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내신체제
1.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의 내신 체제를 어느 정도로 신뢰하십니까?
매우 많이 신뢰한다 어느 정도 신뢰한다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2.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의 내신 체제의 문제점을 무엇이라고 보십니까?(복수응답가능)
평가 관리 체제의 공정성
대학 입시에서의 반영 비율 낮음
상대 평가에 따른 과도한 경쟁 양상
지필 평가 위주로 이루어지는 지나친 계량화 방식
학생 개개인의 발달 상황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기록 부족
체계적인 계량화 부족으로 인한 학생의 성취 수준 파악의 어려움
기타
3. 선생님께서는 현행 내신 평가에 대해서 어느 정도로 만족하고 계십니까?
매우 만족한다 어느 정도 만족한다 약간 불만족스럽다 매우 불만족스럽다
4. "학교가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초점이 있기보다는 행정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교사들이 질높은
평가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
매우 공감한다 어느 정도 공감한다 그렇게 공감하지 않는다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5.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같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충분한 피드백을 해줄 수 있는 질 높은 평가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매우 공감한다 어느 정도 공감한다 그렇게 공감하지 않는다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6. 선진국형 내신 체제를 위해서 정부 당국이 해야 할 중요한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복수응답가능)
교장 임용 체제 개편 | 교원 평가제 도입 |
학급당 인원수 감축 | 잡무 경감 및 행정 전담 부서 지원 |
교사 전문성 신장 | 교사들의 평가 자율성 보장 |
교사 학습 공동체 구축 | 대학 입시 체제 개편 |
기타 |
7. 선진 내신 체제를 위해서 교사들이 아이들을 관찰해서 기록하고, 서술형 평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에 대해서 어떻게 하십니까?
매우 찬성한다. 어느 정도 찬성한다. 약간 반대한다. 매우 반대한다.
8. 선진 내신 체제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 중심 수업을 해야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분량을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교육과정 분량 조정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교육과정 양이 많기 때문에 축소해야한다.
현재 수준이 적절하다.
교육과정 양을 지금보다 더 늘려야 한다.
9. 국가수준에서 교육과정을 대략적으로 제시(대강화)하고, 교사 수준에서 세밀한 교육과정을 구성하자는
주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현재보다 더 상세한 교육과정을 국가 단위에서 구성해주어야 한다.
현행 수준이면 적절하다.
국가는 대략적인 교육과정만 제시하고,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10.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잘 모르겠다
11. 입학사정관제가 앞으로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복수응답가능)
서울 상위권 대학교들의 평가 관점 및 철학의 변화
대학의 선발자율성 확보 필요성에 대한 국민 설득 내지는 이해 구하기
고교에서의 학생에 관한 풍성한 기록물 생성
부정 부패 방지
합리적 평가 기준 마련
입학사정관제 확충 등을 위한 정부의 충분한 예산 지원
12. 대입 체제를 장기적으로 개선한다고 가정할 때, '선진국 형태의 질 높은 내신 체제'가 대입
전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만들고, 수능은 보완적 혹은 확인적 차원의 장치로 전환하는 방식
(예: pass-fail 방식이나 3-5등급 체제)에 대해서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매우 찬성한다. 어느 정도 찬성한다. 약간 반대한다. 매우 반대한다.
13. 선진국 형태의 질높은 내신 체제를 갖추기 위해서 필요한 점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복수응답가능)
교사들 스스로 그동안의 평가 관행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학생 한명에 대해서 세심한 기록을 할 수 있는 행정적 여건 마련해야한다.
(예: 학급당 인원수, 잡무 경감 등)
대학에서 내신보다 수능이나 기타 요소를 중시하는 관행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교사 스스로가 수업과 교육과정, 평가를 얼마든지 기획할 수 있는 자율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나치게 요구하는 한국 사회의 평가관이 바뀌어야 한다.
14. 최근 "행복한 성적표 보내기 운동"이라고 해서, 학생 개개인의 활동과 기록에 대해서 교사가
충분히 적고 그 내용을 학생과 학부모에게 보내는 것을 시도하는 교사들이 일부 존재합니다.
이러한 운동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서 이 운동이 성공하면 한국 교육의 지형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학교와 입시 현실을 고려할 때 열정 있는 일부 교사들만의 운동이 될 가능성이 있다.
15. 선진국형 내신 제도가 도입되고 입시에서 내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고 가정할 때,
'부풀리기 방지' 등을 위한 책무성 및 신뢰성 확보 방안으로 어떤 것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복수응답가능)
평가 실명제 (예: 부풀리기가 확인된 교사나 학교의 경우 다음 전형시 감점)
교원 평가 실시
엄격한 감사 제도 도입
국가 자격 고사 시험과 병행(예: 수능 체제의 3-5등급화 내지는 합격/불합격 확인)
기타
16. 선진국형 내신 제도가 입학사정관제와 결합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선진국형 내신제도는 입학사정관제과 적극 결합되어야 한다.
현행 체제의 보완적 개념으로서 일부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학사정관과 선진국형 내신 제도 도입 자체가 모두 준비가 안된 상태이므로
시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17. 선생님의 연령대는?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18. 선생님의 성별은? 남 여
19. 선생님은 학교 교사이십니까? 예 아니요
20. 그 외 선진 내신 체제 및 운동에 관한 제언이나 사교육걱정없는세상에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동대표: 송인수, 윤지희 | 주소: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1가 197번지 유진빌딩 4층
연락: www.noworry.kr ☎02-797-4044~5 F.02-797-4046 | e-mai l: noworry@noworry.kr