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52

 

-EI는 개인적, 학업적, 전문적 성공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 (Daniel Goleman, 1995)

-EI는 성공적인 일상생활의 80%를 설명

-CASEL(Collaborative for Advancement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은 구체적 정서능력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EI 훈련 프로그램 (2001)

-SDM/SPS(Social Decision Making and Social Problem Solving Program)은 사회정서적 기술의 증진으로 아동이 살아가면서 건강한 선택을 추구할 수 있게 돕는 프로그램. 1979년부터 교사들의 검증과 연구로 타당화. 사회정서적 기술을 연습하는 활동으로 기존 커리큘럼과 통합 용이. 초중등 수준의 일반/특수 아동에게 적용 용이 (Elias & B겨둗 Butler, 2005)

-Elias와 Amold의 종합 가이드는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 활동사례 제시. 취학 전부터 고등학교까지 포괄.

-Salovey와 Mayer의 사회정서 능력 프로그램은 정서적 및 사회적 역량의 증진을 위해 개발, 증거에 기초한 수업지도안 제시. (2004)

-감정 어휘의 도입, 그림 및 의인화된 설명, 학업 및 실생활과의 연계, 개인 가족과의 연계, 교실

토론, 창의적인 쓰기 과제.

 

<Increase Your Emotional Intelligence 프로그램 활동의 예>

개인적 EI

대인 간 EI

정서의 지각

내 감정을 읽고 표현함

타인의 감정을 읽음

정서의 이해

내 감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함

타인의 감정을 나 자신의 것으로 경험함(공감)

정서의 조절

개인적인 스트레스 상황을 관리함

사회적인 갈등 상황을 관리함

 

 

 

 

8 ▃정서지능과 다중지능을 함께 훈련하는 것이 가능한가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54

 

(1) Searport 초등학교가 개발한 고고학적 유적에 관한 프로젝트

-목적 : 학급 구성원들이 연구 결과 전시품을 도심 박물관에 전시하기

-협동적으로 자료 수집/선택/조직

-서로 다른 인지적 지능을 사용하고, 최종 컬렉션 선택을 위해 토론/협상할 때 정서지능 사용

-프로그램 제작에 EI/MI 두 능력을 동시에 증대시킬 프로그램을 고안하면 큰 도움 (Hatcher, Kornhaber, 2006)

(2) 다양한 문화, 인종, 민족에 속해 있는 학생들이 협력적인 모듬 작업을 통해서 EI/MI 발휘

포트폴리오 평가 등 교육과정중심평가를 통해 개인 역량과 기여를 평가할 수 있다.

 

 

 

9 ▃정서지능의 미래는 어떠한가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p155

 

-EI 기념이 과학문헌에 등장한 것은 15년

-EI 평가도구 사용은 약 7년

-주력 연구 과제 4

① 어린 연령(3세~12세)의 EI 평가도구 개발

② 문화에 민감한 EI 평가도구 개발

③ EI와 다문화적 측면의 관련성 고려 및 각 문화가 사회정서적 능력을 표현/정의하는 방식 고려

④ EI가 어떻게 발달하고 MI가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의 이해

 

 

 

10 ▃다중지능-----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http://www.kmiea.net)

청소년심리학,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교육과학사, 2004, p125

 

1. 다중지능-1993, 『Frames of Mind』, Howard Gardner

 

-다중지능 : 사회 속에 직면해 있는 산물을 창조하는 능력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물건을 창조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그 문화에서 유용한 정보를 처리하는 생체/심리학적인 잠재력

-명백히 구별되는 여덟 가지 지적 능력

-서로 독립적 : 한 지능이 높다고 다른 지능이 높을 것으로 예언하기 어렵고 서로 동등

 

2. 다중지능 이론

 

(1) 다중지능의 측정은 단편기억을 측정하는 게 아니라서 학습과 문제해결 양식 촉진 가능.

(2) 사람은 모든 지능을 다 갖고 있지만, 각자 지능의 조합이 독특하여 다양한 정도로 소유.

(3) 모든 사람은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람에 따라 지능 향상 속도 다름.

(4) 9가지 지능 외에도 많은 지능이 있을 수 있으며, 사람들이 세계와 어떻게 조화하는가에 달림.

(5) 교실에서 학습자 개개인의 강점/약점에 따라 다르게 가르치고 평가.

(6) 생활 쟁점에 관해 학습활동 후, 다양한 배움을 증명하며, 학생의 독특한 특성에 가치 부여.

(7) 다중지능이 인간 종(Species)을 정의하는 듯.

(8) 뇌의 다른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혹은 함께 작용.

(9) 다중지능 유형들은 아동기와 청소년기 사이에 개선됨.

 

-자신이 속한 특정 문화에서 가장 가치 있게 여기는 능력을 발달시킬 것임.

-특정 과제 수행 능력이 문화적으로 매우 가치 있게 여겨지면 그 능력을 갖추려는 동기가 유발됨

-장애인교육법에 따라 의뢰된 학생의 특수교육 수혜자격 여부 결정에 MI/EI 기술 평가.

 

3. 다중지능 영역

 

지능에 관한 초기 연구에서는 지능이 감각과 주의력과 같은 기본적인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사람의 감각기관을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시도를 하던 중, 지능이란 더 복잡한 내적 정신작용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IQ라는 개념이 생기게 되었다. Alfred Binet에 의해 최초로 제작된 이 지능 검사는, 지능을 양적으로 측정하려고 한 시도에서 인간의 인지는 단선적이며, 인간의 지능은 하나의 지필 검사도구만으로 측정 가능한 것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지능을 언어적 지능과 수학적 지능으로 구별된 개인의 일반적인 능력으로 평가하였다.

 

<1993년에 언급된 지능 7>

지 능

정 의

1.

언어적 지능

- 언어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능력

- 단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구두/글로 표현)- 언어를 이해하고 실용적 영역을 조작하는 능력

2.

논리수학적 지능

- 연역적으로 추론하고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 숫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사물사이의 논리적 계열성을 이해하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측정하고 사정하는 능력

3.

공간적 지능

- 정신적 이미지를 창출하는 능력

- 방향감각, 시각, 대상을 시각화하는 능력- 색, 줄, 형태, 구조에 관련된 지능으로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 내적인 이미지와 사진과 영상을 창출하는 능력

4.

신체운동적 지능

- 신체의 움직임을 손쉽게 조절하는 정신 능력- 손을 사용하여 사물을 만들어 내고 변형시키는 능력

5.

음악적 지능

-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직관적 이해와 분석적이고 기능적인 능력(음조/음색/가락에 대한 지각력, 변별력, 변형능력, 표현능력)

6.

대인관계지능

- 다른 사람의 기분, 의도, 동기, 느낌을 분별하고 지각하는 능력- 타인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변화에 대해 유추하는 능력- 감각과 대인관계의 암시를 구별해내는 능력- 실용적 방식으로 암시에 반응하는 능력

7.

자기이해지능

- 자신의 감정/동기/내면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

- 자아를 이해하는데 관련된 지식과 그 지식을 기초로 적응하는 능력- 메타인지, 영혼의 실체성 지각 등 고도로 분화된 감정들을 알아내어 상징화하는 능력

 

<1999년에 추가 언급된 지능 3>

자연주의적 지능

- 생물체들을 변별하고 자연계에 민감한 능력

- 사물을 구별하고 분류하는 능력과 환경의 특징을 사용하는 능력- 분별 : 대처 기능으로 사물을 분별하고 그 사물과 인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대처기능

실존지능

영적 지능

-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남다른 열정이나 성향, 신념 때문에, 더불어 사는 삶을 추구하고 봉사가 삶의 기쁨이며 자신의 운명이라고 생각

-이 지능이 높으면 다른 지능들로 무엇이든 좋은 발전. 인류 역사는 실존지능이 뛰어난 인물들에 의해 발전.

ㅁ 능동적이고 자발적 그리고 유연한 사고방식

ㅁ 높은 수준의 자기 인식

ㅁ 괴로움에 직면하고 활용하는 역량

ㅁ 고통을 직면하고 초월하는 역량

ㅁ 비전과 가치에서 영감을 얻는 능력

ㅁ 불필요한 해를 끼치는 것을 꺼림

ㅁ 다양성 사이의 연관을 보는 전체적 시각

ㅁ 왜? 혹은 '이렇게 하면 어떨까? 라는 질문을 하고 근본적 답을 찾으려는 뚜렷한 성향

ㅁ 인습에 역행해서 행동할 수 있는 능력

[출처] http://www.brainmedia.co.kr/brainWorldMedia/ContentView.aspx?contIdx=9838

 

 

 

11 ▃다중지능을 교실에 통합하기----------------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http://www.kmiea.net) 윤옥인(서울서일초등학교 교사,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부회장)

 

1. 다중지능 이론의 ‘이해(understanding)’학습 단계 및 원칙

 

(1)교사는 학생들이 배울 본질적인 기능, 지식과 결과(outcome)를 확인할 수가 있어야 한다. 이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각 학문에서의 핵심 개념을 다룸으로써 깊이 있게 다루는 것을 강조한다.

(2)학생들에게 가르칠 주제와 목적 그리고 결과가 일단 결정되면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순서와 활동을 결정해야 한다.

(3)교사 주도의 교육과정 외에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이나 자기 주도적인 학문적 경험을 통해서 지식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율적인 학습자/사고가/창조자가 되어야 한다.

(4)이해를 교육시키기 위한 또 다른 전략은 개인적인 학문의 지식과 실천을 구체화하는 전문가와 상호 작용하는 견습 제도(apprenticeship) 기회를 제공한다.

(5)학생들은 학습에서 고등 사고 기능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은 학습한 것을 일반화하고

예를 제시하고, 내용을 개인 경험에 연결하고 새로운 상황에 지식을 적용할 수가 있어야 한다.

(6)평가는 모든 학습 활동을 통해서 자연히 통합되어야 한다.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학생들에게 평가될 기준을 제시하여 그 준거를 향해서 활동을 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다차원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교사의 자기평가/상호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은 교사에게 피드백을 해주어야 한다.

 

<‘이해’ 교육을 위한 준거>

① 주제가 가치 있는 것인가?

② 결과(outcome)는 적합한 것인가?

③ 핵심적인 내용인가?

④ 높은 수준의 사고 기능이 포함되는가?

⑤ 학생의 흥미에 따른 프로젝트인가?

⑥ 8개 지능을 통해서 배우는가?

⑦ 실세계에 적용하는가?

⑧ 학생들의 강점이 개발되는가?

⑨ 3차원의 평가(상호/개인 내/내용과 기술)와 피드백을 받는가?

 

2. 교육과정 적용

 

(1) 주제 선정

(2) 하부 단원의 제목, 구체적인 수업 목표, 다양한 지능적 관점에서 예상되는 학습 효과 기술

(3) 선정된 단원에 맞게 수업 활동을 구성하되 다중지능 강화 학습 활동을 구상

(4) 각 지능별 활동에 따른 수업 결과 기술

(5) 전체적으로 이 단원 수업에 대한 학습 결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결정

-단원의 특성이나 학습자의 흥미에 따라 한 가지 지능을 강화하는 수업이 전개될 수도 있다.

-주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 지역의 요구사항, 학생들의 관심을 통합하여 설정

-주제 단원은 일상적으로 4-6주 동안 실시

-주제가 확정되면 특별 수업 소제목으로 나누고 학생들은 소집단으로 센터에 가서 작업

-학생들은 친숙한 주제나 원하는 주제를 스스로 문제 해결하면서 학습을 심화.

 

3. 프로젝트에 기초한 교육과정(PROJECT BASED CURRICULUM)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성인생활을 준비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시행할 것을 추천(가드너)

-학생들이 활발한 연구와 실제 경험을 통해 실질적인 정보들을 얻을 때, 쉽게 지식과 기술 획득

-교육 내용은 추상적/애매모호한 것보다 전체적/계속적인 경험으로 구성되는 것이 이상적 (듀이)

-많은 교사들은 실제 경험을 교실에 도입하여 학생들에게 2-4주 정도 연구 과제 제공

-교실에서 가르치는 방법보다 더 많은 정보를 소화하기 위해 연구 과제를 1년에 3개 이상 포함

 

4. 다중지능 영역을 계발시키는 활동

지 능

활 동

대표적 직업

언어적

지능

공식연설, 일기, 창작, 언쟁, 임기응변,

유머 및 농담, 이야기 만들기

연설가, 이야기꾼, 정치가, 시인, 극작가,

편집자, 기자

논리수학적 지능

추상적 공식, 도표 구조화, 수열, 계산법, 부호해독, 삼단논법, 문제해결

수학자, 회계사, 통계전문가, 과학자,

컴퓨터 프로그래머, 논리학자

공간적

지능

항해, 지도제작, 체스게임, 상상력, 색채배합, 패턴, 디자인, 그림, 데생, 인지도, 조각, 사진

안내자, 정찰병, 사냥꾼, 건축가, 실내장식가, 발명가, 예술가

신체운동적 지능

민속 창작 춤, 역할극, 제스처, 드라마,

무술, 운동, 무언극, 스포츠

배우, 무언극 배우, 경기자, 무용가, 공예가,

조각가, 기계공, 외과의사

음악적

지능

리듬패턴, 보컬 사운드, 작곡 및 편곡,

배경을 선정, 악기연주, 노래, 공연

음악 비평가, 작곡가, 연주가, 악기제작자

대인관계

지능

피드백 주고받기,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이해, 협력학습전략, 일대일 대면, 공감, 분업, 집단 프로젝트

카운슬러, 교사. 심리치료사, 정치가,

종교지도자, 세일즈맨

자기이해

지능

반성적 사고, 메타인지기술, 사고전략,

정신집중 기술, 고도의 추론

철학자, 신학자, 소설가, 심리학자,

어느 직업이든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지능

자연탐구

지능

관찰, 견학, 소풍 여행, 하이킹,

자연보호 모험심 기르기, 동물 기르기

식물학자, 과학자, 정원사, 수의사, 해양학자,

공원관리자, 도보여행자, 지질학자, 동물원관리자

 

 

 

 

12 ▃다중지능의 평가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http://www.kmiea.net)

 

1. 다중지능 평가

 

-전통적인 필답 고사 형식의 지능검사가 아닌 대안적인 평가(alternative assessment) 요구

-학습자로 하여금 구체적 지능 영역에 몰두할 수 있는 작업 권유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작용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 시도

-학습자의 산품을 볼 수 있는 수행 평가(performance assessment)나 상황에 기초한 평가 필요

 

2. 다중지능 평가의 원리

 

(1) 평가는 시간에 따른 학습자의 성장을 포착해야 한다. 시간에 따른 학습자의 성장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방법이 활용될 수 있고 학습자들에게 자기 학습의 성장에 대해서 반성적 평가를 하도록 할 수 있다.

(2) 평가는 다차원적인 것이다. 기존의 점수나 퍼센트와 같은 단일화된 측정치로는 학생들이 무엇을 성취했고 어떤 도전을 했는지 알 수 없다. 그러기에 평가는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해야

하고, 학습 내용과 기능을 포함해야 하며, 동료, 부모, 학식 있는 지역 인사로부터의 평가 그리고 학생 자신의 평가의 세 관점을 포함해야 한다.

(3) 평가 자체가 교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주어야 한다. 평가가 학습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면들을 잴 때 교수 내용에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평가에서는 사고와 학습 과정을 다루어야 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배운 것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되어야 하며, 실제 세계의 활동에 근거해야 한다. 그러한 평가 기준이 만들어지면 교수도 그러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비형식적인 평가는 중요하다. 교사들은 지필 측정치로 기록된 것보다 교실에서의 활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매일의 관찰을 통해서 학생들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비형식적인 관찰에 의한 지식은 단순한 관찰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수 있다. 교사는 소그룹 또는 전체 학생과의 수업에 대한 질과 작업에 대한 토론을 학생들이 그들의 공부와 학급에서의 경험, 성취와 좌절 등에 대해서 지각하는 점을 얻을 수 있다.

(5) 학생들은 활동적인 자기 평가자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평가할 수 있고, 자신이 무엇을 학습하는지 확실히 알 수 있다. 학생들은 일지, 동료 평가, 체크리스트, 전시물, 비형식적인 학생/교사 토론, 포트폴리오에 자신들의 학습을 적극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학생들은 자기 평가를 통해서 학습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표준을 내면화시킬 수 있다.

 

3. 다중지능평가 자료

 

이러한 평가에서의 다섯 가지 원칙을 적용하면 평가와 학습간의 경계는 없어지고 평가는 학습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수업은 학생 개개인의 잠재적 능력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하기 때문에 각 지능적 관점에서의 학생들의 능력을 규명할 수 있어야 한다.

 

(1) 언어적 지능 평가 자료

절정에 달한 에세이, 이야기, 읽기, 발표, 낱말 맞추기, 문제 푸는 방법 설명하기, 에피소드, 설명서 작성하기 등.

(2) 논리-수학적 지능 평가 자료

조사, 문제 해결, 자료 해석, 인과관계 분석, 차트 작성, 문학 작품의 유사점/차이점 분석 능력, 이야기에 대한 미래 유추 능력 등.

(3) 공간적 지능 평가 자료

사진 에세이, 비디오 테이프, 콜라쥬, 모빌, 예술 작품, 벽화, 시화, 포스터, 진흙 지도, 길 찾는 능력, 이야기 단계 그림, 시각적 다이어그램 등.

(4) 음악적 지능 평가 자료

노래, 모스 부호 이용하기, 문법과 구문을 노래나 랩으로 구성, 음악을 통한 스트레스 제거법,

(5) 신체-운동적 지능 평가 자료

팬터마임, 즉석 무언극, 신체 부위를 통한 측정 능력, 단어를 신체로 표현하기, 여러 물질이 되어 행동하는 능력, 컴퓨터 작동법을 드라마로 제작하기 등.

(6) 대인 관계 지능 평가 자료

협동 학습, 서로 가르치기, 지도력, 인터뷰, 춤동작 설명 기술, 사람들의 감정과 생각을 공유하는 능력,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력 토론하기 등.

(7) 개인 이해 지능 평가 자료

개인 일기, 자서전, 목표 설정, 자기 주도적 프로젝트, 나에 대한 시 창작하기, 느낌 일기 쓰기, 타문화로부터의 통찰에 관한 일지쓰기, 역사적 인물이라고 가정하고 쓴 글, 자신을 등장인물로 상상하기 등.

 

 

 

13 ▃제언_정서지능과 다중지능 향상을 지원하는 학교

다문화사회의 학교심리학, Danielle Martines, 학지사, 2011

청소년심리학,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교육과학사, 2004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http://www.kmiea.net)

 

중/고/대 학교의 다문화교육 채택 장려

 

인종, 민족, 문화 및 언어 배경이 다양한 학생들을 잘 교육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을 채택하도록 장려되고 있고(Banks, 2000), 다양한 학생들을 위해서 문화-중심적 교수로 다중지능(Howard Gardnet, 1993)과 정서지능(Daniel Goleman, 1995) 측면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학교가 학생들의 사회성과 정서교육에 주의를 기울일 때 행동문제가 감소하고 학업성취도가 증가하며, 관계의 질도 개선된다. 통합적 평가/교수 접근을 옹호하는 전체론적 관점과 일치하며, MI와 EI의 교육/평가는 학생의 단점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개입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전통교육과 진보교육의 차이

 

교육자들은 오래 전부터 전통주의자(Traditionalist)들과 진보주의자(Progressivist) 들로 나누어져 왔으며, 두 그룹 모두 학습자들이 건전한 정신을 계발하고, 올바른 시민으로서의 행동을 갖추고, 다른 이점들을 향상시키기 원했다.

 

Doll(1989)에 의하면 전통교육자들과 진보교육자들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전통주의자들은 고대와 현대의 많은 귀중한 자료로부터 얻은 정보를 학습자들의 마음에 채웠고, 교양 과목들의 중요성을 주장하였고, 특별히 지적 엘리트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을 추구하였으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에 순응할 것을 주장해왔다. 이와 달리 진보주의자들은, 누적된 인간의 지식으로부터 그들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내도록 학습자들을 격려해왔고, 전공과목과 교양과목을 같은 비중으로 보았으며, 인간 각자의 잠재적 능력과 가능성과는 상관없이 각자의 독특한 특성을 개발하는 교육과정을 추구하였는데, 사회를 이상적인 상황에 접근하는 환경으로 재건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진보주의 교육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교육개혁 운동으로 나타나는데, 많은 교육 프로그램들이 루소(Jean Jacques Rousseau), 페스탈로찌(Johann Pestalozzi), 그리고 프뢰벨(Friedrich Froebel)과 같은 교육자들의 철학을 기반으로 미국 교육을 개혁하려는 노력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한 운동은 획일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삶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평생 교육의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부르짖으면서 일어났다. 대표적인 옹호자 듀이(John Dewey)는, 학교가 사회의 삶을 반영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시카고에 실험학교를 세웠다. 이 실험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사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공부하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미국의 교육은, 1970∼80년대 격동기에 전통주의에서 진보주의 (Pinar, Reynolds, Slattery, &Taubman, 1995)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패러다임 전환(Bigge &Shermis, 1999; Roblyer &Edwards, 2000; 황윤한, 1996, 2000). 을 시작하였다. 학습자의 경험, 흥미, 관심사는 물론 학습 환경, 학습자의 요구(needs), 내면세계에까지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학습자의 특기, 호기심, 관심사 반영

 

한 학급 30명의 아동이 쓴 "A"라는 글자가 객관주의자 눈으로 보면 똑같은 하나의 "A"로 보이지만, 다중지능에 의하면 서른 개의 서로 다른 "A"인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경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경험이 의미(meaning) 부여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Brown, Collins, &Duguid, 1989). 따라서, 학습자 개개인이 자기들 나름대로의 독특한 이해 체계를 형성하면서 자율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은 개개인에 따라 혹은 초급 단계에서부터 전문가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같은 시간에 같은 내용을 같은 방법으로 교육을 해도 거기에는 엄연한 차이가 원천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학습은 아동 개개인에게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고, 그들의 생활 중심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황윤한 교수(광주교육대학교 교수)의 입장을 지지한다. 상황학습 모형으로 특수적/상황적/적응적 내용을 배운 후 과정중심 평가를 지향하는 학교중심/학습자중심/생활경험중심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은 학습자들의 어린 시절 뿐만 아니라 이들의 개별적인 차이와 다양성에 관심을 갖는 교육을 의미한다.

 

다중지능 이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앞에서 살펴본 다중지능 이론의 특징,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방법과 그 적용을 토대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1)학교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언어적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이 학생들의 학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 능력이라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다중지능 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전통적 지능 이론에서 다루는 영역 외의 다른 지능 들 즉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공간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기이해 지능, 자연주의적 지능, 실존적 지능을 높여 주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대학 입시 위주의 학교 풍토에서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음악적 지능과 신체-운동적 지능뿐만 아니라, 다중지능 발달 척도의 모든 영역에서, 특히 언어적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에서조차도 미국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김명희, 김양분, 1996). 초등학교의 경우는 연구된 결과가 없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언급하기 어렵지만 중/고등학교와 비슷한 양상을 띄리라고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의 열린 수업의 실행 연구를 계획하는데 있어서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등은 학교에서 다루기 어려운 타고난 재능이라는 사고에서 탈피하여 제반 지능이 발달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구성 및 수업 계획에 반영이 되어야 할 것이다.

 

(2)주제 주심의 통합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중지능 이론에서는 학습자의 ‘이해’를 강조하여, 각 교과 혹은 지식의 체제에 따라 분화된 교과 중심으로 학습 경험을 선정, 조직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전통적 교과간의 엄격한 울타리를 고려하지 않고 각 교과의 지식이나 경험을 주제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프로젝트 학습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학제적(간학문적)이며,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을 통하여 모든 지능이 학습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고도의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공헌하고 있다, 따라서 실행연구에 있어서도 다중지능 이론의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구성의 장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3)학생들의 개성에 맞는 다양한 수업 방법 및 전략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중지능 이론에서의 교수방법에 있어서는 어떤 획일적인 수업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장점을 살려주고 단점을 보완하는 입장에서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4)학교 교육 평가에 있어서 다양한 수행평가가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다중지능 이론에서는 단순한 지필 검사만에 의한 평가 방법을 배격하고 실제적인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과 다원적인 평가자에 의해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교실 수업의 개선 차원에서 다양한 평가 방법과 다원적인 평가자에 의해서 현실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수행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수업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구성, 수업 계획, 평가, 학급 운영 및 학교 운영 그리고 시설 등에 있어서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측면에서 운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중지능 이론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구성, 수업 계획, 수업 실천, 평가, 학급 운영 및 학교 운영에 있어서 다중지능 이론의 입장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여러 가지 새로운 수업을 시도하고 있는 요즘의 학교교육에 있어서도 수업 방법에 있어서 만이 아닌 총체적 접근을 통할 때만이 새로운 교육적 시도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충남도교육청의 지도감독을 받는 천안 학교 교육에 대한 제언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교평준화를 하지 않는 유일한 충남지역. 충남의 학생 30% 이상이 천안에서 학업에 임하고 있는데, 청소년 자살률 1위, 시민 행복지수 바닥, 학부모 만족도 꼴찌 등의 불명예를 안고 있다. 학교폭력을 문제 삼아 중학생들에게 강제전학을 시키고 하루 3시간~4시간 등하교에 시달리게 하거나, 입시위주 교육과정에 적응하지 못하는 고등학생들에게 퇴학이나 퇴학유예를 시켜서 실패감을 심고 있다.

 

이렇게 청소년들에게 부적응자나 낙오자라는 딱지를 붙여서 혼내는 식으로 청소년인권을 유린하고 있는 학교는감옥이자 지옥이지 더 이상 학교가 아니고 꿈의 요람도 아니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학교교육을 바꿔나가면, 학교가 시대에 맞는 학교로 변하지 않을까 생각해봤다.

 

(1) 돈을 버는 것에 관련되지 않으면 일이라고 인정해주지 않는 직업상담이나 진로상담으로 교내 상담사의 역할을 전락시키는 것은, 인간의 마음을 다루는 심리학을 아동청소년에게 악용하는 처사이다. 정서적 변화가 큰 청소년들에게 인지정서행동치료나 분노치료를 할 수 있도록 심리상담가를 학교에 배치하고 정서지능과 다중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체험활동을 지원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이미 유치원교육에서는 다중지능을 키울 수 있도록 자율적이고 선택의 폭이 넓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초중고등 학교에서도 발도르프 교육이나 프레네 교육을 접목하고 다중 역량 강화 환경을 제공하기 바란다.

(2) 우리의 일상은 도시화와 매스컴의 발달에 의해 교감신경이 활발해지는 대신, 정서적 안정을 위한 부교감신경 활동이 현저히 줄고 있어서, 심신의 건강이 악화되거나 장애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아동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부교감신경을 활성화 하는 명상/요가/호흡을 훈습하는 체험활동시간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3) 학생은 딸딸딸 외우는 공부에서 벗어나야 하고, 교사는 행정업무에서 벗어나야 한다. 학생과 교사가 진정한 교육활동에서 소외된 학교를 정상화하는 데에 시민의 목소리가 모아지길 기대한다.

 

발도르프 교육

-독일 철학자 슈타이너 창시. 12감각으로 스스로 당당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자유 추구.

⊙ 인간의 모든 가능성은 내면에 집중되어 있다.

⊙ 어린이가 실제로 행하여서 얻은 경험들은 어른이 되어 행동하는 방식들에 영향을 준다.

⊙ 교육의 기본 원리를 사랑으로 여기며, 어린이 마음에 본질적인 사랑을 발달시켜주어야 한다.

⊙ 교육을 통하여 학문, 예술, 종교를 배양할 수 있다.

⊙ 아동에게는 스스로 행동하여 발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

⊙ 놀이는 아동의 진지한 작업이다.

⊙ 능숙한 손가락 놀림의 활동들은 창의적인 생각을 만들어낸다.

⊙ 교육의 중심은 아동의 자립적인 발달을 돕는 것이다.

[출처] http://blog.naver.com/siyounlover?Redirect=Log&logNo=140034599025

 

 

프레네 교육

-셀레스땡 프레네(Celestin Freinet, 1896-1966) 창시.

-반전/평화/자유/자율 추구.

-선발 없는 학습, 간문화적 학습, 스스로 조직하는 학습

-본문/미디어/정보와 창조적으로 교류하기

-학교 인쇄 작업, 자유로운 글쓰기, 편지쓰기, 학교신문, 자가수정카드, 작업총서를 통한 자료 탐색, 작업계획서, 학급회의.

⊙ 작업(노동, 일)의 교육학 - 학생들은 유용한 생산물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학습함. 학교 학습을 실제 환경에서 지향. 학교와 삶 사이에 놓인 벽 부수기. 실천을 통한 학습

⊙ 협력적인 작업 - 생산적인 과정에서의 협력에 근거함. 의사소통과 협동. 모든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표현

⊙ 탐구중심학습 - 그룹(팀, 모둠)작업을 포함하는 시행착오 방법

⊙ 자연적인 방법 - 귀납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에 근거함. 더듬어 찾아보는 식의 학습. 자극을 불러일으키는 학습 환경 조성하기

⊙ 흥미중심 - 어린이들의 학습흥미와 호기심에 근거함.

[출처] http://blog.naver.com/terieame?Redirect=Log&logNo=30095575763

 

 

 

 

다중지능 검사 질문지

각 문항을 읽고 해당 번호를 맨 아래 답안지에 표시하세요.

(1. 전혀 그렇지 않다 / 2. 별로 그렇지 않다 / 3. 보통이다 / 4. 대체로 그렇다 / 5. 매우 그렇다)

1. 취미 생활로 악기 연주나 음악 감상을 즐긴다.

2. 운동 경기를 보면 운동선수들의 장단점을 잘 집어낸다.

3. 어떤 일이든 실험하고 검증하는 것을 좋아한다.

4. 손으로 물건을 만들고, 그림을 그리는 것을 좋아한다.

5. 다른 사람보다 어휘력이 풍부한 편이다.

6. 친구나 가족들의 고민거리를 들어 주거나 해결하는 것을 좋아하다.

7. 나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생활을 계획하는 것을 좋아한다.

8. 자동차에 관심이 많고,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고 있다.

9. 악보를 보면 그 곡의 멜로디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10. 평소에 몸을 움직이며 활동하는 것을 좋아한다.

11. 학교 다닐 때 수학이나 과학과목을 좋아했다.

12. 어림짐작으로도 길이나 넓이를 비교적 잘 알아맞힌다.

13. 글이나 문서를 읽을 때 문법적으로 어색한 문장을 잘 찾아낸다.

14. 직장 내 성희롱이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알고 있다.

15. 나의 건강 상태나 기분, 컨디션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16. 옷이나 가방을 보면 어떤 브랜드인지 바로 알아맞힐 수 있다.

17. 다른 사람의 연주나 노래를 들으면 어떤 점이 부족한지 알 수 있다.

18. 어떤 운동이라도 한두 번 해보면 잘 할 수 있다.

19. 다른 사람의 말 속에서 비논리적인 점을 잘 찾아낸다.

20. 다른 사람의 그림을 보고 평가를 잘 할 수 있다.

21. 나의 어렸을 때 꿈은 작가나 아나운서였다.

22. 다른 사람들로부터 다정다감하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23. 내 생각이나 감정을 상황에 맞게 잘 통제하고 조절한다.

24. 동물이나 식물에 관하여 많은 정보를 알고 있다.

25. 다른 사람과 노래할 때 화음을 잘 넣는다.

26. 운동을 잘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27. 회사 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와 방법을 잘 알고 있다.

28. 내 방이나 사무실을 꾸밀 때,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하고 어떻게 배치해야 할 지 잘 알아낸다.

29. 글을 조리 있고 설득력 있게 쓴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30. 직장 동료나 상사의 기분을 잘 파악하고 적절하게 대처한다.

31. 평소에 내 능력이나 재능을 계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2. 동물이나 식물을 좋아하고 잘 돌본다.

33. 악기를 연주할 때 곡의 음정, 리듬, 빠르기, 분위기를 정확하게 표현한다.

34. 뜨개질이나 조각, 조립과 같이 섬세한 손놀림이 필요한 활동을 잘할 수 있다.

35. 물건의 가격이나 은행 이자 등을 잘 계산한다.

36. 다른 사람으로부터 그림 그리기나 만들기를 잘한다고 칭찬 받은 적이 있다.

37. 책이나 신문의 사설을 읽을 때 그 내용을 잘 이해한다.

38. 가족이나 직장 동료, 상사 등 누구와도 잘 지내는 편이다.

39. 내 일정을 다이어리에 정리하는 등 규칙적인 생활을 위해 노력한다.

40. 나는 현재 동식물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41. 어떤 악기라고 연주법을 비교적 쉽게 배운다.

42. 개그맨이나 탤런트,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잘 흉내 낼 수 있다.

43. 어떤 것을 암기할 때 무작정 외우기보다는 논리적으로 이해하여 암기하곤 한다.

44.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때 그림이나 개념 지도를 그려 가며 외운다.

45. 학교 다닐 때 국어 시간이나 글쓰기 시간을 좋아했다.

46. 내가 속한 집단에서 내가 해야 할 일을 잘 찾아서 수행한다.

47. 어떤 일에 실패했을 때 그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서, 다음에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한다.

48. 동식물이나 특정 사물이 갖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좋아한다.

49. 빈칸을 주고 어떤 곡을 채워 보라고 하면 박자와 전체 곡의 분위기에 맞게 채울 수 있다.

50. 연기나 춤으로 내가 전하고자 하는 것을 잘 표현할 수 있다.

51. 어떤 문제가 생기면 성급하게 결혼을 내리기보다는 여러 가지로 그 원인을 밝히려고 한다.

52. 고장 난 기계나 물건을 잘 고친다.

53.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의 핵심을 잘 파악한다.

54. 다른 사람들 앞에서 프리젠테이션이나 연설을 잘한다.

55. 앞으로 어떻게 성공해야 할지에 대해 뚜렷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

56.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많이 알고 있다.

A

B

C

D

E

F

G

H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1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A

B

C

D

E

F

G

H

 

 

 

 

 

 

 

 

<평가>

 

-답안의 번호가 1인 경우는 1점, 2는 2점, 3은 3점, 4는 4점, 5는 5점을 준다.

-표의 세로 항목별로 점수합계를 낸다.

A:음악지능 B:신체운동지능 C:논리수학지능 D:공간지능 E:언어지능 F:인간친화지능 G:자기성찰지능 H:자연친화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