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고교평준화 도입여부를 둘러싸고 일부 교육감·교육위원 후보들과 23개 풀뿌리 NGO(비정부기구)로 구성된 ‘천안시 고교평준화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간의 신경전이 날카롭다.
후보들이 이구동성으로 고교평준화 추진의사를 밝히고는 있으나 추진 시기와 절차, 방법 등에 대해 입장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민감한 사안은 도입여부를 결정짓는 근거가 될 여론조사 시기와 찬반 비율이다.
“올해 안에 공청회를 거쳐 ‘천안시 고교평준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약속한 김종성 충남도교육감 후보도 여론조사 시기와 비율 등에 대해 답변을 미루고 있다.
강복환 충남도교육감 후보는 비교적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는 “교육감으로 당선되면, 7월 한 달 동안 5회 이상 공청회를 연 뒤 8월 말 여론조사를 실시, 찬성의견이 더 높게 나오면 2021년부터 평준화를 전면 시행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는 자신이 도입 기준으로 밝혔던 여론조사 찬성 비율을 65%에서 절반 이상으로 하향 조정했다.
충남도교육의원 제 1선거구(천안)에서 출마한 김지철 교육위원 후보는 도입에 적극 찬성하면서 즉각 추진을, 조동호 교육의원 후보는 선택적 고교평준화 도입 의사를 밝히고 있다.
바짝 애가 타는 곳은 시민연대다. 그 어느 때보다도 평준화가 쟁점화돼 있고, 각 후보들까지 추진의사를 적극 밝히고 있는 마당에 더 고삐를 바짝 쥐지 않으면 자칫 선거 이후 시들해질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시민연대는 추진절차와 시기, 방법 등을 낱낱이 제시하며 후보들을 압박하고 있다.
시민연대는 성명을 내고 이달 중 ‘천안시 고교평준화 추진협의회 준비위원회’ 구성과 함께 6월 공청회 개최, 7월 여론조사 실시를 촉구했다. 여론조사 결과 51% 이상이 찬성하면 즉각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 시민연대의 주장이다.
교육감·교육위원 후보를 대상으로 한 방송토론회를 제안해놓은 이유도 이들 후보들로 부터 다시 한번 추진 약속과 함께 시기, 절차, 방법 등에 대한 의견을 모으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김난주 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지난 2006년 여론조사 결과 ‘평준화 찬성 55.7%’, ‘반대 37.9%’, ‘모르겠다 6.5%’였으나, 당시 교육감은 찬성 비율이 70%를 넘지 않는다는 이유로 평준화를 거부했다”며 “선거에서는 공약했다가 당선 뒤에는 이런저런 명분과 이유를 내세우며 딴말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 말했다.
후보들과 시민연대의 입장차가 과연 어느 정도 선에서 합의점을 찾을 지 주목된다.
황진현 기자 hjh7900@daejonilbo.com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