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윤표] 국어어휘론
<우리말교육대학원 2012 여름학기>
국어어휘론
홍 윤 표 (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 한글의 혼 : 문자는 시대를 초월하여 소통하게 하는 힘을 지녔다.
▮ 우리의 과거는 모르고, 어제의 촘스키 발언만 알고. 우리 삶과 학문은 무슨 상관이 있나?
▮ 원칙과 부칙
소리나는 대로 쓰되, 어법게 맞게!
▮ 어휘와 작품
어휘량 많은 작품 : 상록수. 혼불
고유어 맣은 작품 : 임꺽정
한자 어휘량 많은 작품 : 녹두장군.
▮ 어휘론
어휘론은 '단어의 형태 및 의미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부문'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어휘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과 설명을 목표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라고 기술되기도 한다. 어휘는 어떤 양상, 어떠한 양식으로 모인 단어를 지시하는 것일까? 각 어휘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어휘론의 연구대상이 될 것이다.
▮ 어휘 연구의 필요성
국어에 대한 부정확한 지식으로 국어에 대한 이해가 잘못 전달되어, 우리의 어문생활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선조들이 기록해 놓은 구체적인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 어휘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는 일은 국어 어문생활을 검토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어휘론의 연구 대상과 구체적인 대상
-단어와 어휘소
-어휘소
▮ 어휘 변화의 원인
어휘가 변화하는 요인은 언어 자체에 내재하는 요인과 언어와는 유리되어 있는 외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어휘를 구성하는 단어의 어형이나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는 요인이고, 그것에 의해서 어휘의 지역적 변용이나 역사적 변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어형과 어휘의미의 변화 유형은 여러 가지 형이 있지만, 중요한 것을 요인별로 정리하면 음의 첨가, 음의 탈락, 음의 교체, 의미의 혼동, 어원의식, 문법변화, 모음충돌, 의미의 확대, 의미의 향상, 대의적 변화 등이다.
<2012 우리말교육대학원 여름학기>
우리말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 우리은행 1005-401-809541(전국국어교사모임) 전화(02-744-3426)
일자
교과
교수님
소속
7/30(월)
논문쓰기 기초
김수업
우리말교육대학원
7/31(화)
북방고대사
우실하
항공대 교양학부
8/1(수)
국어교육 현장연구
김지홍
경상대 국어교육과
8/2(목)
국어어휘론
홍윤표
연세대학교
8/3(금)
수사학
손주경
고려대 불어불문학과
8/4(토)
8/6(월)
유교문화
이기동
성균관대 유학과
8/7(화)
교육방법
박종덕
울산대 교육학과
8/8(수)
탈놀이
박진태
대구대 국어교육과
8/9(목)
국어특질론
이은규
대구가톨릭대 국어교육과
8/9(금)
민속놀이
한양명
안동대 민속학과
8/10(토)
문학 교육 방법
정재찬
한양대 국어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