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사랑

[서연호] 극문학

실다이 2012. 8. 6. 12:32

<우리말교육대학원 2012 여름학기>

극문학

서 연 호 (고려대 국어교육과)

 

 

▮드라마

상상적으로 인간의 갈등을 표현하는 예술 -그리스

인간의 가치를 창출.

 

 

▮드라마와 영상의 세계

2012년 8월 현재 세계는 TV, 영화, 연극, 뮤지컬, 광고 등 온통 드라마.

 

 

▮교과목 지정은 밥그릇 싸움

문학사, 시, 소설, 시수 등의 결정은 민감한 사안. 드라마를 커리큘럼에 넣기가 어려운 실정.

 

 

▮영화는 상상의 결과. 더 이상의 상상을 불러일으키지 않음. 문학은 상상의 나래를 펴서 작품에서 더 멀리 갈 수 있음.

 

 

▮mime

mimesis(모방)

글을 배울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사람은 극소수. 유럽의 공통어는 라틴어. 사회적으로 우대 받는 상류층이거나 교회를 가는 사람들이 아니면 언어를 배울 수 없음. 로마시대 때 라틴어를 모르는 사람들이 제스처를 개발함.

로마시대에 타국에서 잡혀온 사람은 모두 노예가 되는데, 지식인에게도 시민권을 주지 않아서 노예가 됨. 주인이 방면을 결정하면 시청의 허락을 받아 자유인이 됨. 자유인은 시민이 아니지만 취업이 보장됨. 타국에서 잡혀온 배우들이 공연을 하려면 길거리에서 panto(all) mime을 함.

기호적인 인간의 몸짓. 비언어적인 예술에서 무용이 발달하게 됨. 발레는 문법이 있는 춤.

 

 

▮분석주의와 자연과학주의

자연주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혼돈이 많은 개념이다. 낭만주의가 자연주의다. 19세기 후반기에 대한 자연주의는 일본이 만든 대로 따르고 있으나 자연과학주의/분석주의이다.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개구리를 분석하는 것이므로 자연주의라고 생각하겠으나, 자연과학주의/분석주의 작품이다.

 

 

▮멜로드라마

melody. 연극 속에 음악이 적절히 들어감. 희곡에 음악을 사용했다. 그리스 시대에는 음악이 들어가는 데에서 시작했다. 비극에는 음악을 넣지 않았는데 18세기에 독일에서 비극에 음악을 넣기 시작하자, 비극이 부드럽고 나긋나긋해지니까 해피엔딩. 지금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형식을 지칭함.

 

 

▮farce

희극이 대중화됨. 작품에 실수가 늘어남.

 

 

▮그리스 시대

축제. 신에게 바치는 연극. 극장은 신전 옆에 있음. 이집트에서 영향을 받음. 축제 때 연극 4가지를 연속 함. 비극/희극/사티로스(그리스 식 코미디)/비극. 1만5천 석 극장에 노예에게 돈을 줘서 연극에 초대. 지배를 위한 교육. 시를 통치하는 군주는 반드시 맨 앞에서 관람해야 함. 정치를 잘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통치자를 꾸짖는 게 싫다고 스파르타에서는 연극이 오랫동안 중지됨.

 

 

▮코러스(chorus)

그리스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 Dyonisus 신전이었다는 건물이 남아있으나 신전이 비어있거나 다른 신이 들어옴. 로마시대에 바쿠스 신으로 바뀜. 디오니수스 신은 기원전 고대의 농사의 신. 지중해 연안은 포도가 주 농사. 지중해 물은 석회수라서 먹지 못하고 증류해서 마심. 포도를 짜서 쥬스를 마심. 농촌의 축제(낭창. 낭독 반 노래 반. 코러스)는 서낭굿(마을의 소망을 축문으로 읽음. 낭독)과 비슷. 코러스는 신전에 가까이 가므로 반드시 참가금을 내야 함. 숫염소(디오니소스가 여신이므로 음양을 맞춤. 피를 여자들이 마셔서 임신률을 높임. 염소는 포도 잎을 따먹어서 농사를 해치는 짐승)를 잡아서 올리고 갓 딴 포도를 바침. 그리스에서 최초로 배우(신과 대화)가 탄생한 것은 합창 축제에서 비롯됨.

 

 

▮dialogue

dia(2) + logue(말) = 대사

 

 

▮stasimon

aria. 배우가 부르는 솔로. 뮤지컬의 주제곡. 뮤직 테아타(유럽), 마당극의 노래.

 

 

 

▮우리나라 연희의 장르 (서연호 분류)

굿, 탈, 죽음의례, 축제, 샤먼, 처용무, 나희, 탈춤, 이벤트, 인형극, 판소리, 창극, 승무, 정재무(임금님께 바침. 임금을 위해서 하는 공연), 교방무(관청. 궁중의식), 마당극

 

 

▮사실극

-1878년에 입센의 <인형의 집>이 주목을 받았다. 아내가 집에서 사는 것이 인형의 삶으로 느끼게 되어서 노라는 가출을 함. 아내는 남편의 종달새 같은 존재. 아내는 독립된 여성이 아니라 남편의 부속품.

-현재 유럽의 60%는 계약부부. 살아보지도 않고 알 수 있는가? 계약부부의 자녀도 국가가 양육/교육. 자녀 둘 정도 낳아서 길러보고 결혼 결정하면 이혼율이 낮음.

 


<2012 우리말교육대학원 여름학기>

 
1. 때: 2012년 7월 30일(월) ~ 8월 11일(토)
2. 장소: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 (KTX 아산역에서 자동차로 10분 거리)
3. 일정
일자 교과 교수님 소속
7/30(월) 논문쓰기 기초 김수업 우리말교육대학원
7/31(화) 북방고대사 우실하 항공대 교양학부
8/1(수) 국어교육 현장연구 김지홍 경상대 국어교육과
8/2(목) 국어어휘론 홍윤표 연세대학교
8/3(금) 수사학 손주경 고려대 불어불문학과
8/4(토)      
8/6(월) 유교문화 이기동 성균관대 유학과
8/7(화) 교육방법 박종덕 울산대 교육학과
8/8(수) 탈놀이 박진태 대구대 국어교육과
8/9(목) 국어특질론 이은규 대구가톨릭대 국어교육과
8/9(금) 민속놀이 한양명 안동대 민속학과
8/10(토) 문학 교육 방법 정재찬 한양대 국어교육과
 
* 장구 실습: 7/30(월)~8/2(목), 8/4(월)~8/9(목) 저녁,  주 4회 * 2주
 
4. 등록 문의

우리말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  

수업료 100만원

우리은행 1005-401-809541(전국국어교사모임)

전화(02-744-3426) 

메일(uri-mal@hanmail.net)

http://www.urimal-i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